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석사 碩士, Master
    대학원에서 학칙이 정하는 과정을 이수하고 일정한 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개설 학사 학위를 소지하고, 대학원에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일정한 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의 한 종류이다. 석사학위 수여 절차는 대학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의 경우 학사학위를 가진 사람이 대학...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석사 Master's degree, 修士
    다른 뜻 석사(碩士,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으로 학사 학위를 지닌 사람이 대학원의 석사과정의 일정 강의에 참석하고 소논문과 논문자격 시험을 통과하여 지도교수의 논문과정 이후 논문을 작성하고, 학위 심사에 제출하여 논문을 인정 받으면 얻는 학위이다. 일본에서는 박사 전기(博士前期) 혹은 연구과(研究科) 수사(...
    도서 위키백과
  • Master's degree 석사, 修士
    A master's degree (from Latin magister), is an academic degree awarded by universities upon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demonstrating a mastery or high-order overview of a specific field of study or area of professional practice. Within the area studied, graduates are posited to possess advan...
  • 남해안석사놀이 석전(石箭), 南海岸石射─
    개설 경상남도 남해안의 도서지역이나 해안가에서 추석 때 돌을 던져 나무를 맞추는 놀이로서, 석전(石箭)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석사놀이는 돌을 던져 목표물을 맞히는 방식이므로, 석전(石戰)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誌)』에서는 "매년 정초에 군중들이 패수(浿水)가로...
    시대 :
    현대
    성격 :
    민속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음력 8월 15일 추석(秋夕)
    분야 :
    생활/민속·인류
    소장/전승 :
    경상도 남해안의 도서지역이나 해안가
  • 설악산 오색석사 雪嶽山 五色石寺
    내용 신라 말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가지산파(伽智山派)의 개산조(開山祖) 도의(道義)가 창건한 사찰이며, 성주산파(聖住山派)의 개산조인 무염(無染)도 이 절에서 출가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그러나 그 뒤의 역사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이 절의 후원에 한 그루의 이상한 나무가 있어 다섯 가지...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애추석사 哀秋夕辭
    구성 및 형식 『도은선생시집(陶隱先生詩集)』 권1과 『동문선』 제1권에 실려 있다. 내용 가을밤이 캄캄한데 시름을 품고 잠깐 졸다가 문득 옥황이 있는 하늘에 오른다. 옥황을 만나 자신이 공자와 맹자의 도덕을 지키겠다는 결심과 시속의 곡학(曲學)에 맞지 않는 것을 이야기한다. 옥황은, 학문의 도는 변통하고 추이...
    시대 :
    고려
    저작자 :
    이숭인
    창작/발표시기 :
    고려 후기
    성격 :
    사(辭)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오색석사 五色石寺
    법을 배워 귀국한 뒤 동설악의 진전사와 함께 이 절을 창건했다. 전설에 의하면 절의 후원에 있던 나무에서 5가지 색의 꽃이 피었기 때문에 절이름은 오색석사, 지명은 오색리라 하고 그 아래의 약수도 오색약수라 했다고 한다. 현재 절은 퇴색되었지만 신라시대의 양양오색리3층석탑(보물 제497호)·석사자·탑재 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경영학석사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학석사(MBA)는 경영전문대학원을 졸업한 경영학 석사다. MBA 과정은 기업의 중간 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 전반에 관한 실무를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도 이 같은 과정목표에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MBA 과정은 막 대학을 졸업했거나 기업에서 3...
  • 청구시화습유고 청구시화, 靑邱詩話拾遺稿
    추정된다. 표제는 ‘청구시화(靑邱詩話)’로 되어 있으나 서문 「청구시화습유고서」가 있어 원제는 ‘청구시화습유고’로 보인다. 그러나 권두서명은 ‘석사습유고(石史拾遺稿)’로 되어 있어 또다른 이름이 ‘석사습유고’임이 추정된다. 또 석사는 서미의 호이므로 편자가 서미인 것으로 추정되나, 서미보다 15여년...
    시대 :
    조선
    저작자 :
    서미(徐湄)
    창작/발표시기 :
    1826년(순조 26)
    성격 :
    시화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금강산 굴불사 굴석사(掘石寺), 金剛山 掘佛寺
    또한 1183년(명종 13)에 중수가 있었음을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내용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몽고의 침략이 있었던 13세기 중반에 폐사될 때까지 ‘굴석사(掘石寺)’로 불렀다고 한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81년(숙종 7) 중창되었으나 18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다시 폐사되고 사면석불만 남아 있게 된 듯...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청량산 문수사 납석사(納石寺), 淸凉山 文殊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조선 중기 이전까지는 자연동굴을 이용한 법당을 갖춘 납석사(納石寺)가 있었으며, 그 뒤 폐허화되었던 것을 최근에 석굴 아래쪽에 새로 대웅전과 요사채를 신축하고 절 이름을 문수사라 개칭하였다. 원래 석굴 입구에는...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석사자상 石獅子像, Lion of Fo
    불사자, 석견, 불사라고도 한다. 원래의 의미는 불교사원의 수호자였다. 보통 쌍으로 조각되며, 그중 수컷은 공을 가지고 놀고 있고 암컷은 새끼와 함께 있는 모습이다. 이것은 여러 종류의 중국 도자기와 서양 모방 도자기들에서 종종 볼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7건

석사학위논문계획서
양양 오색석사지 전경
양양 오색석사지 전경
도은시집(권1) / 애추석사
북경 근교 노구교 난간의 석사자상
신라 흥덕왕릉 앞 오른쪽 석사자상
신라 흥덕왕릉 앞 왼쪽 석사자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