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명을 뒤집어쓴 루마니아의 영웅, 블라드 3세 Vlad III베오그란트 전투에서 후냐디가 사망함에 따라 블라드 3세는 완전한 권력을 손에 쥐게 되었다. 1459년 블라드 3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간섭을 배제하고자...편성했다. 그리고 공납을 요구하러 온 오스만 제국의 사절들을 산 채로 꼬챙이에 끼워 죽이는 것으로 자신의 의지를 보였다.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여러 번에...
- 출생 :
- 1431년
- 사망 :
- 1476년
- 국적 :
- 루마니아
-
조새 쪼새머리부분은 어른 주먹만하게 깎고 아래는 지름 1㎝쯤 되게 다듬은 것으로, 손에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위쪽에 둥근 턱을 붙였다. 머리에는 양끝이 뾰족한...놓았으며, 밑에도 끝이 ‘ㄱ’자 모양으로 꼬부라진 7㎝ 길이의 꼬챙이를 박았다. 머리쪽의 쇠로 굴을 떼어서 그릇에 담아 뭍으로 옮긴 다음 아래의...
- 시대 :
- 현대
- 성격 :
- 어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나무, 쇠
- 용도 :
- 어업, 굴채취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상주곶감 상주둥시, 尙州곶감수 있는 유산이다. 1970년대 후반까지는 가정에서 간식이나 제수용으로 싸리나무 꼬챙이에 곶감 10개를 묶어 상주 시내 곶감 시장 도가 골목에 위탁 판매하였다...감을 심었다. 생산량이 많은 경우 박피 기계를 사용했지만, 여전히 손으로 깎았다. 별도로 건조장인 감타래를 설치해 감꼭지에 실을 매달았다. 2000년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음식·약/음식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소놀이 소멕이놀이위에 멍석을 덮는다. 앞사람은 고무래를 두 손에 나누어 쥐어 소머리의 형상을 하며 뒷사람은 작대기나 싸리 빗자루로 꼬리를 삼는다. 곳에 따라서는 머리부분에...집에 이르면 소가 ‘음메 음메’ 하면서 울음소리를 내며 몰이꾼은 “옆집의 누렁 소가 평생에 즐기는 싸리 꼬챙이와 쌀뜨물이 먹고 싶어 찾아왔으니 푸짐...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
-
작살내용 작대기 끝에 삼지창 비슷한 쇠를 박거나 한두 개의 쇠 꼬챙이를 꽂았다. 찌르개살과 작살의 두 종류가 있다. 찌르개살은 날 끝에 미늘(낚시에 붙은 작은...노끈을 잡아매고 물고기를 향하여 던져서 잡는다. 이 밖에 미늘은 있으되 손에 쥐고 찔러 잡는 것과 미늘이 없더라도 자루에 노끈을 매고 던지는 것도 작살의...
- 시대 :
- 현대
- 성격 :
- 생활용품, 어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나무, 쇠
- 용도 :
- 어획용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네 번째 묶음) 화양적장국을 부어 가운데에 있는 화로에 숯불을 담아 끓여 먹는 음식으로 입을 즐겁게 하는 탕이란 뜻으로 열구자탕(悅口子湯)이라고도 불린다. 재료가 고급스럽고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어서 교자상이나 주안상에 올리면 가장 좋은 대접으로 여겼다고 한다. 화양적(華陽炙) 각각의 재료를 익힌 뒤 꼬챙이에 꿰는 누름적의...
- 발행일 :
- 2004.6.15
- 발행량 :
- 7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90원
- 디자인 :
- 화양적
- 우표번호 :
- 2379
- 인면 :
- 37×27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4종연쇄)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40×30
- 디자이너 :
- 김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네 번째 묶음) 구절판장국을 부어 가운데에 있는 화로에 숯불을 담아 끓여 먹는 음식으로 입을 즐겁게 하는 탕이란 뜻으로 열구자탕(悅口子湯)이라고도 불린다. 재료가 고급스럽고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어서 교자상이나 주안상에 올리면 가장 좋은 대접으로 여겼다고 한다. 화양적(華陽炙) 각각의 재료를 익힌 뒤 꼬챙이에 꿰는 누름적의...
- 발행일 :
- 2004.6.15
- 발행량 :
- 7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90원
- 디자인 :
- 구절판
- 우표번호 :
- 2381
- 인면 :
- 37×27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4종연쇄)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40×30
- 디자이너 :
- 김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네 번째 묶음) 비빔밥장국을 부어 가운데에 있는 화로에 숯불을 담아 끓여 먹는 음식으로 입을 즐겁게 하는 탕이란 뜻으로 열구자탕(悅口子湯)이라고도 불린다. 재료가 고급스럽고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어서 교자상이나 주안상에 올리면 가장 좋은 대접으로 여겼다고 한다. 화양적(華陽炙) 각각의 재료를 익힌 뒤 꼬챙이에 꿰는 누름적의...
- 발행일 :
- 2004.6.15
- 발행량 :
- 7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90원
- 디자인 :
- 비빔밥
- 우표번호 :
- 2380
- 인면 :
- 37×27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4종연쇄)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40×30
- 디자이너 :
- 김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