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방앗돌 굴리는 노래 권력(勸力)소리또는 ‘솔기(率氣)소리’라고도 한다. 선소리꾼이 길고도 유창한 선소리를 창하면, 노동에 참여하고 있는 많은 청장년들이 ‘어기영차’ 따위의 후렴구를 받으면서 방앗돌을 굴려 나간다. 이 민요의 사설내용은 주로 연자맷돌을 굴리는 작업과 관련된 것들이다. “자, 역군님네 몇날 며칠 걸려 만든 방앗돌을 우리 마을...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바느질박은 사이만큼 건너서 또 세 땀씩 박는다. 장식 겸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⑥ 시침질 : 옷을 지은 뒤 안이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감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 바느질법 이외 옷감을 이은 부분인 솔기를 처리하는 다양한 바느질법이 있다. ① 가름솔 : 올을 따라 호아서 갈라 인두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수의 壽衣때는 솔기가 살에 닿지 않게 뒤집는다. ⑦ 행전:행전은 흰색 면포로 길이 약 30㎝, 너비 25㎝ 정도로 만들어 위에 끈을 꿰어 맬 수 있게 한다. ⑧ 버선:버선은 생전의 모양과 같게 하나 치수를 크게 하고 면이나 명주·모시[紵]로 한다. ⑨ 허리띠·대님:허리띠와 대님은 생전의 것과 같이 하며 남색 명주나 비단...
- 시대 :
- 조선
- 성격 :
- 의복
- 유형 :
- 물품
- 용도 :
- 상례용
- 분야 :
- 생활/의생활
-
침선장 針線匠옷감의 가로와 세로 길이에 여유분을 많이 두고 사각형 모양으로 옷감을 마름하기에 쉽게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느질에 관해 전문적으로 처음 다룬...堂)이 지은 『조선재봉전서(朝鮮裁縫全書)』이다. 이 책에서는 기초 재봉 방법과 솔기 재봉 방법을 감침질하는 법, 홈질하는 법, 박음질하는 법, 상침 뜨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골무장지(壯紙)를 여러 겹 붙여 두껍게 심을 만든다. 예쁜 색비단, 무늬 있는 비단, 수놓은 헝겊 등으로 심을 싼 뒤 손가락 모양대로 구부려 두장을 마주대고 솔기를 촘촘히 감친다. 아귀의 가장자리는 사뜨기를 하거나 얇은 색헝겊을 두르기도 하고, 실을 꼬아 둘러 징거서 이음을 보이지 않게 하기도 한다. 안감으로 사용...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
-
직물정필원상·하 및 정필기의 홈을 통해 옷감을 끼운다. 기계작업대 위 꺽쇠 아래로 옷감의 끝을 삽입하고 길이측정계기를 영점으로 맞춘다. 기계를 작동하고 옷감에 솔기가 있는지 알기 위해 접는 작업을 관찰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페달을 밟아 꺽쇠를 들어 올리고 절단한 옷감을 풀어 기계에서 빼낸다. 생산작업표나 옷감에...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수동조작
- 유사명칭 :
- 정단원
- 고용직업분류 :
- [8612]직조기·편직기 조작원
- 표준직업분류 :
- [8221]직조기 및 편직기 조작원
- 표준산업분류 :
- [C132]직물직조 및 직물제품 제조업 / [C134]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 조사연도 :
- 2016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