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수의견 반대의견, 少數意見
    다수의 의견에 반대하여 주장하는 소수의견. 반대의견이라고도 한다. 다수결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합의체에서 이러한 소수의견은 무시되거나 폐기된다. 한국 대법원의 재판에서는 ‘법원조직법 15조’에 의해, 헌법재판소의 재판에서는 ‘헌법재판소법 36조’에 의해 그 재판에 관여한 법관의 의견을 표시하...
  • 소수의견 Minority Opinion, 少數意見
    영화 정보 "소수의견"은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2009년 1월 용산 재개발 보상대책에 반발해온 철거민과 경찰이 대치하던 중 화재가 발생해 6명이 사망하고 24명이 부상당한 용산참사 사건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윤계상 : 윤진원 역 유해진 : 장대석 역 김옥빈 : 공수경 역 이경영 : 박재호 역 ...
    도서 위키백과
  • 대법원 최종 판결의 의미와 법률가의 역할
    판결은 구성 대법관들의 전원이 일치해야만 선고될 수 있지만 전원합의체에서는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결론을 내리는데요, 다수를 형성하지 못한 소수의견을 내었거나 별개의견을 낸 대법관의 이름과 그 내용을 공개하도록 합니다. 판사들이 순전히 자신의 주관적인 입장이 아닌, 공동체에 내재한 원칙들을 찾아가는...
  • 김성제 Kim Seong-je
    2002)의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김대승 감독의 <혈의 누>(血의 淚, Blood Rain, 2005)의 기획과 각본가로 참여했다. 작품 세계 김성제의 감독 데뷔작은 <소수의견>(Minority Opinion, 2013)이다. 그는 손아람의 동명 원작소설을 직접 각색하고 연출했다. 이 영화는 강제철거 현장에서 열여섯 살 아들을 잃고, 경찰을 죽인...
    출생 :
    1970년, 한국
    수상 :
    2015년 디렉터스 컷 어워즈 올해의 신인감독상, 2015년 청룡영화상 각본상
    데뷔 :
    <소수의견>(Minority Opinion, 2013)
  • 이일규 효암, 李一珪
    1971년 대구지방법원장 겸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장을 지냈으며, 1973년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 대법원 판사로 재직할 때 그는 매우 많은 소수의견을 내놓음으로써 소수의견판사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소신있고 강직한 성품의 소유자로서 국민의 기본권 보장에 신명을 바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1986년 대법관직을...
    출생 :
    1920. 12. 16, 경남 충무
    사망 :
    2007. 12. 2, 경기 성남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이일규 李一珪
    대법원장에 취임하여 2년 반 동안 재임하였다.(1988년 7월 20일∼1990년 12월 15일) 대법관 재직시 소위 시국·간첩·환경사건에 대한 재판에서 10여회 소수의견을 냈다. 1974년 울산화력발전소공해사건, 1975년 인민혁명당재건위 사건, 1978년 고용근 목사 사건, 1985년 박세경 변호사 계엄포고령 위반사건, 1982...
    시대 :
    현대
    출생 :
    1920년 12월 16일
    사망 :
    2007년 12월 2일
    경력 :
    대법관, 대법원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울산화력발전소공해사건, 인민혁명당재건위사건, 고용근목사사건, 박세경변호사계엄포고령위반사건, 김철기국가모독사건, 재미교포홍선길간첩사건, 송지섭일가간첩단사건
    직업 :
    법조인
    성별 :
    분야 :
    역사/현대사
  • 블랙먼 Harry Andrew Blackmun
    협박 편지를 받는 바람에 연방 보호를 받아야 했다. 이후 억압당하는 가난한 사람들의 옹호자로서 점차 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해졌으며, 민권 사건에서는 소수의견을 내는 경우가 많았다. '캘리포니아대학교 이사회 대 바키 판결'(1978)에서는 적극행동(차별철폐조처:미국에서 차별의 구제와 예방을 목적으로 인종·성별...
    출생 :
    1908. 11. 12, 미국 일리노이 내슈빌
    사망 :
    1999. 3. 4, 버지니아 알링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브레넌 William J(oseph) Brennan, Jr.
    권리에 대한 절차의 영향력을 특히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은 충성선서 사건에서 주장한 그의 의견에서도 나타난다. 1953년 '주정부 대 튠 사건'에서 그는 소수의견을 냈는데, 이는 피고인의 자백서 복사 청구가 거부된 사건이다. 1957년 '젠크스 대 연방정부 사건'에서 브레넌은 정부측 증인의 보고를 조사할 피고인의...
    출생 :
    1906. 4. 25, 미국 뉴저지 뉴어크∼
    사망 :
    1997. 7. 24, 버지니아 알링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톰 클락 클라크, Tom C. Clark
    어빈 대 캘리포니아 판결(Irvine v. California : 1954)과 브라이트하우프트 대 에이브럼 판결(Breithaupt v. Abram : 1957) 및 1960년대에 그가 개진한 소수의견 등에 잘 나타나 있다. 클락은 얼 워런 대법원장 재임시 대법원에서 다수파인 진보적인 판사들과 종종 마찰을 빚기는 했지만, 시민적 자유를 빈번히 지지...
    출생 :
    1899. 9. 23, 미국 텍사스 댈러스
    사망 :
    1977. 6. 13, 뉴욕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왜 '현 사회적 기준' , '전체적 주제' , '평균인 기준'이 중요한가?, 로스 멤와즈 테스트 Roth Memoirs T..
    헌법 제1조에 대한 절대주의 이론의 신봉자인 윌리엄 더글러스(William O. Douglas, 1898~1980) 대법관과 휴고 블랙(Hugo L. Black, 1886~1971)대법관은 소수 의견을 내 "어떤 문서가 전혀 사회적 의의가 없다고 보는 법원의 판단으로 표현의 자유의 가치를 희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더글러스는 "오늘날 쓸데...
  • 국회선진화법 國會先進化法
    제정 목적 「국회선진화법(國會先進化法)」은 국회의 물리적 충돌을 방지하고 대화와 타협을 증진하며, 소수 의견 개진의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심의의 효율성을 강화하여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국회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내용 「국회선진화법」이라는 명칭은 「국회법(國會法)」 개정 논의 당시부터 사용된 용어로서...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전자투표제 electronics voting
    있다.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는 주총에 직접 참석하기 어려운 주주가 의결권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전자투표에 따른 소액주주의 활발한 소수의견 개진은 경영진을 압박할 수 있는 수단이다. 반면 절차가 번거롭고 주주들의 의견이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악의적인 루머에 의사결정이 좌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