항목

  • 시점 視點, point of view
    發話者)와 수화자(受話者) 사이의 관계에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다. 플롯(plot)의 기본이 되며, 작품의 효과 및 독자에 대한 호소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시점의 문제는 일찍이 소설가들에게 큰 관심사로 존재해왔는데, 19세기 이전의 여러 비평문에서 시점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작가 호메로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시점 視點, point of view
    일반적으로 사건을 보는 시선을 말한다. 영화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시점은 역시 중립적인 카메라 시선이다. 소설에서는 시점 이동이 너무 잦으면 혼란스럽게 느껴지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통상 등장인물의 내면을 읽음과 동시에 소설 속 등장인물에 자신을 일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소설에서 시점...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시점 쇼트 POV, 視點 쇼트
    등장인물의 시점으로 보이는 장면. 사건을 조망하는 객관적 시점이 아닌 사건 참여자인 인물의 눈에 보이는 주관적인 장면을 말한다. 이때 시청자는 마치 사건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시점 쇼트는 관객을 보다 사건에 밀착시키는 구실을 한다. 관객은 화면에 들어가 등장인물의 시선으로 다른 인물과 배경...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자유 시점 TV FTV, 自由視點-
    티브이(TV)에서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여 시청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방송을 볼 수 있게 한 기술. 다시점 영상은 카메라 여러 대에서 얻은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양안 시점 입체 영상과 달리 임의 시점 영상 재현을 할 수 있다. FTV는 시청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영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작용이 높아 흥미로운 방송을...
  • 시점 視點, viewpoint
    컴퓨터 그래픽스(CG)에서 2차원의 가상 공간(virtual space)을 화면 공간(screen space)으로 사상(mapping)할 때에 각도와 척도(scale)의 기준이 되는 원점(origin).
  • 시점 (문학) Narrative point of view
    인물(視點的人物)은 초점화의 주체이며 서사에서 시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철수는 영희를 보았다.”에서 ‘철수’가 이에 해당한다. 시점화면(視點畫面)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눈에 비치는 모습으로 구성된 화면이다. 삼인칭 전지적 시점(三人稱全知的視點)은 문학에서 서술자가 소설 바깥...
    도서 위키백과
  • 귄터 그라스 ‘행동하는 지성인’으로 평가 받는 소설가
    은 1952년에 오스카가 정신병 요양소에 들어가 그의 가족의 역사, 자신의 고독한 학교시절, 단치히의 소시민적 세계, 전쟁과 전후 시대를 이른바 ‘개구리시점視點’(Forschperspektive)으로 회상한 자서전적인 장편 소설이다. ‘조감鳥瞰적 시점’(Vogelperspektive)의 반대 개념인 ‘개구리 시점’은 우물 안 개구리...
    출생 :
    1927년 10월 16일
    사망 :
    2015년 4월 13일
    국적 :
    독일
    대표작 :
    양철북, 넙치, 텔크테에서의 만남, 양파 껍질을 벗기며
    수상 :
    1999년 노벨문학상
  • 시점
    시점은 다음을 가리킨다. 시점(時點,time point)은 시간의 흐름 가운데 어느 한 순간을 가리킨다. 시점(視點)은 문학 및 소설에서, 이야기를 서술하여 나가는 방식이나 관점으로 작중 화자가 ‘나’인 일인칭과 ‘그’인 삼인칭등이 있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뷰파인더 viewfinder
    만든다. 투영된 상은 위 아래가 바뀌지도, 앞뒤가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직사식과 이안 반사식 뷰파인더가 장치된 사진기에서는 파인더와 사진기 렌즈의 시점(視點)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시차'(視差)로 알려진 작은 오류가 발생한다. 이런 오류는 파인더를 사진기 렌즈에 될 수 있는한 가깝게 놓음으로써, 또는 파인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취미
  • 옵아트 광학미술, op art
    형식적인 것에 천착했던 경향의 미술이다. 색채 대비와 조화, 선(線)의 운동 등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착시효과를 노리거나, 조각류의 작품 등에서는 시점(視點) 이동 혹은 작품의 변동으로 일어나는 조형상의 변화를 추구하는 등 모든 광학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려 했다. 오늘날에도 벽지나...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물체 공간 物體空間, object space
    두고 떨어져 있거나 붙어 있거나 한다. 이것이 화면상에 투영될 때에 대상 물체는 2차원 공간 내에 존재하며 이 공간을 화면 공간이라고 한다. 또 어떤 시점(視點)으로부터 직접 볼 수 있는 물체 공간을 시점 피라미드라고 하는데 시점 피라미드는 관찰자의 눈을 정점(頂點)으로 하는 4매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안...
  • 태평성시도 太平城市圖
    재료와 물품의 상점이 많이 그려졌다. 경관은 우상부로 완만하게 수렴되는 사선 구도를 이룬다. 대부분의 화면은 하늘 위에서 약간 비껴 내려다보는 부감시점(俯瞰視點)으로 그려졌으나 원경(遠景)은 평원(平遠) 시점으로, 일부 건물은 고원법(高遠法)으로 그려져 복합시점(複合視點)을 취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태평...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