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법수도교화원 유불선삼법대도(儒佛仙三法大道), 삼법원(三法院), 三法修道敎化院수련방법은 자기의 성명을 정면 벽에 부착하고 그 앞에 정좌하여 눈을 감은 채 태상노군과 아미타불을 외운다. 독송을 계속하면서 때때로 찬물을 마신다. 연중 여섯 차례의 정례치성을 드리며, 매년 7주간의 단식수련과 7주간의 식반수련이 있다. ≪정경 正經≫·≪삼법수도진리 三法修道眞理≫ 등의 경전이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위치 :
- 경남 김해시 불암동
- 설립 :
- 1960년
- 성격 :
- 신종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배무생(裵戊生)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용화사 타불교(陀佛敎), 龍華寺권위를 갖추지 못한 때문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윤유선 교단처럼 태고종 사찰로 등록하거나, 같은 봉남계 교단인 천지대안교(天地大安敎)나 삼법수도교화원(三法修道敎化院)의 제주 지부를 자처하는 경우가 많았다. 용화사도 비슷한 길을 선택하였다. 1980년 임병귀는 용화사를 삼법수도교화원(三法修道敎化院...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1년
- 성격 :
- 신종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임병귀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손자병법 군형편, 선용병자 수도이보법 고능위승패지정 善用兵者 修道而保法 故能爲勝..생산되는 자원의 양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셋째는 수(數)이다. 수는 구체적으로 인구의 수를 말한다. 인구수가 많으면 전쟁에 참여할 수 있는 병사의 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그 당시 인구수는 곧 병력이라고 볼 수 있다. 량(量)이 수를 낳는다는 말은 자원이 넉넉한 곳에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이다. 넷째는 칭(稱)이다...
-
한국남자수도회사도생활단장상협의회 韓國男子修道會使徒生活長上協議會설립목적 회원 수도회 간 자원·활동·사업의 협력과 조정,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와 개별 주교들과의 적절한 협력과 조정, 교황청 봉헌 생활회·사도생활단성(省), 이외 국제 장상협의회체와의 유기적 연계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내용 1967년 설립 당시 한국에 진출 또는 한국에서 창설한 남자 수도회와 사도 생활단...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9(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406호
- 설립 :
- 1967년 5월 10일
- 성격 :
- 남자 수도회 및 사도 생활단 장상들의 협의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하스(Odo Haas, 오도환) 아빠스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수도가 나옹화상수도가, 修道歌구성 및 형식 3·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수도가’ 외에 ‘증도가’ ‘낙도가’ ‘토굴가’라는 제목의 이본이 전하는데 대부분 나옹화상 이름이 표제에 붙어 있다. ①〈나옹화상증도가〉(60구, 『증도가』) ②〈나옹화상수도가〉(17구, 『감응편』) ③〈나옹화상낙도가〉(70구, 『조선가요집성』) ④〈나옹스님...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불교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단군성조수도원 檀君聖祖修道院신도가 1,000여 명에 달했으며 후원회까지 조직되었다. 이 교단에서는 국조에 대한 보본의식(報本意識)과 민족 주체성을 배양하는 데 주력하고, 『수도보감(修道寶鑑)』이라는 교전을 편찬하여 선교적(仙敎的)인 수련에 의해 정신수양과 치병을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75년 이후로는 대종교(大倧敎)에 편입, 마산...
- 시대 :
- 현대
- 건립시기 :
- 1962년
- 성격 :
- 종교단체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평화동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수도회 修道會그리스도를 따르는 특별한 길을 선택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하느님과 형제자매들을 섬기는 봉사에 자신을 바치려고 모든 것을 버린(봉헌생활, 1항) 수도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리스도교의 여명기부터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나타났던 이러한 봉헌의 삶을 살았던 이들은 ‘십자가를 지고 가는 자들’이 됨으로써...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