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저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르는 말.|식사 때 사용하는 용구로 시저(匙箸)라고도 한다. 수저는 동양에서만 사용되는 식기용구인데 처음에는 조개껍데기나 나무로 만들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점차 백동·놋쇠·금·은 등으로 만들어졌다. 중국에서는 사기로 숟가락을 만들기도 하며, 일본에서는 젓가락을 대나무로 만들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수저
    식사할 때에 쓰는 용구.|내용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한 벌을 이룬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숟가락은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나진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골제품(骨製品)이다. 중국에서는 서기전 10∼6세기경의 가요를 모은 ≪시경≫에 처음 기록이 나온다. 일본에서는 서기전 3세기경의 유적지에서 출토되었다. 젓가락...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용도 :
    식기, 잔치용
    관련 의례 :
    돌잔치
    분야 :
    생활/식생활
  • 수저 Sujeo, スジョ
    한국의 요리 목록 수저는 한국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수저는 쇠로 만든 젓가락과 같은 재료의 숟가락이 한 세트를 이룬다. 수저로 음식을 먹을 때 숟가락과 젓가락은 따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식사 예절이다. 젓가락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에 놓아둔다. 수저를 ...
    도서 위키백과
  • 방짜수저장 방짜수저匠
    개설 2003년 강원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방짜수저는 한 벌이 만들어지기까지 사흘 동안 두드리고, 펴고, 다시 두드리는 전통적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렇게 만들어야 ‘참’ 방짜수저가 된다. ‘참’이라는 표현을 쓰는 강릉 방짜수저는 참쇠로 만들고, 참빛을 띠고, 참소리가 나고, 참모양을 이루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옥란빙 수저옥난빙, 玉鸞聘
    이본 현황 및 서지 국문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다. 국문 필사본은 「옥난긔봉」·「수졔옥난병」·「수저옥난빙」 등이 있다. 활자본은 ‘옥난빙’으로 되어 있다. 회동서관(1918), 대창서원 · 보급서관(1921), 경성서적조합(1921) 등이 있다. 9회의 회장체로 되어 있다. 각회 서두에는 간략하게 줄거리를 요약해 놓았다...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심만삼수저 심만삼이 잠든 곳, 선완싼 수이디무
    마을에는 심만삼의 묘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묘 외에도 저우좡에는 심만삼의 이름을 딴 것들이 많다. 저우좡의 명물 요리 중 하나인 완싼티(万三蹄)도 심만삼의 유명세를 이용한 요리 중 하나이다. [Travel Tip] 완싼티(万三蹄) 강남의 거부 심만삼(沈万三) 일가가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차려 놓던 요리로, 수백 년의...
  • Sujeo 수저
    Sujeo (수저) is the Korean word for the set of eating utensils commonly used to eat Korean cuisine. The word is a portmanteau of the words sutgarak ("spoon") and jeotgarak ("chopsticks"). The sujeo set includes a pair of oval-shaped or rounded-rectangular metal (often stainless steel) chopsticks,...
  • 쌍학문 자수 수저주머니 雙鶴紋刺繡囊
    유물설명 홍색 무문단의 앞면 하단에 바위와 영지, 파도, 중앙에 소나무 · 모란 · 쌍학 등의 십장생문을 오색사로 수놓아 수복부귀강녕(壽福富貴康寧)의 소망을 표현하였다. 수저집의 뚜껑 앞뒷면에는 각각 두 송이의 매화를 수놓았다. 매화의 씨방에는 나란히 구멍을 뚫고 겨자색 끈을 꿰어 방석매듭을 맺고, 그 아래...
    분류 :
    유물 > 장신구
    크기 :
    높이 29.5cm, 너비 9.1cm
    재질 :
    견 · 견사 · 은사
  • 수저계급론 Spoon class theory, スプーン階級論
    소득 대비 연간 상속액 비율도 80년대 연평균 5.0%에서 2010~2013년 8.2%로 증가했다. 개인이 노력해 버는 소득보다 물려받은 자산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수저 계급론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가 <21세기 자본>에서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면서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보다 과거의 축적된...
    도서 위키백과
  • 수저퇴적물 水低堆積物, benthal deposit, bottom deposit
    하천, 호소 및 해역의 바닥에 침전된 물질을 말한다. 생물의 사체, 식물 및 인간 생활의 배출물 등의 유기물을 포함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수저 케이블 水底 케이블, subaqueous cable
    해저, 하천 또는 호소에 부설하는 케이블을 말한다.
  • 민중연합당 People's United Party (South Korea), 民衆連合党
    창당준비위원회 공동대표로 선출된 강승철 전 민주노총 사무총장(비정규직철폐당 대표), 이광석 전 전농 의장(농민당 대표), 손솔 전 이화여대 총학생회장(흙수저당 대표)이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이들은 “헬조선 청년들이 ‘흙수저당’을 만들고 ‘농민당’을 만들겠다는 농민, ‘비정규직 철폐’를 내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수저
수저
백동수저
청동수저
무령왕릉 출토 수저
쌍학문 자수 수저주머니
쌍학문 자수 수저주머니
쌍학문 자수 수저주머니
쌍학문 자수 수저주머니
김순구가 옥중에서 사용했던 수저
심만삼수저묘(선완싼 수이디무, 沈万三水底墓)
과천 출토 광주이씨 의복 협수저고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