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스피어먼 상관 계수 (관련어 스피어만 상관 계수) Spearman's ..
    통계에서 스피어먼 상관 계수는 두 변수의 순위 사이의 통계적 의존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인 척도이다. 이는 두 변수의 관계가 단조함수(單調函數,monotonic function)를 사용하여 얼마나 잘 설명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두 변수 간의 스피어먼 상관 계수는 두 변수의 순위 값 사이의 피어슨 상관 계수와 같다. 따라...
    도서 위키백과
  • 스피어만 브라운 공식 Spearman–Brown prediction form..
    지칭된다. 스피어만 브라운 공식은 검사의 길이를 변경시켰을 때 검사의 신뢰도를 예측하는 공식으로 사용된다. 혹은, 검사의 임의의 반분간 상관관계에서 항목간 신뢰도를 구하기 위한 반분 신뢰도 공식으로도 사용된다. 예측 공식 {\rho}^*_{xx'}은 다음과 같다. {\rho}^*_{xx'}=\frac{n{\rho}_{xx'}}{1+(n-1){\rho...
    도서 위키백과
  • 피어슨 상관 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
    rho^2 을 얻을수있다. 컴퓨팅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인 상관관계 분석 함수로서 피어슨 상관계수가 사용되며 스프레드 시트에서는 Correl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SPSS 및 PSPP에서는 이변량 상관분석(bivariate analysis 또는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등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된다. 스피어만 상관 계수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相関係数
    정도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계수이다. 여러 유형의 상관계수가 존재하지만 제각기 자신들만의 정의와 특징이 있다. 이들은 모두 값의 범위가 -1에서 +1 사이에 속하며 여기서 ±1은 정도가 가장 센 잠재적 일치를 나타내고 0은 정도가 가장 센 불일치를 나타낸다. 결정계수 피어슨 상관 계수 스피어만 상관 계수 통계학
    도서 위키백과
  • 상관 분석 Correlation, 相関
    0.3 사이이면, 약한 양적 선형관계, r이 +0.3과 +0.7 사이이면,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 r이 +0.7과 +1.0 사이이면, 강한 양적 선형관계 로 해석한다. 스피어만 상관 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는 데이터가 서열척도인 경우 즉 자료의 값 대신 순위를 이용하는 경우의 상관 계수로서, 데이터를 작은 것부터...
    도서 위키백과
  • 크론바흐 알파 계수 Cronbach's alpha, 克隆巴赫系数
    대신 상관관계 행렬을 사용하더라도 정보의 손실이 없다. 모든 평행한 자료는 타우동등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세 조건 중 평행 조건이 가장 충족되기 어렵다. Observed covariance matrix ! X_1 X_2 X_3 X_4 X_1 10 6 6 6 X_2 6 10 6 6 X_3 6 6 10 6 X_4 6 6 6 10 타우동등한 (tau-equivalent) 자료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