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재 書齋
    책을 쌓아두고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방.|내용 항상 책과 함께 하고 있는 선비가 머무르는 곳이라 해서 사랑채를 서재나 서실(書室), 또는 책실(冊室)·책방(冊房)이라 하거나 관아의 시설 중 내아(內衙)에 있는 공부방을 그렇게 부르기도 하며, 향교나 서원에서 스승이 있는 곳을 서재라 부르기도 한다. 서재로 쓰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서재 Study (room), 書斎
    서재(書齋)는 문서 작업, 컴퓨터 작업, 독서 등에 사용되는 집 안의 방이다. 역사적으로, 과거에 서재는 가족들 중 가장이었던 아버지의 개인용 사무실과 독서실로 이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재택 사업을 운영하거나, 가족 전체가 쓰는 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재는 책상, 의자, 컴퓨터, 책상용 전...
    도서 위키백과
  • 하동향교 (관련어 서재)
    하동향교는 세워진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12년(1736)에 부사 민진기가 횡천으로부터 옮겨지었다. 그 뒤 헌종 13년(1847)과 1920년에 고쳐지었고, 근래에도 보수하였다. 출입문이자 휴식공간이었던 풍화루를 들어가면 유생들이 공부하는 명륜당이 있고, 그 앞쪽에는 유생들의 거처인 동·서재가 비대칭으...
    위치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향교2길 5
    문화재 지정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3호(1983.08.12 지정)
  • 서재 화익(和益), 徐再謙
    하고 명리(名利)를 탐내는 마음이 없었다. 정사철(鄭師哲)·손처눌(孫處訥) 등과 도의로 교제하며 향풍(鄕風)의 교화에 힘썼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서재겸의 형 서득겸(徐得謙)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웠다. 당시 곽재우(郭再祐)가 이끄는 의병들은 화왕산성(火旺山城)에 진을 치고 있었는데 그 곳...
    시대 :
    조선
    출생 :
    1557년(명종 12)
    사망 :
    1617년(광해군 9)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의병장
    대표작 :
    『죽계유고(竹溪遺稿)』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달성(達城)
  • 퇴록 용암서재강의퇴록(龍巖書齋講義退錄), 退錄
    개설 『퇴록(退錄)』이라는 제목은 스승의 강의를 듣고 물러나서 정리한 강의록이라는 뜻을 지닌다. 본서와 그의 다른 저서 『용암서재강의퇴록(龍巖書齋講義退錄)』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두 책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서로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용암서재강의퇴록』은 「오서총론」, 『효경』 및 『사서』에...
    시대 :
    조선
    저작자 :
    최좌해
    창작/발표시기 :
    18세기 후반(저술), 19세기 전반(편집)
    성격 :
    강론집, 문답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9책
    간행/발행 :
    최좌해(崔左海) 문인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재 西齋集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844년(헌종 10) 후손 헌회(憲晦)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인영(趙寅永)·홍직필(洪直弼)의 서문과 권말에 헌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는 시 317수, 권3·4에는 소 7편, 계(啓) 7편, 공장(供狀) 1편, 권5·6에는 서(書) 56편, 기 1편, 잡저 5편, 제문 9편...
    시대 :
    조선
    저작자 :
    임징하
    창작/발표시기 :
    1844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4책
    간행/발행 :
    임헌회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서재에서의 나폴레옹 튈르리 서재에서의 황제 나폴레옹
    나폴레옹은 군복과 은박 메달을 착용하고 이른 아침 집무를 보던 서재에서 책상 끝에 기대어 있는데, 황제로서의 모습이 더욱 강조되며 당시 육체적으로 노쇠했던 실제 모습은 감추어져 있다. 그 대신 차분한 표정과 안정감 있는 분위기로 중년의 나폴레옹을 위엄 있는 지성적 존재로 부각시킨다. 나폴레옹의 주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21세기 돈키호테를 위하여 도레 ‘서재의 돈키호테’와 아담 스미스 ‘국부론’
    상상력을 불어넣어 주었고 특히 도미에는 돈키호테 연작을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도레의 삽화는 우리에게 살아 있는 돈키호테를 만나게 해준다. 〈서재의 돈키호테〉는 소설 앞부분의 내용에 해당하는 그림이다. 돈키호테가 기사들의 모험을 담은 책들을 쌓아 두고 공상에 잠겨 살아가고 있는 내용이다. 그림은 돈...
  • 만의서재 晩義書齋
    학위당(學偉堂)이었다고 한다. 이 학위당이 발전하여 사학의 요람이 되었고, 그 뒤 개화와 함께 창동의숙(彰東義塾)으로 개칭하고 1880년(고종 17)에 중수하였는데, 이것이 지보초등학교(知保初等學校)의 전신이 되었다. 1972년 용궁전씨 문중에서 중수하여 만산서재(晩山書齋)라고 하다가 다시 만의서재로 개칭하였다.
    시대 :
    조선
    성격 :
    강학당, 학위당, 창동의숙, 지보초등학교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만화리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봉산서재
    평창 봉산서재는 율곡 이이 선생과 화서 이항로 선생의 영정이 있는 곳이다. 봉평 시가지 진입로 국도변 평촌리 동편 산기슭에 위치한 ‘봉산서재’는 율곡 이이 선생의 부친 이원수 공이 수운판관으로 벼슬을 하던 조선 중종때 이곳에서 18년간(1526년~1543년) 거주하는 동안 사임당 신씨에게서 율곡선생을 잉태...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봉산서재길 17
  • 서재문화체육센터
    서재체육공원은 대구광역시 서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환경자원사업소 체육공원이다. 이곳은 파크골프장,디스크골프장,인라인스케이트장,테니스장 등의 체육시설이 있다. 체육 동호인 뿐만 아니라 산책로가 넓고 쾌적하여 주민들의 가족 나들이 장소로 많이 이용된다. 특히, 강아지 동반 가능한 공원이며, 인라인...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 벤의 서재
    벤의 서재는 북카페와 독립서점을 겸한 공간으로, 독서와 글쓰기에 집중할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책과 삶을 연결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독서 애호가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대화 없는 공간으로 운영되며, 평일에는 예약제로 운영하고, 주말에는 제한된 시간에만 예약을 받습니다. 예약과...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19 (마곡동) 3층 301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85건

서울 성균관 서재 정측면
괴산 송시열 유적 중 암서재 좌측면
창덕궁 선향재
백운서재
서재집
서재 결혼 시키기
영광향교 / 서재
용담향교 / 서재
집 서재에서
밀양 남계서원 중 서재
대구향교 서재 정측면
사천향교 서재 정측면
영주향교 서재 정측면
청송 진보향교 서재
청양 정산향교 서재
논산 윤황선생 서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