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섶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여밈을 하는 데 있어 앞 중심에 겹쳐지는 부분의 호칭. 내용 옷자락이 아래로 가는 것이 안섶, 위로 오는 것이 겉섶이다. 우리 나라의 옷은 북방 호복(胡服)계통의 것으로 상고시대에는 앞여밈이 좌임(左袵 : 왼족으로 여밈.)이어서 겉섶이 우측에 달려 있었으나, 일찍이 한복복식(漢服服飾)의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섶 잠족(蠶蔟)누에가 올라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해 놓은 짚이나 잎나무. 내용 잠족(蠶蔟)이라고도 한다. 잎나무로는 주로 싸리나무·솔가지·참나무 등을 사용하며, 누에가 들어가 고치를 짓는 칸의 간격이 알맞고 수도 많으며 습기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손쉽게 만들되 오래 쓸 수 있으며 넣고 빼기가 편리해야 한다. 농가에서 많...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잠업시설, 잠업도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짚, 싸리나무, 솔가지, 참나무
- 용도 :
- 잠업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버선코 기와집 처마와 버선코, 섶코의 아름다움나타납니다. 한복을 입을 때면 버선을 신게 되는데 발끝이 닿는 버선코 역시 날렵하게 살짝 들려 올라갔지요. 그리고 한복 저고리 겉섶 끝도 역시 섶코라 하여 살짝 하늘로 날아오릅니다. 요즘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코를 버선코 모양으로 성형수술하는 것이 인기라고 합니다. 직선에 이은 곡선의 미학. 그것은 한국...
-
한복 입는 방법(여자)입으며, 외출할 때나 의례가 있을 경우에는 배자와 두루마기까지 입는 것이 예의이다. 여자 한복 명칭 저고리 여자 저고리는 동정, 길, 깃, 진동, 화장, 고름, 섶, 도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정 : 한복 저고리의 깃 위에 덧대어 꾸미는 흰 헝겊 • 길 : 저고리나 두루마기 같은 윗옷의 섶과 무 사이에 있는 넓고 긴...
-
옥색 명주 장옷 玉色 明紬 장옷깃은 목판깃이 달렸는데 겉깃과 안깃이 모두 길 쪽으로 들여 달린 특징을 보인다. 예외의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겉섶과 안섶은 두 조각으로 구성된 이중섶이 달렸으며 양쪽 겨드랑이 아래 자색의 소형 사각접음 무와 커다란 사다리꼴 무가 있으며 긴 소매 끝동 부분에 흰색 거들지가 달려 있다. 전세유물들은 대부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한복 입는 방법(남자)때나 의례가 있을 경우에는 마고자 대신 조끼와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이다. 남자 한복 명칭 저고리 남자 저고리는 동정, 길, 깃, 진동, 배래, 고름, 섶, 도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정 : 한복 저고리의 깃 위에 덧대어 꾸미는 흰 헝겊 • 길 : 저고리나 두루마기 같은 윗옷의 섶과 무 사이에 있는 넓고 긴 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