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쇠뿔현호색 Bull's-horn corydalis
    10-20mm, 폭 3-5mm다. 씨는 둥글고 윤이 나며, 길이 10-20mm, 폭 15-18mm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3-4월에 핀다. 해설 국내 현호색속(Corydalis Medik.) 현호색절(sect. Corydalis)에 속하는 종들과 비교하여 꽃이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고 아래 외화판 선단 모양이 쇠뿔형이므로 구분된다. 동북아식물연구소 나혜련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현호색속
    서식지 :
    숲 속
    학명 :
    Corydalis cornupetala Y. H. Kim & J. H. Jeong
    국내분포 :
    경상북도(경산)
  • 쇠뿔모양동기 우각형동기(牛角形銅器), 쇠뿔모양銅器
    내용 쇠뿔 아래쪽에서부터 중간 정도가 비어 있고, 아래 끝부분 가까운 곳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칼자루같은 것을 삽입할 때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대체로 길이는 10㎝ 미만, 끝부분 지름은 3㎝ 미만이다. 끝부분에서부터 일정한 폭을 두고 단(段)을 만들어 물결무늬같은 문양대가 형성되어 있다...
    시대 :
    선사/철기
    성격 :
    동기, 손칼자루
    유형 :
    유물
    재질 :
    청동
    제작시기 :
    철기시대, 원삼국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쇠뿔가는잎말이나방
    특징 앞날개의 색깔은 개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후연 중간에서 출발된 갈색의 쇠뿔 무늬는 아주 특징적으로 다른 종과 쉽게 구별될 수 있다. 외연은 넓고 직선을 이루므로 앞날개 전체가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날개길이는 16~20mm이다.
    분류 :
    나비목 > 잎말이나방과 > 큰줄나나니속
    학명 :
    Stenodes jaculanus (Snellen, 1883)
  • 도전과 응전의 역사, 공생(共生)!
    역사’가 있었을 것이다. 슈마니 개미와 비슷하지만 식물이 아니라 동물을 제거하는 개미도 있다. 바로 수도머멕스(Pseudomyrmex) 개미다. 수도머멕스 개미는 쇠뿔아카시아에 달린 커다란 가시 안에 거주지를 마련하고 꿀샘에서 단물도 얻어먹는다. 대신 수도머멕스 개미는 쇠뿔아카시아를 괴롭히는 식물을 갉아먹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바켈리아속 Vachellia, 金合欢属
    생물 분류 바켈리아속(Vachellia)은 콩과 미모사아과에 속한 협과를 맺는 현화식물이며, 일반적으로 쇠뿔아카시아로 알려져 있다. 이 속에 속한 종들은 2009년까지는 아카시아속에 속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바켈리아속은 특유의 둥그스름한 꽃차례와 가시같은 턱잎으로 다른 아카시아들과 구분된다. 신대륙이 발견되기...
    도서 위키백과
  • 작은관코박쥐 쇠뿔박쥐, Ussurian tube-nosed bat
    형태 소형 종이다. 털색은 황토색에서 옅은 갈색이다. 귓기둥은 길고 뾰족하며, 코는 바깥으로 돌출되어 관 모양이다. 몸 윗면에 금속 광택이 있는 긴 털이 나 있다. 꼬리 부분의 비막 주위로 털이 줄지어 나 있다. 생태 산지의 숲에서 산다. 다양한 장소에서 잠을 자며, 여름~가을에는 나뭇잎을 말아서 1~3마리가 함께...
    분류 :
    포유류 > 박쥐목 > 애기박쥐과
    서식지 :
    산지의 숲
    먹이 :
    날아다니는 곤충
    크기 :
    몸길이 41~54mm, 귀 길이 14~18mm, 꼬리 길이 26~33mm, 앞팔 길이 27~34mm, 몸무게 4~8g
    학명 :
    Murina ussuriensis
    멸종위기등급 :
    2급
    분포지역 :
    동북아시아, 우리나라 지리산 등 내륙 산지
  • 우수리관코박쥐 Ussuri tube-nosed bat, コテングコウモリ
    쇠뿔박쥐(Murina ussuriensis)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1983)라는 이름으로 별도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 일본(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쓰시마섬, 야쿠섬, 이키섬) 그리고 러시아(프리모르스키 지방, 사할린섬 남단, 쿠릴 열도)에서 발견된다. 중국 동북부 지역(내몽골 지린성...
    도서 위키백과
  • 화각공예 華角工藝
    나무 위에 쇠뿔[牛角]을 이용해 문양을 나타내는 우리나라 고유의 목칠공예 장식기법의 하나. 나전칠기와 함께 전승되어온 우리나라의 특색 있는 공예의장으로서, 투명한 쇠뿔을 종잇장처럼 얇게 편 다음 그 뒷면에 오색 안료를 사용하여 문양을 그리는 일종의 이면 채색방법이다. 우리나라 목공예의 특징은 울긋불긋한...
    문화재 지정 :
    1996.12.31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09호 (화각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화각공예의 재료 및 기법
    가장 중요한 재료는 고추뿔이라고 불리는 쇠뿔로서, 주로 젊은 수소의 뿔인데 황해도에서 자란 황소뿔을 최상으로 여겼다. 즉 암소뿔은 가늘고 구부러지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데 비해 황소뿔은 통이 굵고 곧기 때문에 화각의 재료로 적당하다. 고추뿔 중에서도 어린 소의 뿔은 흰색 점이 있어서 안 되고, 늙은 소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화각장 華刻匠
    李氏, 1759∼1824)의 『규합총서(閨閤叢書)』 「동국팔도소산」 중 「전주 화각기」가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예이다. 화각은 백골(白骨)을 만드는 소목장 일, 쇠뿔을 펴서 얇게 만드는 각질장 일, 뿔편위에 그림을 그리는 화공(畵工)일 등 크게 3가지 공정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그림은 화공이 그려준 화제(畵題)를...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구리인창동유적 九里仁倉洞遺蹟
    위치는 알 수 없다. 채집된 유물은 민무늬토기[無文土器]와 석기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민무늬토기로는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호형토기·쇠뿔잡이토기[牛角形把手附土器]가 있다. 이 가운데 구멍무늬토기와 쇠뿔잡이토기는 제작연대를 달리하는 토기로서, 이 유적이 적어도 2개의 형성시기로 나뉘어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아틀란티스, 과학이 찾은 아틀란티스 전설상의 미스터리
    죽였다는 기록이다. 당시 크레타인들은 무기 없이 황소와 싸우는 운동을 즐겼다. 커다란 황소가 질풍같이 돌진하는 정면에 떡 버티고 섰다가 쇠뿔에 받히는 순간에 쇠뿔을 휘어잡고 공중회전을 해 황소 등에 올라타는 경기다. 이 경기는 전속력으로 달려오는 황소를 상대로 하는 것이므로 조그마한 실수도 허용되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쇠뿔현호색
쇠뿔현호색
쇠뿔모양 동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