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왕소금쟁이특징 몸길이 : 19-26mm 가장 큰 소금쟁이이며, 흑색 또는 갈색을 띤다. 몸은 백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지나 노성한 개체는 금회색으로 변한다. 정수리 기부의 V자모양무늬, 앞가슴등 전엽 중앙부의 가는 세로줄, 그 후엽의 바깥가장자리, 결합판의 바깥가장자리는 황갈색이고, 반시초는 암색, 날개맥은 흑색, 각 다리의...
- 분류 :
- 노린재목 > 소금쟁이과
- 크기 :
- 몸길이 수컷 19∼26㎜, 암컷 21∼26㎜
- 학명 :
- Aquarius elongatus (Uhler, 1897)
- 분포지역 :
-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
소금쟁이 소금장사노린재목 소금쟁이과의 수서곤충. 내용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는 소금쟁이과 곤충으로 18종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학명은 Aquarius paludum paludum이다. 소금쟁이는 논, 연못, 저수지 등에서 관찰이 된다. 육식성으로 수서곤충 등 동물성 먹이를 찔러 체액을 빨아 먹는다. 어...
- 시대 :
- 현대
- 분류 :
-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노린재목(Hemiptera), 소금쟁이과(Gerridae)
- 원산지 :
-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 성격 :
- 동물, 곤충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몸길이 10∼15㎜
- 학명 :
- Aquarius paludum paludum
- 분야 :
- 과학/동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갈치 빈쟁이, hairtail오징어, 전어, 정어리 등의 어류를 먹고 산다. 4-8월에 산란한다. 서해, 남해, 제주도에 서식한다. 전 세계의 온대와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회, 찌개, 소금구이의 재료로 이용한다. 갈치의 피부에는 광택을 내는 구아닌이란 유기 색소가 들어 있는데, 이를 립스틱의 원료로 이용한다. 칼처럼 긴 몸을 가지고 있어 도어...
- 분류 :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농어목 > 갈치과 > 갈치속
- 서식지 :
- 연안 수역
- 학명 :
- Trichiurus lepturus Linnaeus, 1758
- 국내분포 :
- 서해, 남해, 제주도
- 해외분포 :
- 전 세계의 온대와 열대 해역
-
소라젓 구쟁이젓식재료 소라 1kg, 소금 1컵 조리방법 1. 소라는 껍데기에서 살을 빼낸 뒤 내장을 제거하고 머리 부분의 딱딱한 뚜껑을 뗀다. 2. 소라살을 소금물에 깨끗이 씻어 채반에 건져 물기를 뺀다. 3. 소라살에 소금을 뿌려 가며 항아리에 차곡차곡 담아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참고사항 한 달 정도 지나 항아리에서...
- 분류 :
- 부식류 > 젓갈 및 식해류 > 젓갈
- 성격 :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
전갱이어류, 오징어류 등도 잡아먹는다. 산란은 4-7월에 한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며, 세계의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잡힌다. 회, 건어물, 소금구이, 튀김, 초밥의 재료로 이용한다. 전광어, 메가리, 가라지, 빈쟁이, 각재기, 매생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형태 눈은 크고 측선 전체는 방패비늘이...
- 분류 :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농어목 > 전갱이과 > 전갱이속
- 서식지 :
- 연안의 중층과 저층
- 학명 :
-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4)
- 국내분포 :
- 우리나라 전 해역
- 해외분포 :
- 세계의 온대 해역
-
선조의 삶이 배어 있는 바꾸미 고개, 구룡령 옛길사람들은 소금, 간수, 고등어, 명태 등을 가지고 영서 지방으로 가서 콩, 팥, 수수, 녹두, 깨, 좁쌀 등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래서 옛 어른들은 구룡령 옛길을 바꾸미 고개, 또는 바꾸미 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양양에서 올라가는 구룡령 옛길은 매우 굴곡이 심하다. 마치 용이 구불구불 긴 몸통을 휘저으며 고개를...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29호
- 소재지 :
- 강원 양양군
-
포제 ─祭과 소금), 그리고 잔을 올리고 축을 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관과 제물, 그리고 축문의 내용으로 베풀어지는 포제는 한편 마을에 따라서는 ‘별포제(別酺祭)’라는 이름으로 달리 베풀어지고 있음을 볼 수도 있다. 이 별포제를 일명 ‘도청제’라고도 하는데, 이는 마을에 전염병이나 화재 따위로 환란이 생겼을 때에...
- 성격 :
- 마을제사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봄나물의 제왕, 두릅소로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이국은 비위를 깨치나니.” 그리고 삼월령의 “울밑에 호박이요, 처맛가에 박 심고, 담 근처에 동아 심어 가자하여 올려보세. 무·배추·아욱·상추·고추·가지·파·마늘을 색색이 분별하여 빈 땅 없이 심어놓고, 갯버들 베어다가 개바자 둘러막아 계견을 방비하면 자연히 무성하리...
-
난장 난場물자를 대량으로 매점하므로 엄청난 돈이 유통되었다. 보부상(褓負商)들은 소금 · 해산물을 비롯하여 화장품 · 염료 기타 일용잡화를 걸머지고 모여들었다. 그...먼 곳의 사람까지 구경하러 모여들었다. 그뿐 아니라 연예인 · 복술쟁이 · 투기꾼 · 도박꾼 · 건달패 · 싸움패 · 사기꾼 · 요식업자 · 창녀 등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나물대신에 소금을 쓰기도 하며, 옛날에는 깨소금 대신에 실백가루[잣가루]를 많이 썼다. 볶아서 익히는 나물에는 고비·고사리·도라지·버섯·취·시래기·오이·호박이나 가지 말린 것 등이 있다. 만드는 법은 먼저 기름에 볶다가 간장·파·마늘·깨소금 등으로 양념하여 간이 어울리게 한다. 이 때 고기를 채쳐서 양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