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산대교 城山大橋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연결하는 다리.|개설 서울의 도심에서 신촌 부도심을 지나 서부간선도로와 경인고속도로를 연결시켜 주는 다리로서 인접한 양화대교의 교통량 증가로 도로의 추가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성산대교가 계획되었다. 신촌지역 교통량을 서울의 남서지역인 공항로와 연결할 수...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1,410m, 너비 27m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성산대교 城山大橋
    마포구 망원동 450번지와 영등포구 양평동 95번지 사이 한강에 있는 다리이다. 한강 북단의 성산동과 연결되어 성산대교라고 하였다. 1976년 11월 폭 30~40m, 길이 24 km의 성산대로 건설계획이 확정되면서 이듬해인 1977년 4월 6일 한강교량 공사를 착공하였다. 이후 1980년 6월 30일 폭 27m, 길이 1,040 m로 (주)현대...
    유형 :
    시설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교통
  • 성산대교 城山大橋
    한강을 가로질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과 영등포구 양평동6가를 잇는 다리. 1980년 완공되었으며, 양화대교의 교통량 분산과 김포국제공항에서 도심 진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과 영등포구 양평동6가를 연결하는 한강 횡단 교량. 역사와 특징 1977년 4월 6일 착공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성산대교 (관련어 성산 대교) Seongsan Bridge, 城山大橋
    교량 정보 성산대교(城山大橋)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다.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다리로 길이는 1,410m이다. 1977년 4월에 착공해 1980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 한강에서 12번째로 건설되었다. 성산로 도로가 건설될 때 같이 건설되었으며 성수대교와 같은 트러스교형태로 건설되었는데 ...
    도서 위키백과
  • 한강다리 (관련어 성산대교)
    위치순 가나다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성산대교남단입체교차시설
    성산대교남단입체교차시설은 성산대로와 올림픽대로,노들길의 교차지점에 설치된 교차시설로 1980년 6월 30일 준공되었다. 폭 8~14m, 연장은 교량 835m와 옹벽 2,900m를 합해 3,735m이다. 공사비는 2억 5,790만원이 투입되었다.
    유형 :
    시설명
  • 성산대교북단입체교차시설
    성산대교북단입체교차시설은 성산대교와 강변북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된 교차시설로 1980년 12월 준공되었다. 폭 10~27m, 연장은 교량 250m와 옹벽 193m를 합해 443m이다.
    유형 :
    시설명
  • Seongsan Bridge 성산대교, 城山大橋
    The Seongsan Bridge is the 12th bridge that crosses the Han River in South Korea and connects the districts of Mapo District and Yeongdeungpo District. The bridge was completed in 1980. References
  • 만의총 萬義塚
    옥천면 성산대교들에 자리하고 있는 만의총(萬義塚)은 본래는 삼국시대 지방 호족의 묘역이었다. 이곳에 정유재란 때인 1597년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성산대교들에서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3만 명의 일본군을 맞아 싸우다가 순절한 1만 명의 의병과 백성들의 시신을 묻고 그들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전투가...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500-1
    지역 :
    해남
  • 월드컵대교 worldcup大橋
    건립 경위 기존에는 서울의 서부 간선 도로와 내부순환로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었다. 이 구간 이용 차량들은 성산대교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그리하여 성산대교 및 주변 도로는 상습 교통 정체 구간이었다. 이에 서부 간선 도로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서, 간선 도로의 확충 사업으로 서부간선도로 지하 구간의...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내부순환로 內部循環路
    개설 노선명은 내부순환로이며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대교 북단에서 성동구 성수동 동부간선도로 분기점까지 연결하는 순환 고속화도로로 서울시내 동서축 간선도로로는 두 번째로 건설되었다. 도로 총연장은 40.1㎞, 너비 26∼34.8m의 왕복 4∼6차선으로 서울특별시에서 직접 관할한다...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한국의 다리 시리즈(네 번째 묶음) 광안대교
    한국의 다리 시리즈 네 번째 묶음으로 광안대교, 성수대교, 성산대교, 영종대교 등 우리의 대표적인 현수교와 트러스교를 소개한다. 현수교는 양쪽 끝에 주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케이블을 늘어뜨린 형태의 교량이며 트러스교는 목재나 강철 막대를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 모양으로 조합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방식의...
    발행일 :
    2007.9.28
    발행량 :
    560000
    종수 :
    4
    액면가격 :
    250원
    디자인 :
    광안대교
    우표번호 :
    2577
    인면 :
    47㎜ × 27㎜
    천공 :
    13
    전지구성 :
    4 × 4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5도
    우표크기 :
    50㎜ × 30㎜
    디자이너 :
    이기석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성산대교
성산대교
성산대교
성산대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