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굿
    삼의 껍질을 벗기는 공정.|삼밭에서 베어낸 삼대는 가지런히 단을 묶어서 웅덩이에 세워둔다. 삼구덩이는 경사지에 3단으로 만든다. 남자들은 장작을 베어다가 최하층에 가지런히 쟁이고, 그 위층에 자갈을 부어놓으며 맨 위에 삼단을 쌓아두고 흙을 덮는다. 밑에서 불구멍을 내어 장작을 태우면 자갈이 달구어지는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삼굿마을(유전리산촌생태마을)
    유전리 삼굿마을은 약 350여 년 전에 모셔진 성황당과 부모님께 효를 기본으로 실천하는 마을로서 매년 설날에는 마을 어른들께 모든 출향인과 동네분들이 경로당에서 합동세배를 올리는 등 옛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산촌마을이다. 삼굿이란 불에 달군 돌 위에 대마에 싼 음식물(감자, 고구마 등)을 올리고 돌에 물을...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중동면 유전길 115 (중동면)
    문화재 지정 :
    농촌체험휴양마을(2015년)
  • 삼베짜기
    의 제직 방법이 이에 해당된다. 일반적인 삼베짜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삼은 3월 말경 대마 씨를 파종하고 7월 중순경 수확한다. 수확한 삼은 단으로 묶어 삼굿에 찌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렇게 해야 아교질이 연하게 되어 삼껍질이 잘 벗겨진다. 삶아낸 삼은 식기 전에 껍질을 벗기고 한 묶음씩 묶어 줄에 널어 말린다...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곡성돌실나이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
    쳤다. 모시와 같이 가는 포를 돌실나이로 부르는 것은 이 마을의 기법이 워낙 유명했기 때문에 고유명사가 된 것이다. 제조방법은 삼씨뿌리기, 삼베기, 삼굿, 껍질벗기기, 1묶음씩 10묶음을 묶는 공뱅이, 삼삼기, 물레잣기, 삼실만들기, 삼베짜기 등으로 여타 지역의 공정과 비슷하다. 그러나 이 지역의 베는 옛날...
    문화재 지정 :
    1970.07.22
    소재지 :
    전라남도 곡성군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32호
  • 길쌈의 공정
    영포, 강원도의 강포가 유명했으며 특히 안동의 안동포, 전라남도 곡성의 돌실나이는 지금까지 유명하다. 삼베의 길쌈과정은 삼을 재배하여 거두어서 삼굿을 통하여 삼구덩이에 넣고 장작불을 지펴서 물을 붓고 그 증기로 삼을 찌게 된다. 삶아진 삼의 껍질을 벗겨서 묶음 단위로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삼껍질은 삼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문화 일반
  • 영덕 도천리 도천숲 盈德道川里道川─
    되어 도천리 숲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둘째로 앞산의 뱀머리 형상이 마을을 위협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풍수를 보완할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마을 숲의 조성원리와 유래가 잘 남아있으며, 숲 안에는 대마를 땅 속 구덩이에서 삶아 옷을 만들던 ‘삼굿’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현재까지 남아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514호
    서식지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도천리 75번지
    성격 :
    식물, 목본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15∼20m, 가슴높이 둘레 50∼388㎝
    분야 :
    과학/식물
    수명 :
    100∼200년
  • 김종옥 金鍾玉
    두어 필요할 때마다 가져와야 했기 때문에 그곳에 주둔하며 항쟁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1907년 10월 의병부대가 녹번리(綠藩里)(현 영월군 중동면 녹전 3리 삼굿마을로 추정)에 도착하여 이강년이 소모장 남필원(南泌元)과 성황(城隍) 숲에서 상황을 지켜보다 어두울 무렵 동내리(洞內里)로 내려왔을 때, 그의 사망 소식...
    출생 :
    미상, 충청북도 청주(淸州)
    사망 :
    1907년 8월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1907년 이강년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무기를 다루다가 사망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이강년 의병부대
  • 영덕 도천리 도천숲
    막기 위하여 풍수를 보완하는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마을숲의 조성원리와 유래가 잘 남아있으며, 숲 안에는 대마를 땅 속 구덩이에서 삶아 옷을 만들던 '삼굿'이 남한에서 유일하게 남아있어 마을숲의 이용 등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있다. 숲의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당제를 대보름에 지내는데...
    도서 위키백과
  • 땅속 화덕 Earth oven, 炕窯
    땅속 화덕(--火-) 또는 땅속 오븐(-- 전 세계의 여러 문화에서 발견된다. 태평양 섬 지역의 땅속 화덕은 로보, 모투, 무무, 아히마아, 우무, 이무, 코우아 등으로 불린다. 삼굿구이 칼루아 항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