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방앗돌 굴리는 노래 권력(勸力)소리
    또는 ‘솔기(率氣)소리’라고도 한다. 선소리꾼이 길고도 유창한 선소리를 창하면, 노동에 참여하고 있는 많은 청장년들이 ‘어기영차’ 따위의 후렴구를 받으면서 방앗돌을 굴려 나간다. 이 민요의 사설내용은 주로 연자맷돌을 굴리는 작업과 관련된 것들이다. “자, 역군님네 몇날 며칠 걸려 만든 방앗돌을 우리 마을...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바느질
    박은 사이만큼 건너서 또 세 땀씩 박는다. 장식 겸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⑥ 시침질 : 옷을 지은 뒤 안이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감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 바느질법 이외 옷감을 이은 부분인 솔기를 처리하는 다양한 바느질법이 있다. ① 가름솔 : 올을 따라 호아서 갈라 인두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의생활
  • 수의 壽衣
    때는 솔기가 살에 닿지 않게 뒤집는다. ⑦ 행전:행전은 흰색 면포로 길이 약 30㎝, 너비 25㎝ 정도로 만들어 위에 끈을 꿰어 맬 수 있게 한다. ⑧ 버선:버선은 생전의 모양과 같게 하나 치수를 크게 하고 면이나 명주·모시[紵]로 한다. ⑨ 허리띠·대님:허리띠와 대님은 생전의 것과 같이 하며 남색 명주나 비단...
    시대 :
    조선
    성격 :
    의복
    유형 :
    물품
    용도 :
    상례용
    분야 :
    생활/의생활
  • 침선장 針線匠
    옷감의 가로와 세로 길이에 여유분을 많이 두고 사각형 모양으로 옷감을 마름하기에 쉽게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느질에 관해 전문적으로 처음 다룬...堂)이 지은 『조선재봉전서(朝鮮裁縫全書)』이다. 이 책에서는 기초 재봉 방법과 솔기 재봉 방법을 감침질하는 법, 홈질하는 법, 박음질하는 법, 상침 뜨는...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골무
    장지(壯紙)를 여러 겹 붙여 두껍게 심을 만든다. 예쁜 색비단, 무늬 있는 비단, 수놓은 헝겊 등으로 심을 싼 뒤 손가락 모양대로 구부려 두장을 마주대고 솔기를 촘촘히 감친다. 아귀의 가장자리는 사뜨기를 하거나 얇은 색헝겊을 두르기도 하고, 실을 꼬아 둘러 징거서 이음을 보이지 않게 하기도 한다. 안감으로 사용...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누름상침 언더 스티칭 심, under stitching seam
    목둘레나 앞여밈 등의 안단을 대는 곳에 안단이 겉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솔기를 박아 시접을 안단 쪽으로 꺾은 후 0.1~0.2cm 넓이로 얇게 눌러 박는다. 언더 스티칭 심, 랩트 심이라고도 한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예수의 십자가형
    매달려 3시간 동안 고통을 겪었다. 병사들은 그의 옷가지를 나누어 갖고 솔기가 없는 그의 자줏빛 겉옷을 차지하기 위해 제비를 뽑았다. 여러 구경꾼들이 예수를...다리도 부러뜨리려고 했지만 예수는 이미 죽어 있었다. 그러나 일을 확실히 하기 위해 병사 하나가 창으로 옆구리를 찔렀다. 예수의 옆구리에서는 피와 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모크 심 mock seam
    양말의 모양을 몸에 꼭 맞게 하기 위해 고리 모양의 니트 양말을 재봉할 때 만드는 솔기로, 메리야스나 양말류 등에 쓰인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직물정필원
    상·하 및 정필기의 홈을 통해 옷감을 끼운다. 기계작업대 위 꺽쇠 아래로 옷감의 끝을 삽입하고 길이측정계기를 영점으로 맞춘다. 기계를 작동하고 옷감에 솔기가 있는지 알기 위해 접는 작업을 관찰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페달을 밟아 꺽쇠를 들어 올리고 절단한 옷감을 풀어 기계에서 빼낸다. 생산작업표나 옷감에...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수동조작
    유사명칭 :
    정단원
    고용직업분류 :
    [8612]직조기·편직기 조작원
    표준직업분류 :
    [8221]직조기 및 편직기 조작원
    표준산업분류 :
    [C132]직물직조 및 직물제품 제조업 / [C134]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조사연도 :
    2016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바느질 Sewing, 裁縫
    솔기가 풀리지 않도록 4 ~ 5땀을 되돌아 박는다. 왼손은 노루발 뒤에 두고, 오른손은 앞쪽에서 옷감을 안내한다. 직선은 솔기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곧게 박는다...꽂힌 상태로 방향을 돌린다. 시접 처리(올풀림막기)는 본바느질을 하기 전에 미리 해놓는 것이 편리하며, 특히 올이 잘 풀리는 옷감은 시접 처리에 신경을...
    도서 위키백과
  • 파리목 분류 체계
    주머니가 부풀면서 원형 솔기를 밀어 따고 이를 통해 우화한다. •축소중맥하목(Eremoneura)은 단계통군으로, 유충이 3령이며, 환봉아목과 춤파리상과...위한 것인데, 환봉아목에 속하는 파리류의 대부분은 이 개구를 따고 우화하기 위해 특별히 풍선처럼 부풀릴 수 있는 구조물이 튀어나오는 이마주머니(ptilinum)가...
    도서 위키백과
  • 기모 Nap (fabric), 绒
    옷의 경우, 기모 방향에 따라 천의 느낌뿐만 아니라 꼴도 다르기 때문에 솔기에서 맞닿는 천들의 기모 방향을 일치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재봉...기모 방향이 있는 원단을 사용할 때는 더 많은 원단이 필요하다는 경고를 하기도 한다. 기모로 만들어진 의류들은 보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늦가을, 겨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