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복강녕 현판 壽福康寧 懸板
    유물설명 1904년(광무 8)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 1897~1970)이 8세 때 쓴 글씨로 만든 현판이다. 건강과 장수를 의미하는 글귀인 ‘수복강녕(壽福康寧, 오래 살고 복되며 건강하고 편안하다)’을 새긴 것으로, 영친왕이 학문을 닦으면서 배운 내용을 현판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현판은 나무가 아닌 붉은색 종이...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106.5cmcm, 세로: 37.6cmcm
    재질 :
    나무
  •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囊用壽福康寧字紋木板
    유물설명 조선시대 왕실 주머니에 금박을 찍을 때 사용하던 목판이다. 'ㄴ'자 형 목판 양면에 영지문양과 함께 각각 '수복(壽福)'자와 '강녕(康寧)'자가 양각되어 있다. 이 목판과 유사한 문양이 영친왕비 수복자문 부금 귀주머니(궁중220)에서 확인된다. 목판 옆쪽에 '경오신조'라고 음각되어 있고, '줌치판 십개' 라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7.5cm, 세로: 7.6cm, 높이: 2.5cm
    재질 :
    나무
  •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囊用壽福康寧字紋木板
    유물설명 조선시대 왕실 주머니에 금박을 찍을 때 사용하던 목판이다. 'ㄴ'자 형 목판 양면에 영지문양과 함께 각각 '수복(壽福)'자와 '강녕(康寧)'자가 양각되어 있다. 이 목판과 유사한 문양이 영친왕비 수복자문 부금 귀주머니(궁중220)에서 확인된다. 목판 옆쪽에 '을묘신조' 라는 묵서가 있다.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6.8cm, 세로: 7.0cm, 높이: 2.1cm
    재질 :
    나무
  • 백자청화수복강녕자무늬발 白磁靑畵壽福康寧字文鉢
    유물설명 담청색의 대형 청화백자 사발(鉢)이다. 발의 기형은 입구 부분이 곧게 뻗어 있고 기벽이 수직에 가까우며 안 바닥은 깊고 둥글다. 굽은 높이가 낮은 직립굽이고 외경(外境)하였다. 굽의 내면은 깊고 안바닥은 평평하다. 문양은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발의 안바닥에는 '壽'자문을 크게 써 넣었다...
    분류 :
    유물 > 도자기
    크기 :
    전체높이: 12.5cmcm, 입지름: 21.2cmcm
    재질 :
    백자
  • 백자수복강녕자무늬항아리 白磁壽福康寧字文壺
    유물설명 둥근 형태의 백자항아리이다. 아가리는 직립하였고 금속을 덧대어 놓았다. 몸체 전면에 세로의 가는 골을 만들어 주름무늬를 표현하였다. 몸체 네 곳에 동일한 간격의 꽃모양의 창을 만들어 놓고 각각 ‘壽福康寧’(수복강령)을 가는 양각으로 새겨놓았다.
    분류 :
    유물 > 도자기
    크기 :
    높이: 19.9cmcm, 바닥지름: 11.3cmcm, 입지름: 11.6cmcm
    재질 :
    백자
  • '강·녕'자문 목판 康·寧字紋木板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양면에 각각 '강(康)'자와 '녕(寧)'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壽) · 복(福)'자문 목판과 함께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궁중88), 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2cm, 세로: 2.1cm, 높이: 2.5cm
    재질 :
    나무
  • '강'자문 목판 康字紋木板
    깃이나 고름, 선단 부분에 부금(付金)하여 착용자의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강(康)'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문구를 만들어 찍는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3.9cm, 세로: 4.3cm, 높이: 2.5cm
    재질 :
    나무
  • '강·녕'자문 목판 康·寧字紋木板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양면에 각각 '강(康)'자와 '녕(寧)'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壽) · 복(福)'자문 목판과 함께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궁중88), 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9cm, 세로: 2.9cm, 높이: 1.5cm
    재질 :
    나무
  • '강·녕'자문 목판 康·寧字紋木板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양면에 각각 '강(康)'자와 '녕(寧)'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壽) · 복(福)'자문 목판과 함께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궁중88), 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3.0cm, 세로: 3.0cm, 높이: 1.6cm
    재질 :
    나무
  • '강'자문 목판 康字紋木板
    깃이나 고름, 선단 부분에 부금(付金)하여 착용자의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강(康)'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문구를 만들어 찍는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1cm, 세로: 2.7cm, 높이: 2.0cm
    재질 :
    나무
  • '강'자문 목판 康字紋木板
    깃이나 고름, 선단 부분에 부금(付金) 하여 착용자의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강(康)'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문구를 만들어 찍는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6.5cm, 세로: 8.6cm, 높이: 2.5cm
    재질 :
    나무
  • '강·녕'자문 목판 康·寧字紋木板
    부귀영화를 기원하였다. 왕실 아동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양면에 각각 '강(康)'자와 '녕(寧)'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수(壽) · 복(福)'자문 목판과 함께 '수복강녕(壽福康寧)'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원룡문단 부금 복건(궁중88), 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1cm, 세로: 1.9cm, 높이: 2.8cm
    재질 :
    나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7건

수복강녕 현판
수복강녕 현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주머니용 '수복강녕'자문 목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