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악기조성청 대보전악기조성청, 樂器造成廳기구의 명칭은 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 악기도감(樂器都監), 장악도감, 제기악기도감(祭器樂器都監), 종경교정청(鐘磬校正廳), 주종소(鑄鐘所), 악기수개청, 악기소, 악기조성도감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었다. 조선 후기 숙종 이후로는 이중에서 악기도감과 악기조성청이 혼용되는 경향을 보이는 한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관청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Paixiao 소 (악기), 排簫The paixiao (traditional: 排簫; simplified: 排箫; pinyin: páixiāo; also pái xiāo, pai-hsiao, pronounced ) is an ancient Chinese wind instrument, a form of Pan flute. It is no longer used, having died out in ancient times, although in the 20th century it was reconstructed. A major difference b...출처 영어 위키백과
-
소 簫송나라에서 받아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도 소가 들어 있다. 즉, 『고려사』 권70의 등가악기조(登歌樂器條) 및 헌가악기조(軒架樂器條)에 의하면, 등가악기에 소는 중성(中聲)·정성(正聲)의 것이 각각 2면씩인데 채색으로 나는 봉황새[飛鳳]가 그려져 있고, 헌가악기에 소는 중성과 정성의 것이 각각 22...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악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국립국악원
-
국악악기 시리즈 (제4집) 해금(奚琴)체신부에서는 국악 악기시리즈 우표 제4집으로 소와 해금의 2종을 택하였다. 소(簫) 소(簫)는 현재 공자묘(孔子廟) 제향음에만 사용되는데, 16개의 관(管)으로 되었다. 즉 연주자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반음씩 올라간다. 관의 밑은 납밀(蠟蜜)로 막혀 있어서 만약 어느 관의 음이 맞지 않을 때는 납밀로서 조절한다...
- 발행일 :
- 1974.8.20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30원
- 디자인 :
- 해금(奚琴)
- 우표번호 :
- 906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국악악기 시리즈 (제4집) 소(簫)체신부에서는 국악 악기시리즈 우표 제4집으로 소와 해금의 2종을 택하였다. 소(簫) 소(簫)는 현재 공자묘(孔子廟) 제향음에만 사용되는데, 16개의 관(管)으로 되었다. 즉 연주자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반음씩 올라간다. 관의 밑은 납밀(蠟蜜)로 막혀 있어서 만약 어느 관의 음이 맞지 않을 때는 납밀로서 조절한다...
- 발행일 :
- 1974.8.20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소(簫)
- 우표번호 :
- 905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향피리 향필률, 鄕피리볼 수 있다. 『수서(隋書)』에 따르면 고구려악에서 사용된 피리에는 소피리와 도피피리가 있고, 『신당서(新唐書)』와 『통전(通典)』 고구려악에는 소피리...당시 많은 지역에 수용된 소피리와 대피리는 여러 나라에서 두루 쓰이는 악기로 기록되어 있으나, 『문헌통고(文獻通考)』에서 도피피리는 특히 고구려와 남만...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퉁소 통소, 洞簫유래와 역사 퉁소(洞簫)는 위 아래가 통(通)하는 소(簫)라는 의미를 가진 악기이다. 왕자연(王子淵)의 통소부(洞簫賦)에 “통(洞)은 통(通)이니, 밑이 없고 위 아래가 통(通)하는 까닭에 퉁소(洞簫)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본디 소(簫)는 여러 개의 관을 묶어 만든 악기로서 밑이 막힌 편관악기(編管樂器)였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자그마하지만 당찬 악기, 피리통전』의 「동이(東夷)」편을 보면 “그 음악에는 오현, 금, 쟁, 필률, 횡취, 소, 고와 같은 것이 있다”는 기록이 나온다. 여기서 ‘필률’은 곧 피리를 일컬어...악학궤범』 시대를 지나 현재까지 향피리는 여덟 개의 지공이 있어 악기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악학궤범』 시대에는 평조와 계면조의 음계...
-
피리 필률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피리’라는 용어는 ‘부는 악기의 통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수(隨)와 당(唐)의 음악지에 기록된 피리는 5세기를 전후하여 구자, 소륵...사용된 피리 관련 기록을 보면, 그 종류로 대피리(大篳篥), 소피리(小篳篥), 도피피리(桃皮篳篥)가 있다. 이 중 도피피리는 고구려와 남만에서 주로...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