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숭정대부 崇政大夫조선시대 종1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상계는 숭록대부(崇祿大夫), 하계는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정하여졌다. 『대전회통』에서는 종친과 의빈의 품계가 동반계와 통합되면서 종친과 의빈 종1품 하계의 위호도 숭정대부로 바뀌었다.→문산계 참...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품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92년(태조 1) 7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종일품 從一品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1품 문산계의 상계는 숭록대부(崇祿大夫), 하계는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정하였다. 한편, 1443년(세종 25) 12월 종친계의 상·하계로 소덕대부(昭德大夫)와 가덕대부(嘉德大夫)가 신설되었고, 의빈계는 1444년 7월 광덕대부(光德大夫)와...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관품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어유소 자유(子游), 魚有沼모친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영안도에서 올적합(兀狄哈)의 세력이 강해지자, 이듬해 7월 다시 기복해 영안도순찰사로 나갔고 8월에는 또다시 숭정대부로 예성군 겸 영안북도절도사가 되었다. 이후 북도 방어에 없어서는 안 될 무장으로서 임기를 두 차례나 넘기면서 머물렀다. 1475년 1월에는 우참찬 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폭포사 묘법연화경 법화경, 瀑布寺 妙法蓮華經정유[1477년]이월”이라는 내용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성달생의 발문을 이어 “효령대군(孝寕大君) 월산대군(月山大君) 정경부인윤씨(貞敬夫人尹氏) 숭정대부서평군한계희(崇政大夫西平君韓継喜) 가선대부참판한계선(嘉善大夫叅判韓継善) 숭정대부청평군한계순(崇政大夫淸平君韓継純) 자헌대부오위도총부도관서양군한의...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금천선원 묘법연화경 법화경, 金泉禪院 妙法蓮華經정유(1477년)이월“이라는 내용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성달생의 발문을 이어 “효령대군(孝寕大君) 월산대군(月山大君) 정경부인윤씨(貞敬夫人尹氏) 숭정대부서평군한계희(崇政大夫西平君韓継喜) 가선대부참판한계선(嘉善大夫叅判韓継善) 숭정대부청평군한계순(崇政大夫淸平君韓継純) 자헌대부오위도총부도관서양군한의...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양성지 순부(純夫), 梁誠之양성지 가문은 중앙 관료로 진출하지 않고 남원에서 세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양성지의 아버지는 종3품 중훈대부 예빈시윤 양구주(梁九疇)이며, 사후에 숭정대부 의정부 우찬성에 추증되었다. 어머니 안동권씨는 전주부윤 권담(權湛)의 딸이다. 양성지의 형제는 현감 양경지(梁敬之)와 부장 양신지가 있다. 양성지의...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원익 조선 중기의 문신왜란이 발발하자 평안도순찰사가 되어 왕의 피란길을 선도하고 군사를 모아 일본군과 싸웠다. 1593년에 이여송(李如松)과 합세하여 평양을 탈환한 공으로 숭정대부가 되었으며, 1595년에는 우의정 겸 4도체찰사에 임명되었다. 명나라에 진주변무사(陳奏辨誣使)로 다녀와 영의정이 되었으며 그뒤 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가...
- 출생 :
- 1547(명종 2), 서울
- 사망 :
- 1634(인조 12)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전주(全州)
- 시호 :
- 문충(文忠)
- 자 :
- 공려(功勵)
- 호 :
- 오리(梧里)
-
이덕형 원백(遠伯), 李德泂앞세워 반정을 보고했고, 능양군에게 어보(御寶)를 내리게 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인조 때는 한성부판윤이 되어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품계가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오르고, 주문사(奏聞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왕을 강화에 호종하고,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남한산성에 호종...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6년(명종 21)
- 사망 :
- 1645년(인조 23)
- 경력 :
- 황해감사, 예조판서, 판의금부사, 우찬성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죽창한화(竹窓閑話), 송도기이(松都記異)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정이오 수가(粹可), 鄭以吾하였다. 세종이 즉위하자 태실증고사(胎室證考使)가 되어 진주 각처를 다녔고, 속현인 곤명(昆明)을 태실소로 정하게 하였다. 노성(老成)한 덕이 있다 하여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젊어서는 이색(李穡) · 정몽주(鄭夢周)의 문인과 교유하였고 늙어서는 성석린(成石璘) · 이행(李行) 등과 교유하였다. 특히 그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권황 사영(思瑩), 權愰되고 가선대부에 올랐다. 1635년(인조 13)에 가의대부가 되고, 1640년(인조 18)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효도와 청백리로 이름이 있었고, 백성을 사랑하고, 특히 종사의 판결에 신중하여 마전군수로 있을 때는 사형수의 무죄를 밝혀내기도 하였다. 숭정대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3년(중종 38)
- 사망 :
- 1641년(인조 19)
- 경력 :
- 지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