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의미가 겹치기도 한다. 아이디어 자체가 컨셉트일 때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아이디어의 상위 개념, 포지셔닝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된다. 한편 소구점(appeal point)이라는 개념도 표현 컨셉트와 그 의미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다. 소구점은 광고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징 중 가장 전달하고 싶은 특징을 말한다. 즉...
경우 주로 광고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행되는 조사만을 뜻한다. 광고조사 영역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광고의 소구점을 찾기 위한 조사: 소구점이란 광고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징 중 소비자에게 가장 전달하고 싶은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광고는 소비자 마음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광고가 내세우는 주장이나 의견. 구매의욕을 불러일으킬 만한 광고의 새로운 주장을 말한다. 즉, 상품 특성을 잠재소비자 의식을 토대로 새로운 소구점으로 귀결시킨 것이 컨셉트다. '이 광고의 컨셉트는 무엇인가?'라는 뜻은 소비자의 기존 관념에 도전하여 구매의욕을 불러일으킬 만한 광고의 '새로운 주장'이 무엇...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읽는 부분. 보디 텍스트(body text), 텍스트(text), 텍스트 카피(text copy)라는 별칭도 있다. 보디카피는 소구 대상의 흥미를 끌면서 소구점을 유효하게 전달하여 소비자 행동을 촉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디카피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어지는 이야기형이다. 서론은...
마주 대하여 주고받는 이야기. 광고 형식으로서 대화형 광고는 대화 과정을 통해 제품 개념과 속성, 소구점이 드러나도록 의도된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식인 2인 대화를 예로 들면 대화를 시작하는 사람이 어떤 문제를 느끼고 이에 대해 의견을 구하거나 불만을 호소하면 상대방은 일종의 해결의 조언자로서 문제해결...
기업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이며, 마케팅 관점에서는 일종의 세일즈맨이다. 광고 모델은 광고 메시지 구성에 영향을 주고, 광고 인상을 창출하며, 광고 소구점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되며, 광고 제작 예산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표현전략의 중요한 요소다. 광고주가 광고 모델을 기용하는 이유는 소비자로...
요인이면서, 기업의 입장에서도 마케팅 믹스 중 수익을 낳는 것은 가격뿐이므로 이에 대한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가격은 제품의 성격을 반영하고, 마케팅 믹스의 형성 방향을 제시하는 속성 때문에 광고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가격요인을 소구점으로 삼는 이른바 가격 소구 광고는 언제나 지배적인 광고 유형의...
활용되게 된다. 따라서 과학적인 광고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조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광고조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첫째, 광고소구점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이다. 이는 자사제품의 어떤 특성을 부각시킬 것인가에 관한 조사이다. 둘째, 구매층조사로서 이는 어떤 계층이 어떤 제품을 사용...
잠재 관객의 관람 의욕을 불러일으킬 만한 영화의 '새로운 주장'이 무엇인가 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영화의 특성을 잠재 관객의 의식을 토대로 새로운 소구점으로 귀결시킨 것이 컨셉트이다. 컨셉트는 아이디어나 포지셔닝(positioning)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아이디어의 상위 개념, 포지셔닝의...
시장 혹은 제품의 공통적인 항목을 척도화하여 수평과 수직선으로 설정하고 해당되는 상품을 그 척도에 맞게 위치 지우는 기법. 시장 기회 발견, 포지셔닝 수립, 표적시장 설정, 광고의 소구점 발견 등에 유용하다. 척도의 설정이 충분히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기법의 전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