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비 (관련어 선비정신)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특히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유교용어.|선비의 어원 선비는 한자어의 사(士)와 같은 뜻을 갖는다. 어원적으로 보면 우리 말에서 선비는 ‘어질고 지식이 있는 사람’을 뜻하는 ‘선’라는 말에서 왔다고 한다. ‘선’의 ‘선’은 몽골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선비 (관련어 선비 정신) Seonbi, ソンビ
    오늘날에는, 선비는 관직과 재물에 대한 욕망을 거부하고 의리와 원칙을 소중히 여기는 학식과 예의가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거나, 품성이 얌전하기만 하고 현실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도 쓰이고 있다.다음 사전, 선비_1 (2)재물을 탐내지 않고 의리와 원칙을 소중히 여기는 학식 있는 사람을 비...
    도서 위키백과
  • 선비정신의 구현
    역사적으로 선비가 지향하는 핵심적 가치는 세속적 이익을 억제하고 인간의 성품에 뿌리한 '의리'(義)이다. 따라서 선비정신은 곧 의리정신으로 나타난다. 공자가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고 한 언급에서도 의리와 이익의 대립적 분별의식(義利之辨)과 군자와 소인의 대립적 분별의식(君子小人之辨)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논어 명언, 선비정신
    조선 후기 실학파 문인 박지원은 ‘책을 읽는 사람을 선비(讀書曰士)’라 하였고, 《중문대사전》에서는 선비를 ‘덕행과 학식을 겸비한 사람(有德行學識之人)’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선비는 인류의 지혜와 문화적 자양분이 체계적으로 집적된 책을 읽고 인격이 훌륭하여 품위 있으면서도 의연한 삶의 태도...
  • 선비
    치렀다. 그러나 선조 때를 전후하여 선비들이 정치와 문화의 중심세력으로 등장해 조선시대를 이끌어갔다. 한말에 이르면 도학이 다시 활기를 찾으면서 선비정신도 새로운 활력을 얻는다. 한말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선비들은 당시에 전파되던 천주교를 이단으로 배척하고, 서양의 세력을 오랑캐로 거부하면서, 이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K문화테마파크 선비세상
    보고, 입고, 먹고, 배우고, 즐기는 21세기 선비문화를 대표한다. 선비세상은 한옥·한복·한식·한글·한지·한음악 등 6개 주제의 한국문화를 기본으로 선비정신을 폭넓게 체험할 수 있는 대한민국 K-문화 테마파크이다. 다도체험, 한지 뜨기 체험, 쿠킹 클래스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공연,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위치 :
    경상북도 영주시 선비세상로 1 선비세상
  • 선비
    고구려에 인접했던 선비족의 선비와 관련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정설은 아니다. 바뀐 뜻 학문과 인격을 닦은 사람이나, 학식은 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쓴다. 보기글 ㆍ말하는 걸 보니 그 사람 참 영락없는 선비일세. ㆍ우리가 되살려야 할 정신 중에 중요한 것이 바로 이 선비 정신 아니겠는가.
    유형 :
    순우리말
  • 안동선비순례길1코스
    관광 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1코스는 도산구곡 중 첫 번째 물굽이인 운암곡 주변을 둘러보는 길이다. 흔히 안동을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라고 하는데, 선성현길에는 고고한 선비정신을 지키며 살았던 군자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 마을에 군자 아닌 사람이 없다 하여 군자리라는 이름을 얻은 외내마을부터 선비들이...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선성5길 8
  • 선비마을
    아래 풍수지리의 삼수혈을 따라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풍수지리의 마을이며, 선대 어르신을 공경하는 후손의 마을이 가득 담긴 19개의 크고 작은 묘역들과 선비 정신으로 충, 효, 예를 지키며 살아온 마을의 전통 관습 등 옛 모습 그대로 잘 보존된 마을이다. 예전부터 해주오씨가 모여 살던 해주오씨 집성촌으로, 관련...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길 45
    문화재 지정 :
    농촌체험휴양마을(2015년)
  • 안동선비문화박물관
    안동선비문화박물관은 선비정신을 되살려 인성 함양뿐만 아니라 한국 정신문화를 표상하는 영남의 선비문화유산이 고유한 전통의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2014년 11월 24일 개관한 박물관이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83호인 “향병일기”를 비롯하여 일부 소장한 자료들이 전시되고 있다. 또한 연수...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경서로 4380-49
  • 선비들의 집 이상과 자연의 이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건물을 세우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자신들의 유교 이상을 구현하고 실천하는 중요한 통로이자 증거로 보았다. 집에는 유교의 정신적 가치와 선비의 학문적 이상이 반영되어야 했다. 자연의 원리를 깨닫고 자연의 이치를 따르는 것이 그 가운데 핵심적 위치를 차지했다. 이것을 유교에서는 '승리...
  • 꿩, 선비의 폐백
    꿩은 맛이 좋지만 새장에 가두어 길들일 수 없다. 그래서 선비가 꿩을 폐백으로 한다. 선비가 꿩을 폐백으로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꿩은 맛이 좋다. 하지만...없다. 바른말로 임금을 보필하되 굳은 지조를 지켜 길들여지지 않겠다는 정신을 꿩에 담아 폐백으로 바친다는 것이다. 윗사람에게 바치는 폐백 하나에도 깊은...
    도서 새 문화사전 | 태그 고전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