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모노세키 전쟁 (관련어 시모노세키전쟁) Shimonoseki camp..
    전쟁 정보 시모노세키 전쟁은 에도 막부 말기에 조슈번과 미국·영국·프랑스·네덜란드의 4개국 사이에서 1863년(분큐 3년)과 1864년(분큐 4년)의 2회에 걸쳐서 발생한 무력 충돌 사건이다. 역사적으로 1864년의 전투를 ‘바칸 전쟁’이라고 부르며, 1863년의 전투는 그 원인이 된 사건으로 다루어진다. 오늘날 1863년...
    도서 위키백과
  • 청일전쟁 淸日戰爭
    11월 22일 뤼순[旅順]이 점령되었다. 일본군은 뤼순 시내에서 시민과 포로 약 6만 명을 학살하고 시가지를 불사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강화교섭과 시모노세키 조약 전쟁에 참패한 청나라정부는 강화를 시도하고 대표단을 일본에 파견했다. 청나라 대표단이 파견되기 직전, 일본에서는 조선의 독립승인(청의 종주권 파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시모노세키 조약 일청강화조약, 下關條約
    개요 일본과 청이 청일전쟁의 결과로 체결한 조약. 청과 일본 양국간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던 청일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에서 맺어진 조약으로 패전국인 청이 일본에 대하여 그동안 누리던 여러 권리를 대폭 양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배경 일본정부는 청일전쟁을 종결하면서 무쓰 무네미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시모노세키 Shimonoseki, 下関市
    이후 시모노세키는 조선통신사를 접대하는 장소의 하나가 되었다. 1864년에 외국에 대해 강경 자세를 취하던 조슈번이 열강의 군대와 무력 충돌한 시모노세키 전쟁이 발발하였다. 1889년 - 아카마가세키 시가 성립하였다. 1895년 - 청일 전쟁의 강화 회의 결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 시모노세키 요새 사령부가...
    도서 위키백과
  • 시모노세키 조약 하관조약, <일>下關条約
    그는 지금 강화를 맺을 경우 청국에게 재기의 기회를 주어 또다시 일본과 전쟁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강화를 방해하기 위해 이홍장을 쏜 것이라고 그 경위를...조약안은 몇 차례의 수정 단계를 거쳐 마침내 4월 17일 전문 11조로 된 시모노세키 조약이 조인되었다. 이 조약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1. 조선이...
  • 시모노세키조약
    청일전쟁 후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일본과 청이 맺은 조약으로, “청은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하고 랴오둥 반도와 대만을 일본에 넘겨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시모노세키 조약 Treaty of Shimonoseki, 下関条約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전개된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이다. 하관조약(下關條約), 마관조약(馬關條約)으로도 지칭한다.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청일전쟁이 종결되었다. 청국이 조선의 독립자주체제...
    도서 위키백과
  • 중화질서의 붕괴, 청일전쟁
    작전에 돌입했다. 1895년, 결국 청나라는 이홍장을 전권대사로 파견하여 일본과 화친을 요청했다. 1895년 4월, 청일전쟁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며 종결되었다. 전쟁의 승리로 얻은 시모노세키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나라는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한다. 둘째, 청나라는 요동 반도, 대만...
    시대 :
    1894년
  • 조선을 둘러싼 청나라와 일본의 패권 다툼, 청일 전쟁
    성과 타이완 섬 사이의 타이완 해협에 있는 제도)에 이어 타이완(중국 대륙의 남동쪽, 푸젠 성과 타이완 해협 사이에 위치한 섬)까지 점령하였다. 시모노세키 조약과 전쟁의 영향 베이징까지 위험한 지경에 이르자, 청나라 조정은 급히 이홍장을 전권 대사로 임명하고 강화 대표단을 시모노세키(일본 혼슈 야마구치 현에...
    발생 :
    1894년
    종결 :
    1895년
  • 청일전쟁 淸日戰爭
    열었으나, 3월 24일 이홍장저격사건이 일어나 한때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평양전투와 황해해전 직후부터 전쟁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영국·러시아·프랑스·독일·미국 등 열강의 간섭을 우려한 일본은 결국 4월 17일 청일강화조약, 즉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을 성립시켰다. 청일...
    시대 :
    근대
    발생 :
    1894년
    성격 :
    전쟁
    유형 :
    사건
    종결 :
    1895년
    분야 :
    역사/근대사
  • 청나라 시대, 동학 혁명과 청일 전쟁
    거부하여 시모노세키 조약을 전면 백지화할 염려도 있다.” 사실 일본은 3국 간섭을 거부할 능력이 없었다. 특히 러시아는 무력까지 동원할 움직임마저 보였기...권고를 받아들여 요동 반도를 청국에 반환하기로 결정하였다. 청일 간의 강화 조약은 예정대로 5월 7일 산동 반도의 지부에서 비준서가 교환됨으로써 청일 전쟁
  • 청·일 전쟁 淸日戰爭, Sino-Japanese War
    청나라 북양 함대와 벌인 황해 해전에서 승리한 일본은 중국 본토로 침입했고, 중국은 강화를 통해 거액의 배상금과 랴오둥·타이완·펑후 할양, 서구에 준하는 개항 등 굴욕적인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했다. 청일 전쟁 후 일본은 조선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고, 중국은 본격적으로 서구 침탈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