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화 계획 행동을 오래 지속시키는 전략은 '매번'이 아닌 '가끔'
    않으면 유기체는 행동을 빨리 중단하고, 부분 강화일 경우에는 행동을 천천히 중단한다. 강화물로 형성되었던 행동이 강화물의 중단으로 사라지는 현상인 소거(extinction)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부분 강화 효과란 부분 강화일 때 소거가 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스토커(망상 참조) 때문에 고통스러워...
  • 행동 수정 행동의 변화는 의지의 문제가 아니다
    상담심리학 참조)에서는 태도나 동기, 자존감 같은 모호한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행동 수정에서는 모든 행동을 측정 가능한 수준에서 구체화시킨다. 따라서 내담자의 변화를 상담자의 직관이나 내담자의 주관적 보고에 의존하지 않고,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해 평가한다. 만약 낮은 자존감으로 괴로워 상담을...
  • 처벌 (심리학) Punishment (psychology), 弱化 (心理学)
    동물의 주변 환경에서의 변화로, 그 행동이 미래에 다시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것은 때때로 '약화'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강화에 대비되고 소거와 같은 맥락이다. 한편 강화와 마찬가지로 처벌되는 것은 인간 또는 동물이 아닌 행동 그 자체이다. 따라서 변화가 처벌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그 변화의...
    도서 위키백과
  • 강화 (심리학) Reinforcement, 強化
    심리학에서 규칙에 의하여 강화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조건 형성의 속도와 후속하는 소멸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실험 절차이다. 강화 자극을 제시하는 규칙은 일정한 수의 반응의 발생과 일정한 시간의 경과에 따르며 이러한 규칙을 변동간격 스케줄(variable- interval schedule)이라고 정의했을 때 이에 따라서...
    도서 위키백과
  • 행동주의 Behaviorism, 行動主義心理学
    행동주의를 학습이론 기법 중 하나로 보았다. 그러므로 심리치료는 실험적 소거나 반조건화 기법이 포함된 호혜적 억제를 주요한 내용으로 해야한다고 보았다...아이젱크(Hans Eysenck)는 1952년 그의 논문에서 정신분석적인 기존의 심리학적 입장에 대해 과학적이고 전문가적인 입장 즉 과학자-전문가 모형에 부합하는...
    도서 위키백과
  • 고전적 조건형성 Classical conditioning, 古典的条件づけ
    행동주의 심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생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반응을 〈무조건 반응〉이라고 하고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무조건 자극〉이라고 한다.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자극을 〈중성 자극〉이라고 하고, 중성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을 〈비상관 반응〉이라고 한다. 중성 자극 직후에 무조건...
    도서 위키백과
  • 행동 수정 Behaviour therapy, 行動療法
    초점을 두는 것으로 심리학, 체육학, 임상적 상황 등에서 증상을 보다 안정적이게 하고 또한 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고전적 조건화나 조작적 조건화...차별강화 정해놓은 시간 내에 적응 행동이 명시된 반응 빈도 이상으로 나타났을 때 강화를 준다. 발생율이 낮은 행동에 대한 차별강화 소거될 부적응 행동...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