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시모노세키조약청일전쟁 후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일본과 청이 맺은 조약으로, “청은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하고 랴오둥 반도와 대만을 일본에 넘겨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중화질서의 붕괴, 청일전쟁작전에 돌입했다. 1895년, 결국 청나라는 이홍장을 전권대사로 파견하여 일본과 화친을 요청했다. 1895년 4월, 청일전쟁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며 종결되었다. 전쟁의 승리로 얻은 시모노세키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나라는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한다. 둘째, 청나라는 요동 반도, 대만...
- 시대 :
- 1894년
-
조선을 둘러싼 청나라와 일본의 패권 다툼, 청일 전쟁성과 타이완 섬 사이의 타이완 해협에 있는 제도)에 이어 타이완(중국 대륙의 남동쪽, 푸젠 성과 타이완 해협 사이에 위치한 섬)까지 점령하였다. 시모노세키 조약과 전쟁의 영향 베이징까지 위험한 지경에 이르자, 청나라 조정은 급히 이홍장을 전권 대사로 임명하고 강화 대표단을 시모노세키(일본 혼슈 야마구치 현에...
- 발생 :
- 1894년
- 종결 :
- 1895년
-
청일전쟁 淸日戰爭열었으나, 3월 24일 이홍장저격사건이 일어나 한때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평양전투와 황해해전 직후부터 전쟁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영국·러시아·프랑스·독일·미국 등 열강의 간섭을 우려한 일본은 결국 4월 17일 청일강화조약, 즉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을 성립시켰다. 청일...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94년
- 성격 :
- 전쟁
- 유형 :
- 사건
- 종결 :
- 1895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청나라 시대, 동학 혁명과 청일 전쟁거부하여 시모노세키 조약을 전면 백지화할 염려도 있다.” 사실 일본은 3국 간섭을 거부할 능력이 없었다. 특히 러시아는 무력까지 동원할 움직임마저 보였기...권고를 받아들여 요동 반도를 청국에 반환하기로 결정하였다. 청일 간의 강화 조약은 예정대로 5월 7일 산동 반도의 지부에서 비준서가 교환됨으로써 청일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