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손실 損失, loss[송/광] 전송 선로 및 공진기 내 등에서 광 에너지가 없어지는 것. 반사율이 1보다 작기 때문에 생기는 반사손, 회절 효과에 의한 회절손, 산란에 의한 산란손, 흡수에 의한 흡수손 등이 있다. 물질에 의한 흡수가 능동 상태에서 변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를 능동손이라 하며, 일반적인 경우의 수동손과 구별한다. 일...
-
예상손실 EL, Expected Loss예상손실은 현재 시점부터 일정 기간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실의 평균금액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자산별로 발생 가능한 손실액에 발생 확률을 곱하여 산출한다. 바젤 자본규제에서는 신용리스크로 인한 총손실을 99.9% 신뢰 수준에서 1년 동안 발생가능한 최대 손실로 정의하고, 이를 대손충당금을 통해 대비...
-
추정손실추정손실은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심각한 악화로 회수불능이 확실하여 손실처리가 불가피한 여신 및 12개월 이상 연체대출채권 보유 차주의 여신 등의 회수예상가액 초과부분을 말한다.
-
손실보상 損失補償내용 이에는 행정상의 손실보상·형사보상·범죄피해자보상의 세 종류가 있다. 적법한 행정작용에 의하여 행정주체가 개인의 권리 및 이익을 침해하였거나 또는 침해하려고 할 경우에 그로 인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손실을 메우는 것을 말한다. 행정작용이 국민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가하는 경우에 그 손해발생의...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전력 손실 電力損失, electricity losses전선의 저항이 작으면 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발생되는 열이 많아지고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도 많아진다. 전력 손실을 줄이는 방법 : 송전선에서 손실 전력 P = I2R이므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송전선의 굵기를 굵게 하여 저항을 줄이거나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작게 해야 하며, P = VI이므로 전류(I...
-
답험손실법 踏驗損實法않고 해마다 농사의 작황을 현지에 나가 직접 조사하여 농사의 손(損)과 실(實)의 비율에 따라 세액을 감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세의 수취 제도를 답험손실법이라고 하였다. 과전법과 동시에 제정된 답험손실법의 규정에 따르면, 농경지마다 작황을 10등분의 비율로 나누고 손실(損失)이 10%이면 10%의 조(租)를...
- 시대 :
- 고려 후기 , 조선 전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