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김새
    선율을 이루는 골격음의 앞이나 뒤에서 그 음을 꾸며주는 임무를 띤 장식음.|내용 넓은 의미로는 선율선(旋律線)이나 절주(節奏:리듬)의 자연스런 연결이나 유연한 흐름을 위하여 또는 화려함과 멋스러움을 위하여 어느 음에 부여되는 표현기능을 뜻하는 용어로 쓰인다. 식음(飾音)새, 또는 시금새로도 부른다. 같은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시김새
    각 악기마다 주법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하며, 정악·민속악 등 악곡에 따라 독특한 시김새가 있다. 농현은 서양의 비브라토와 같이 음을 잘게 또는 굵게 떨어주는 것이고, 음을 순간적으로 굴려주는 전성, 줄을 밀어올리는 추성, 밀어올린 것을 흘려내리는 퇴성 등은 모든 악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시김새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목, 불시에 튀는 목 등이 묘사되고 있다. 신재효가 「광대가」에서 목을 길게 풀어 서술한 것으로 보아 음악용어라기보다 노래의 어느 대목에 나타나는 특이한 시김새·선율형조의 특성을 풀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된목·메나리목은 음악용어로서 목의 명칭이라 할 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경상북도 예천 장례 소리
    오호"하고 받는다. 가락의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이고, 주요음은 '미', '라', '도'이고, '미'에서 떨고, '레'에서 '도'로 흘러내리는 시김새를 쓰며, '미'나 '라'로 마치는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처량하게 들린다./ 들린다./ ./ 잦은 상여 소리(너화 넘차 소리): 상여가 마을을 벗어나면 부르는 소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나주 농사짓기 소리 김매기 소리
    마뒤여"하는 입타령으로 뒷소리를 부른다. 구성음은 '솔','라','도','레','미'의 다섯 음계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치므로 경토리와 비슷하나 가끔 육자배기 시김새가 들어가 특이한 맛을 낸다. 유장하고 꿋꿋한 느낌을 준다. 절사 소리 두벌 김매기를 할 때에 부르는 소리로, 제목은 후렴 부분인 뒷소리에 나오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전라남도 나주 장례 소리
    레'로 되어 있고, 주요음이 '미', '라', '도'이고, '미'로 마치는 메나리토리인데, 선소리꾼에 따라서는 '도'가 '시'로 조금씩 흘러내려 육자배기토리의 시김새가 끼기도 한다. 이 소리가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음은 염불 소리인 〈관음보살〉의 영향으로 보인다. 매우 처량하고 신비한 느낌을 준다. 어널 소리 '어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부여 농사짓기 소리 모심기 소리
    있고, 주요음이 '미', '라', '시'로서 '미'와 '라'는 4도가 되고 '라'와 '시'는 2도가 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미'에서 크게 떨며, '도'에서 '시'로 흘러내리는 시김새이고, '라'로 마치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뒷소리의 가락은 구성음이 '솔', '라', '도', '레', '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치는 경토리로 시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전라도민요 全羅道民謠
    특징을 일컫는 말이다. 이 토리로 된 소리의 구성음은 '미','솔','라','시','도','레'인데, '미','라','시'가 주요음이고, '미'나 '라'로 마친다. 이 토리의 시김새를 보면, '미'에서 떠는 목을 많이 쓰고, '레'나 '도'에서 '시'로 흘러내리는 목을 많이 쓴다. 이 토리는 슬픈 느낌을 주며, 시김새가 짙어서 음악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제주민요 濟州民謠
    밭밟는소리(밭리는소리, 혹은 리는소리)>가 유명하다. 조씨를 파종한 다음 조랑말을 앞세워 밭을 밟으면서 부르는 소리로, 장단 없이 굴곡이 심한 시김새를 많이 사용하여 부르는 가락이 특이하다. 예전에는 보리타작이 끝나는 6월 한달 동안은 제주의 들녘에 조의 파종을 서두르며 부르는 농부들의 밭밟는 소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볏단세는소리
    위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볏단을 셀 때 단순하게 숫자를 열거하지 않고 일정한 곡조를 넣으면 하나의 노래가 되는데, 이럴 때도 그 지역 고유의 음계와 시김새가 들어간다. 숫자를 셀 때 단순히 숫자를 나열하지 않고 숫자와 관련된 말을 늘어놓는 방법으로 변화를 준다. 내용 단순한 형태의 볏단세는소리의 노랫말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충청북도 중원 장례 소리
    가락의 구성음은 〈오호 소리〉와 같이 '미', '솔', '라', '도', '레'이고, 주요음이 '미', '라', '도'이고, '미'에서 떨며, '레'에서 '도'로 흘러내리는 시김새를 쓰며, '미'로 마치는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처량하면서도 씩씩한 느낌을 준다. 상여꾼들이〈짝소리〉를 주고 받으며 장지로 가다가 가파른 길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강원도 명주 장례 소리
    아 어어이 우 어어"하고 입타령으로 받는다. 가락의 구성음은 '솔', '라', '도', '레', '미'이고, 주요음은 '솔', '도', '레'이고, '레'가 '도'로 흘러내리는 시김새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치는 경토리이다. 유장하고 처량한 느낌을 준다. 행군 소리(유대군 소리) 학산리에서는 상여가 길로 나서면 '에호 소리'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8건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시김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