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순정 조율 純正調律, just intonation
    자연 배음렬상의 순정 장3도와 자연 배음렬에서 각기 제4배음과 제5배음 사이의 음정, 제2배음과 제3배음 사이의 음정에 해당하는 순정 5도(→ 배음)를 증감하는 방식으로 음계의 모든 음정을 계산하여 만든 음률이다. 중세 단성음악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론가들에 의해 깊이 연구되었으나 다성음악에서는 사용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국체론 및 순정사회주의 Kokutairon and Pure Socialism..
    『국체론 및 순정사회주의』는 1906년(메이지 39년) 5월 9일 기타 잇키가 간행한 자비출판 서적이다. 23세 때 썼으며, 분량은 998 페이지. 기타의 처녀작이다. 일본 제국 헌법으로 규정되는 천황제를 격렬하게 비판하고, 메이지 유신을 "유신혁명"으로 칭하면서 유신혁명의 진짜 가치는 민주주의에 있다고 주장했다...
    도서 위키백과
  • 엄나무 음나무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해동피산(海桐皮散)·신선퇴풍단(神仙退風丹)이 있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잘 정선하여 종자를 얻어야 되는데, 순정(純正) 종자의 양은 매우 희귀하기 때문에 수선법에 의하여, 완전한 종자만을 얻어서 마르지 않도록 하여 온상에 매장하여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산파한다. 참고문헌
    분류 :
    두릅나무과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5m, 지름 1m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6∼7월
  • 윤민헌 익세(翼世), 尹民獻
    때 공주로 왕을 호종한 공으로 통정대부에 오르고,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공조참의에 이르러 병으로 사직하였으며, 안산으로 돌아와 죽었다. 자질과 성품이 순정(純正)하고, 일을 당하여 스스로 지킬 줄 알았으며, 경사(經史)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다. 특히, 조맹부(趙孟頫)를 사숙(私淑)하여 해서를 잘 쓰고 그림도 잘...
    시대 :
    조선
    출생 :
    1562년(명종 17)
    사망 :
    1628년(인조 6)
    경력 :
    전라도도사, 형조정랑, 장령, 내섬시정(內贍寺正), 평안도절도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격재문집 格齋文集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전기의 작품치고는 비교적 많은 분량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김굉은 서문에서 “그의 경학과 문장은 모두 박아(博雅)하고 순정(純正)하며, 김종직(金宗直)과 겨룰 만하다.”고 하였다. 권1의 시 가운데 영물시(詠物詩)인 「목부용(木芙蓉)」과 「월야우제(月夜偶題)」 · 「북간부주(北澗...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순언 醇言
    그리고 각 장의 끝에는 간명하게 전체 의미를 요약해 놓고 있어 ‘노자초해구결(老子鈔解口訣)’이라는 부제(附題)와 어울린다. 『순언』이라는 표제는 ‘순정(純正)한 글’, ‘좋은 글’이라는 뜻으로 홍계희(洪啓禧)의 발문에서처럼 ‘옳지 않은 내용은 빼버리고 옳은 글만 뽑아 모았기 때문’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이(李珥)
    성격 :
    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도교
  • 파워 아울렛 power outlet
    배터리로부터 DC전원을, AC 100V로 변환해서 가전제품을 차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가 있는 전압변환기(정격전력은 기종에 따라 다양하다). 순정(純正) 액세서리, 범용품모두 포터블타입이 주류인데, 배터리 방전 방지 기능이 있는 차량 구조 타입(정격전력은 100W 이하가 일반적)도, 일부 차종에 옵션 또는...
  • 독사신론 讀史新論
    잡지 『소년』 1910년 8월호에 「국사사론」이라는 제목으로 전재되었는데, 이따금 표현의 차이 및 삭탈된 부분이 있다. 이를 전재하면서 최남선은 “순정사학(純正史學)의 산물로 보아주기는 너무 경솔하고, 그렇다고 순연히 감정의 결정이라고만 하기도 바르지 못한지라……조국의 역사에 대해 가장 걱정하는 마음을...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군형법 軍刑法
    첫째, 특수한 범죄유형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군형법」에서는 일반사회에서 범죄로 다루어질 수 없는 성질의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순정군사범(純正軍事犯)이라고 불리는 것이 그것이다. 예를 들면 불법전투개시죄(不法戰鬪開始罪)·군무이탈죄(軍務離脫罪)·항명죄(抗命罪) 등 많은 범죄유형이 이에...
    시대 :
    현대
    성격 :
    군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2년 1월 20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오헌사고 寤軒私稿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음아록」은 시집으로 구성 분량이 상당히 방대하며, 시형·소재·내용 등도 다양하다. 저자의 시는 대개 당시 순정문학파(純正文學派)의 문학적 경향에 따른 시풍을 느끼게 한다. 여러 지방관을 역임하는 동안 새로 접하는 풍물들을 읊은 것이 많다. 예리한 문학적 감수성으로 예술...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계온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해좌문집 海左文集
    한수사 漢水詞> 또한 강안(江岸)의 경치를 배경 삼아 음악적 감흥으로 염정을 은유하며 서정을 강하게 표현한 것이다. 시는 영조·정조 시대 순정문학파(純正文學派)가 취했던 문학적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송채시랑백규재안악 送蔡侍郎伯規宰安岳>·<화번암백규운 和樊巖伯規韻> 등 채제공...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범조(丁範祖)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9권 19책(零本)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기타 잇키 北一輝, Kita Ikki
    1904년 도쿄로 와서 와세다대학의 청강생이 되었으며 1906년 〈국체론 및 순정사회주의 國體論及び純正社會主義〉를 자비로 출판하여 독특한 사회주의론을 전개했으나 발매금지를 당했다. 고토쿠 슈스이[幸德秋水], 사카이 도시히코[堺利彦]와도 교류했으며 중국혁명동맹회에 참가하여 쑹자오런[宋敎仁] 등을 지원했다...
    출생 :
    1883. 4. 3, 일본 니가타 현[新潟縣] 사도 섬[佐渡島]
    사망 :
    1937. 8. 19,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