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요 일람 지도」 騷擾 一覽 地圖가 1919년 4월 30일 직후 조선총독부에서 군사 기밀 지도로 작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크기는 52.5×37.7㎝이다. 3·1 운동이 발발한 전국 각 지역을 소요(騷擾), 발포(發砲), 미연 방지(未然防止) 등 세 지역으로 분류하고, 붉은색 표시로 소요지인 경우 ◯, 발포지인 경우 ●, 미연 방지 지역인 경우 O으로...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
소요 진압 작전 騷擾鎭壓作戰, Suppression Of Civil Dist..국가 비상사태 또는 불순 세력에 의한 치안의 혼란, 민심 동요 등으로 행정 및 사법 기관이 그 기능을 상실하여 군대를 투입해서 공공 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군이 지원하는 작전.
-
Matsue incident 마쓰에 소요 사건, 松江騒擾事件The Matsue incident, also known as the Matsue Riot incident, Imperial Voluntary Army incident, or the Shimane Prefectural Office incendiarism, was an incident that occurred in Japan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surrender that signaled the end of World War II. The incident was staged by...출처 영어 위키백과
-
3·1운동기사 원문 각지 소요(騷擾) 사건 경성을 위시하여 각 지방 소동 황평양서에는 폭행이 심하다 지난 3월 1일 오후부터 경성을 위시하여 서북 각 지방의 도회에서 조선 독립의 선언서를 발포하고 시위운동을 개시한 소요 사건에 대하여 당국에 도달한 정보가 대개 아래와 같은데 그 선언서에 이름을 기록한 자는 33...
- 간행/발행 :
- 매일신보(1919년 03월 07일, 1919년 04월 01일)
-
안무사 安撫使안무사를 여러 도에 보냈다. 이 때부터 안무사는 일이 생기면 파견하고 그 일이 끝나면 파하는 임시관직으로 되었다. 후기의 안무사는 실제로는 지방에 소요(騷擾)나 변란이 일어났을 때에 흔히 파견되었으며 지방 군현(郡縣)의 떠돌아다니는 백성을 안집(安集)하는 것을 임무로 하였다.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012년(현종 3)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소요리 마을 所要里 마을에도 유포리와 함께 소요리가 나타난다. 1910년 양산군 좌이면에서 부산부로 편입되며 소요리를 삼락리로 개칭했는데, 이에 대해 소요리는 일제가 마을 이름을 소요(騷擾)로 오인할 것을 우려해 지명을 변경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사상면 삼락리가 되었다. 1930년대 낙동강 제방을...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사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삼락동 三樂洞誌)』[1832]에는 좌이전방(左耳田坊) 소요리·유도리로 나타난다. 1910년 양산군 좌이면에서 부산부로 편입되며 소요리는 삼락리로 개칭[소요리는 일제가 소요(騷擾)로 오인될 수 있는 것을 우려해 지명을 변경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하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삼락리와 유두리가 동래군 사상면에 편입되며...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사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