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상공회의소 大韓商工會議所회의소 조직을 설립 또는 재건하였다. 이들 민족계 상공회의소 조직은 1915년 「조선상업회의소령」이 제정되어 경성상업회의소 등 주요 조선인 상공회의소 조직이 일본인 상공회의소에 강제 통합될 때까지 그 활동을 계속하였다. 그 뒤 총독정치는 다시 1930년 「조선상업회의소령」을 「조선상공회의소령」으로 개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업성상업성(商業省) 또는 상무성(商務省), 상공성(商工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서 상업, 물자 행정, 물자 배급랑 획정, 물가 행정, 무역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내각 중앙행정기관이다. 해외,무역, 수출입에 관련된 사무는 무역성 또는 대외경제위원회로 이관되었으나 일시는 불명확하다. 1948년 9월 2일 조선...도서 위키백과
-
상공 常貢1401년), 진상의 품목과 도수(度數)를 법제화하는 과정에서 별공이나 그에 준하는 공납들이 상공화됨으로써 오히려 증가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리하여 상공은 조선시대의 공납제에서 주축을 이루면서 17세기 대동법(大同法)이 시행되기까지 공납제가 일으켰던 여러 가지 폐해를 수반하며 존속되었다. 그러다가 대동법...
- 시대 :
- 고려
- 성격 :
- 재정, 공물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조선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경성상공협회 京城商工協會상업회의소를 일본인 상업회의소에 강제로 통합하였다. 경성상업회의소가 조선 상인들의 이해를 대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1925년 종로 상인들이 서로 간의 친목을...경성부내 상공업자 전반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중앙번영회를 해산, 새로 경성상공협회(京城商工協會)를 결성하였다. 창립 초기 경성상공협회는 불경기 대책...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30년 12월 27일
- 성격 :
- 경제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1년(추정)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부산상공회의소 통계 연보』 釜山商工會議所 統計 年報[창간 경위] 일제 강점기 때 부산의 대표적 상공업 단체인 부산상공회의소는 1930년 제정된 「조선상공회의소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1879년 조선에서 최초로 설립된 일본인 상공 단체인 부산상법회의소(釜山商法會議所)가 그 효시이고, 1915년 「조선상업회의소령」에 의해 조선인상업회의소와 통합한 부산상업회의소...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부산상공회의소 釜山商工會議所활동과 부산상공회의소의 재건을 도왔다. 이에 따라 1945년 말부터 상공업자 단체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1946년에 조선상공회의소가 설립되었다. 임의 단체 부산상공회의소는 중앙상공회의소가 설립되고 난 이후인 1946년 7월 10일에 50명의 의원과 임원진을 선출하여 발족하였다. 임의 단체 부산상공회의소...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성안상공 신도비 成安尙公 神道碑내용 총높이 362㎝, 비신 높이 220㎝, 너비 106㎝, 두께 36㎝. 198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성안은 조선 중기의 재상 상진의 시호로, 이 비는 1566년(명종 21)에 세워졌다. 화강암제 장대석 기단과 네모받침돌 위에 대리석제 비신(碑身)을 얹은 다음, 그 위에 화강암제 첨석(檐石...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