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법수도교화원 유불선삼법대도(儒佛仙三法大道), 삼법원(三法院), 三法修道敎化院
    수련방법은 자기의 성명을 정면 벽에 부착하고 그 앞에 정좌하여 눈을 감은 채 태상노군과 아미타불을 외운다. 독송을 계속하면서 때때로 찬물을 마신다. 연중 여섯 차례의 정례치성을 드리며, 매년 7주간의 단식수련과 7주간의 식반수련이 있다. ≪정경 正經≫·≪삼법수도진리 三法修道眞理≫ 등의 경전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위치 :
    경남 김해시 불암동
    설립 :
    1960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배무생(裵戊生)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용화사 타불교(陀佛敎), 龍華寺
    권위를 갖추지 못한 때문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윤유선 교단처럼 태고종 사찰로 등록하거나, 같은 봉남계 교단인 천지대안교(天地大安敎)나 삼법수도교화원(三法修道敎化院)의 제주 지부를 자처하는 경우가 많았다. 용화사도 비슷한 길을 선택하였다. 1980년 임병귀는 용화사를 삼법수도교화원(三法修道敎化院...
    시대 :
    현대
    설립 :
    1951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임병귀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손자병법 군형편, 선용병자 수도이보법 고능위승패지정 善用兵者 修道而保法 故能爲勝..
    생산되는 자원의 양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셋째는 수(數)이다. 수는 구체적으로 인구의 수를 말한다. 인구수가 많으면 전쟁에 참여할 수 있는 병사의 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그 당시 인구수는 곧 병력이라고 볼 수 있다. 량(量)이 수를 낳는다는 말은 자원이 넉넉한 곳에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이다. 넷째는 칭(稱)이다...
  • 한국남자수도회사도생활단장상협의회 韓國男子修道會使徒生活長上協議會
    설립목적 회원 수도회 간 자원·활동·사업의 협력과 조정,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와 개별 주교들과의 적절한 협력과 조정, 교황청 봉헌 생활회·사도생활단성(省), 이외 국제 장상협의회체와의 유기적 연계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내용 1967년 설립 당시 한국에 진출 또는 한국에서 창설한 남자 수도회와 사도 생활단...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9(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406호
    설립 :
    1967년 5월 10일
    성격 :
    남자 수도회 및 사도 생활단 장상들의 협의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하스(Odo Haas, 오도환) 아빠스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수도교범 修道敎範, Manual of Discipline
    공동생활을 더이상 지속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에세네파 사람들이 이 문서를 근처 동굴에 숨겼다고 한다. 보존된 많은 사본들을 통해 에세네파 공동체에서 이 수도교범이 매우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두루마리 문서는 에세네파 지도자들, 즉 제사와 의식을 관장하고 아마 성서 해석도 맡았을 제사장들과 공동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수도 나옹화상수도가, 修道歌
    구성 및 형식 3·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수도가’ 외에 ‘증도가’ ‘낙도가’ ‘토굴가’라는 제목의 이본이 전하는데 대부분 나옹화상 이름이 표제에 붙어 있다. ①〈나옹화상증도가〉(60구, 『증도가』) ②〈나옹화상수도가〉(17구, 『감응편』) ③〈나옹화상낙도가〉(70구, 『조선가요집성』) ④〈나옹스님...
    저작자 :
    미상
    성격 :
    불교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수도 생활 修道 生活, Religious Life
    대부분의 수도회들은 많은 전례 행사에 참여하며 특히 사제들의 경우가 그렇다. 전례 행사들은 이와 같은 수도회 정신을 실천한다. 레뎀시오니스 도눔(Redemptionis Donum), 뻬르펙때 까리따띠스(Perfectae Caritatis), 수도 선서(修道 宣誓 Religious Profession), 축성, 동정녀(童貞女 Consecration of Virgins) 참조...
  • 수도생활 修道生活, religious life
    始祖)로 알려졌다. 당시 수도생활의 특징은 고행이었다. 수도자들은 단식과 철야기도 및 육체노동으로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입증하려고 하였으며, 외딴 곳에 혼자 사는 은수자와 함께 모여 사는 공주수도자(共住修道者, coenobita)와 서로 가까이 사는 반 은수자(半~, semi-eremita) 등이 있었다. 이집트의 공주생활을...
  • 단군성조수도원 檀君聖祖修道院
    신도가 1,000여 명에 달했으며 후원회까지 조직되었다. 이 교단에서는 국조에 대한 보본의식(報本意識)과 민족 주체성을 배양하는 데 주력하고, 『수도보감(修道寶鑑)』이라는 교전을 편찬하여 선교적(仙敎的)인 수련에 의해 정신수양과 치병을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75년 이후로는 대종교(大倧敎)에 편입, 마산...
    시대 :
    현대
    건립시기 :
    1962년
    성격 :
    종교단체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평화동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수도회 修道會
    그리스도를 따르는 특별한 길을 선택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하느님과 형제자매들을 섬기는 봉사에 자신을 바치려고 모든 것을 버린(봉헌생활, 1항) 수도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리스도교의 여명기부터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나타났던 이러한 봉헌의 삶을 살았던 이들은 ‘십자가를 지고 가는 자들’이 됨으로써...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기독교 수도주의 Christian monasticism, 修道 (基督教)
    기독교 수도주의(Christian monasticism)는 기독교에서 나타난 수도주의로, 예배에 헌신하는 수도원이나 금욕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의 헌신된 실천을 말한다. 구약성서에서 성경적인 예와 개념은 나타나며 초기 기독교회에서 발전되었다. 수도원 제도를 최초로 만든 사람은 이집트의 안토니우스(Anthony the Great)이다...
    도서 위키백과
  • 수도회칙엄수파 修道會則嚴守派, Observantines
    1368년 이탈리아 영성주의자들에 의해 생겨난 1897년 공식적으로 폐지된 일부 프란치스코회의 명칭으로 원시회칙파라고도 한다. 1223년 11월 29일 교황 호노리오 3세에 의해 공인된 성 프란치스코의 회칙(Regula II)을 문자 그대로 엄수하고 꼰벤투알회에서 채택한 복음적 청빈의 완화를 인정하지 않으며 그레고리오 9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