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홀림수 (바둑용어) 속임수, ─ 手
    바둑에서, 상대방의 실수와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정수가 아닌 수. '속임수', '암수', '꼼수'라고도 한다.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를 말한다.
  • 암수 (바둑용어) 속임수, 暗手
    바둑에서, 정수가 아닌 속임수를 이르는 말. 상대방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수를 말한다.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이다.
  • 주사위 속임수
    속임수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주사위가 고대 이집트, 동양의 무덤, 남아메리카 및 북아메리카 선사시대 무덤 등에서도 발견되었다. 완전한 정6면체가 아닌 이들 주사위는 정확한 수학적 확률이 적용되지 않으며 주사위의 형태만을 갖추고 있을 뿐이다. 이런 형태들은 주로 정6면체에서 하나 이상의 면을 약간 더 깎아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손자병법 명언, 속임수도 능력인 시대
    잡아먹지 않으면 잡아먹히고 마는, 생존 투쟁이 끊이지 않는 숨 막히는 곳이 바로 전쟁터다. 손무는 이러한 전쟁터에서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는 12가지 속임수를 정리해 놓았다. 이를 ‘12궤도(詭道)’라고 한다. 모두 상대의 약점을 교묘하게 이용하거나, 유도 작전으로 상대의 전력을 약하게 하거나, 거짓 위장으로...
  • 기만 (관련어 속임수) Deception, 欺騙
    기만, 기망, 속임수는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사실이 아닌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득하는 행위이다. 속임수를 쓰는 사람은 그것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메시지를 받는 사람은 그것을 믿는 경향이 있다(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위장 또는 은폐뿐 아니라 위장, 선전, 속임수도 포함될 수 있다. 자기기만도 있다...
    도서 위키백과
  • 도박 노름, 賭博
    내기를 하는 사람의 오산으로 예기치 못한 결과가 초래될 위험이 있어도 승산에 기대를 걸고 게임이나 시합, 또는 그 결과가 우연으로 결정되는 불확실한 사건 등에 내기를 한다. 도박은 동전을 던져서 어떤 면이 나올지를 옳게 예측한 사람이 그 동전을 갖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포커와 같이 전략이 요구되는 복잡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속임수 (바둑용어) 암수, ─ 手
    바둑에서, 상대방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정수가 아닌 수.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를 말한다.
  • 주사위 dice
    개요 표준주사위의 각 면은 1~6개의 작은 점이 표시되어 있는데, 관례적으로 각 면의 점들은 반대편 면의 점과 합하여 1-6, 2-5, 3-4와 같이 항상 7이 된다. 놀이에 사용되는 주사위의 수와 함께 주사위의 6개 점들의 조합이 게임에서 수학적 확률을 결정한다. 주사위로 하는 모든 게임에서 주사위는 손이나 주사위 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트롱프뢰유 trompe l'oeil
    고대 그리스 화가들은 초기의 양식화된 미술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술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것을 사용했다. 한 예로 제우크시스가 그린 포도는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새들이 날아와 쪼아먹으려 했을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이 기법은 로마의 벽화가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다. 트롱프뢰유 자체가 화가의 주된 목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페이크 파울 반칙 유도 속임수, fake foul
    농구 경기에서 파울 상황이 아닌 경우에 파울을 당한 것으로 위장할 때 주어지는 파울. ‘반칙 유도 속임수’라고도 한다. 경기 중에 파울을 당했을 때나 파울 상황이 아닌 경우에 필요 이상으로 크게 파울을 당한 것처럼 위장하는 행위를 말한다.
  • 일산화 이수소 속임수 Dihydrogen monoxide parody, DHMO
    출처 필요 일산화 이수소 속임수(一酸化二水素-)는 물을 화학적으로 풀어낸 용어인 일산화 이수소(一酸化二水素), 산화이수소(酸化二水素) 또는 디하이드로젠 모노옥사이드를 이용한 속임수이다. 물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는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이기 때문에 화학식 명명법에 따라 일산화 이수소로 부를 수도...
    도서 위키백과
  • 귈피의 속임수 Gylfaginning, 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
    〈귈피의 속임수〉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신 에다》의 서장 이후 가장 먼저 나오는 제1부이다. 〈귈피의 속임수〉는 노르드의 세계의 창세와 그 멸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데,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등이 많이 인용되어 있다. 사실상 서사시인 《고 에다》를 산문 형태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속임수(deceitfu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