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성 三省
    설치 목적 삼성(三省)은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고, 간쟁(諫諍), 봉박(封駁), 서경(署經)을 담당하며, 문서 전달과 국가의 가장 중요한 행정 업무를 담당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기능과 역할 고려의 삼성은 당(唐)의 제도를 수용한 중서성(中書省) · 문하성(門下省) · 상서성(尙書省)을 말한다. 그래서 건물도...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관청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삼성제약㈜ 三省製藥(株), Samsung Pharm. Ltd.,
    내용 삼성제약㈜은 1929년에 삼성제약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삼성제약소는 진통제인 ‘푸로마인’ 한 품목만을 생산하였는데, 의약품 종류가 많지 않았던 당시에는 이 약의 인기가 상당히 좋았다고 한다. 삼성제약소는 국내는 물론 우리 교포들이 많이 살던 만주와 중국에 지점을 설치하고 주재원을 두어 의약품을...
    시대 :
    현대
    위치 :
    경기도 화성시 상신리 905-1,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약공단2길 35
    설립 :
    1929년
    성격 :
    기업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종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삼성제약 三省製藥, SAMSUNG PHARMACEUTICAL CO., LTD.
    기업스토리 역사 삼성제약(주)은 1929년 8월 15일 삼성제약소로 창립한 뒤 일본과 대만, 중국 등지에 지점을 개설했다. 1954년 11월 창립자 김종건이 대한약사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1963년 1월 삼성제약공업(주)으로 상호를 변경했고, 1965년 마시는 소화제인 가스명수를 개발했다. 1975년 7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설립 :
    1929-08-15
    국가 :
    대한민국
    설립자 :
    김종건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취급품목 :
    일반의약품, 처방의약품, 건강식품, 식품드링크, 의약외품
    사이트 :
    http://www.sspharm.co.kr
    본사 주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약공단4길 10
    종목코드 :
    코스피 001360
    다음금융 URL :
    https://finance.daum.net/quotes/A001360#home
    도서 기업사전 | 태그 기업
  • 삼성 三省
    본래 당나라에서 발달한 제도로서, 조칙을 작성하는 중서성과 이를 심의하는 문하성 및 그것을 집행하는 상서성을 말한다. 고려는 태조초에 최고 정무기관으로 광평성·내봉성·내의성을 설치했는데, 이는 당제와는 별개의 것으로 신라관제의 영향을 받은 태봉의 구제도를 바탕으로 편성했다. 실제로 당제에 따른 3성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삼성출판사 三省出版社
    집〉·〈황순원대표작전집〉 등 개인전집을 출간한 이후, 1969년 〈한국단편문학대계〉 전12권을 출간함으로써 한국문학에 대한 1차 정리작업을 마무리했다. 삼성출판사의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은 1971년 〈독서신문〉과 1972년 잡지 〈문학사상〉에 이어 1973년 〈한국문학전집〉 문고판 전 102권, 1978년 〈한국현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삼성출판박물관 三省出版博物館
    내용 30여년간 출판인쇄관계 자료를 모아 1990년 6월 29일에 개관하였으며, 삼성출판사 김종규(金宗圭) 회장의 문화의식과 정신이 깃든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출판인쇄 사료 및 자료 전문박물관이다.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발명하고 현존 최고(最古)의 목판인쇄가 남아 있는 긍지를 가진 종주국답게, 뛰어난 우리나라...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신무동 삼성암지 마애약사여래 입상 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新武洞 三省庵址 ..
    내용 높이 2.36m. 1988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3.6m, 폭 2.2m의 암석에 조각되어 있다. 바위의 동쪽 면에 부조(浮彫)된 이 불상은 보존 상태가 그리 좋지는 못하다. 특히 무릎 이하는 거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다. 머리카락을 표현하지 않은 소발(素髮)이며, 정수리에는 넓적...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삼성재문집 三省齋文集
    내용 8권 4책. 필사본. 1963년 손자 영동(寧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동진(金東鎭)의 서문과 권말에 영동의 발문이 있다. 국립경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272수, 부(賦) 4편, 서(書) 22편, 의(疑) 3편, 논(論) 8편, 서(序) 11편, 발(跋) 6편, 기(記) 12편, 설(說) 6편, 권4∼7에 잡저 13편, 행장...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대전삼성초등학교 大田三省初等學校, Daejeon Samsung Element..
    연원 및 변천 1911년 9월 1일 회덕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9년 12월 31일 대전삼성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91년 12월 30일에 구 교사 철거를 완료하고 본관 교사를 완공하였으며 1992년 1월 11일 후동 교사를 한밭교육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1996년 3월 1일 대전삼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9월...
    시대 :
    현대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삼성1동 113·1
    설립 :
    1911년 9월 1일
    성격 :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삼성재유고 三省齋遺稿
    내용 5권 1책. 목활자본. 1815년(순조 15) 족손 상영(祥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학규(學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동규(東奎)·진익(鎭益)·상영 등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61수, 권2에 소(疏) 3편, 권3에 서(書) 12편, 권4에 잡저 2편, 권5는 부록으로 제문 5편, 만사...
    시대 :
    조선
    저작자 :
    소상열
    창작/발표시기 :
    1815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1책
    간행/발행 :
    소상영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단국대학교 도서관
  • 삼성육부제 Three Departments and Six Ministries..
    삼성육부제(三省六部制)는 과거 중세 중국 왕조의 중앙 정치 제도이다. 이는 주변국에도 영향을 끼쳐 발해, 고려, 과거 베트남 왕조 등 중국 주변 동아시아 국가들의 중앙 정치 제도에도 적용되었다. familytreefamilytreefamilytree 3성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중서성(中書省) - 황제와 상담하며 아래서 올라온 상소 등...
    도서 위키백과
  • 삼성추국 성국(省鞫), 三省推鞫
    추국하였다. 조선 초에 삼성은 형조와 양사, 즉 사헌부, 사간원이었다. 형관(刑官)·정승·대간(臺諫)이 교좌(交坐)하여 중죄인을 심문하는 방식을‘삼성잡치(三省雜治)’라고 하였다. 그런데 세종대에 이르러서 의금부 제조가 위관과 함께 국문에 참여하면서 형관으로서 의금부의 기능이 점차 중요해졌다. 이후 세조 때...
    시대 :
    조선
    성격 :
    형벌
    유형 :
    제도
    시행처 :
    삼성(三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