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소 上訴, appeal
    상급법원에 하급법원 판결의 심사를 구하거나 행정기관의 명령에 대한 심사를 각급 법원에 호소하는 것.|모든 법체계는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몇몇 유형의 상소를 규정하고 있다. 어떤 법원이 자체 내의 판결을 심사할 수도 있지만 상소라는 개념은 사법적 계층구조를 전제로 한다. 전형적인 계층구조는 다음과 같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상소 上疏
    왕에게 올리는 글.|왕에게 올리는 각종의 글을 총칭하여 상주문(上奏文)이라고 하는데, 종류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상소는 상주문 중에서도 간언(諫言)이나 의견, 진정을 전달하는 글을 말한다. 짧은 상소를 차자(箚子)라고 하는데, 둘을 합해 소차(疏箚)라고 한다. 그밖에 진소(陳疏)·소장(疏章)·장소(章疏) 등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상소 上訴
    미확정재판에 대하여 상급법원에 그 취소나 변경을 구하는 불복신청.|내용 상소는 미확정재판에 대한 불복신청이라는 점에서 확정재판에 대한 비상구제절차인 재심(再審), 또 <형사소송법>상의 비상상고(非常上告)와 구별되며, 또한 상급법원에의 불복신청이라는 점에서 그 재판을 한 법원에 대하여 불복을 신청하는...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상소 봉장, 上疏
    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내용 대개 건의·청원·진정 등의 내용이며, 봉장(封章)·주소(奏疏)·진소(陳疏)·장소(章疏) 등으로도 불린다. 상소문은 문집에 전재(轉載)된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그 내용이 수정 또는 가필(加筆)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
    시대 :
    조선
    성격 :
    관문서, 청원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상소 Appeal, 上訴
    다른 뜻 설명 상소(上訴)란 하급법원의 재판에 잘못이 있다고 하여 패소한 당사자가 그 정정(訂正)을 구하고 상급법원에 대하여 불복을 신청하는 것을 말한다. 상소의 신청이 있으면 그 판결은 확정되지 않으며, 사건은 상급법원으로 넘어가고, 거기에서 계속하여 심리판결된다. 이와 같이 하급법원의 재판 정정을 위하...
    도서 위키백과
  • 항소 (관련어 상소) 抗訴, appeal
    재판에서 제1심 법원의 판결에 불복하는 경우 상급 법원에 재심을 청구하는 법적 절차. 제1심에 제기하는 것을 '항소'라 하며, 항소심의 판결에 불복하는 경우는 '상고'라고 한다. 항소의 절차는 형사소송의 경우와 민사소송의 경우가 약간 다르다. 항소는 당사자나 당사자의 법률적 대리인만이 할 수 있다. 항소에 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상소 上訴, appeal
    법률용어로 상소란 하급 법원의 판결이나 결정에 의해 불이익 처분을 받은 사람이 그것의 취소나 변경을 요구하며 상급 법원에 제소(提訴)하는 것으로, 일단 상소를 하게 되면 판결은 확정되지 않고, 상소가 확정될 때까지 하급 법원의 판결이나 결정은 집행될 수 없다. 교회법상 상소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다만 교황...
  • 상소 上訴
    상소란 일반적으로 하급 법원의 판결이나 결정에 의해 불이익 처분을 받은 사람이, 그 판결의 취소나 변경을 요구하며 상급 법원에 재소(提訴)함을 말한다. 교회법상의 상소도 같은 의미를 갖는다. 모든 가톨릭 신자는 상소권을 가지며, 다만 교황에 의한 판결이나 결정에 대해서는 상소할 수 없다.|상소란 일반적으로...
  • 심급제도 (관련어 상소) 審級制度
    항소란 1심의 판결에 불복하여 2심 재판을 청구하는 것이며 상고란 2심의 판결에 불복하여 3심 재판을 청구하는 것이다. 항고란 법원의 결정이나 명령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며 재항고란 항고 법원의 명령이나 결정에 대해 대법원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소는 가장 큰 개념으로서 재판이 확정되기 전...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 상소제도의 중요성 공정한 재판을 위한 장치
    상소제도의 뜻과 의미 법관의 독립을 보장하고 사법부 내부작용으로부터도 독립하여 재판하는 제도만 확립된다고 해서 모든 재판이 전부 공정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을까요? 법관이 독립하여 재판을 하도록 보장했지만, 법관의 판단이 독단에 치우친다거나 오판이 있을 위험성은 늘 있습니다. 재판 당사자들 또한 충분히...
  • 정산소종과 랍상소우총 홍차의 탄생
    더위와 습기로 인해 홍차로 발효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차의 원조나 기원은 중국 푸젠 성 우이산 퉁무(桐木)촌에서 생산된 정산소종 혹은 랍상소우총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에 따른 전설은 다음과 같다. 청나라 초기에 푸젠 성 일대에 남아 있던 명나라의 일부 군대를 토벌하기 위해 청군이 우이산 퉁무촌...
    도서 홍차 수업 | 태그 술/음료
  • 형사소송법, 상소의 이익 시작도 못하고 끌려갔는데
    것은 사실이지만, 국향이가 유부녀인 줄은 몰랐으므로"라는 것이다. 이춘풍은 국향이와 정을 통하기도 전에 끌려가지 않았던가? 무죄 판결을 받은 피고인이 상소할 수 있는가? 예문 ① 할 수 있다. 무죄의 이유에 승복할 수 없으므로. ② 할 수 없다. 무죄 판결을 받은 자는 상소할 이익이 없다. 정답 ② 해설 법관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상소
상소(上疏)
상소실례
지석영의 상소
지석영의 상소
공거문총
공거문총
상소문
상소산
지석영의 상소
상소(전 2권)
삼강행실도 / 충신편(정이상소)
고려사 / 오조정화에 관한 상소
남한기략 / 호종상가사면상소
남한기략 / 호종상가사면상소
남한기략 / 호종상가사면상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