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덜
    서덜이란 생선을 손질하고 남은 대가리, 뼈, 껍데기 등의 부산물이다. 샥스핀처럼 살코기가 아닌 부분도 원래 그것이 주식재료인 경우에는 서덜이라고 하지 않는다. 탕이나 국을 끓여 먹는 방식으로 소비된다.
    도서 위키백과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경영대학원, Case 의학대학원, Case 치의학대학원 등이 있다. 출신인물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출신 인물로는 영화감독 루소 형제, 물리학자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생리학자 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 신경생물학자 도널드 아서 글레이저, 약학자 얼 윌버 서덜레드 2세, 경제학자 리처드 세일러 등이...
    설립 :
    1826년
    유형 :
    사립대학
    소재지 :
    미국 오하이오주
    사이트 :
    https://case.edu/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국 , 대학교
  • BFI 런던영화제 BFI London Film Festival
    다른 영화제에서 이미 호평을 받은 영화들을 초청하고 그해 개봉한 우수한 작품을 추가해 영화제를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막식과 폐막식 갈라쇼는 런던에서 가장 큰 레드카펫 행사로 개최된다. 공식 경쟁부문으로 최우수 작품상, 가장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데뷔 작품을 시상하는 서덜랜드상 등을 시상한다. 참고
  • 가래나무 Manchurian walnut, <일>まんしゅうぐるみ
    되도록 심고 4-5㎝가량의 흙을 덮고 잘 다져준다. 재배특성 다비성(多肥性) 수종이기 때문에 비옥한 토양에서 특히 잘 자라며 물이 흐르는 계곡이나 산록의 서덜 사이에서 주로 생육하는데 뿌리의 발달이 좋고 생장이 빠른 편이다. 용도 •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고 질기며 단단하고 뒤틀리지 않아 건축재, 내장재...
    분류 :
    가래나무목 > 가래나무과 > 가래나무속
    학명 :
    Juglans mandshurica Maxim.
    개화기 :
    4월
  • 서덜취 큰서덜취
    잎은 모두 버리고 서덜취 새순을 가지고 내려온다고 한다. 그만큼 높은 산에 가야 있고, 또 나물 맛을 본 사람들이라면 향에 취할 만큼 좋다는 말이다. ‘서덜’이라는 말은 냇가나 강가의 돌이 많은 곳을 뜻하며, ‘돌서덜길’과 같이 쓴다. 그런 이름이 붙긴 하지만 이 품종은 돌이 많은 곳에만 자라는 것은 아니다...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토양에 부엽질이 많은 반그늘
    꽃색 :
    자주색
    크기 :
    키는 약 30~50㎝ 정도
    학명 :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용도 :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결실기 :
    10월경
  • 서달로 (서울)
    도로 정보 서달로(西達路)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서 흑석동까지 이르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총 연장은 1.804 km에 이른다. 돌이 많아 '서덜산'이라고 표현하였던 봉우리가 "서달산"이라고 전해졌으며, 이 지명을 활용하여 명명한다. 이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인천 서달로와 마찬가지로 같은 봉우리에서 유래한...
    도서 위키백과
  • 아이번 서덜랜드 Ivan Sutherland, アイバン・サザランド
    연구소(Defense Department's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1968년에는 친구이자 동료인 데이비드 에반스와 에반스 앤 서덜랜드사를 설립하여 실시간장치, 3차원 그래픽 가속기, 프린터 구동 언어 개발에서 선구적인 작업을 했다. 여기에는 훗날 어도비 시스템즈(Adobe Systems)사...
    도서 위키백과
  • 선암산
    산 정보 선암산(禪岩山/仙岩山)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산이다. 대미산에서 뻗어 내린 산맥이 남쪽으로 운달산과 단산을 거쳐 이루어낸 산으로 큰 홍수가 났을 때 배가 산을 넘어와 서덜지대에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동국여지승람》에 담겨져있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