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경도의 산줄기
    산경도의 산줄기는 백두산을 시작으로 하여 1개의 대간(大幹)과 1개의 정간(正幹), 13개의 정맥(正脈) 등으로 조선의 산줄기를 분류했는데, 이는 지금의 우리나라 산맥 분류 체계와 전혀 다르다. 15개의 산줄기는 백두산으로부터 금강산·오대산·태백산 등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백두대간(白頭大幹), 장백산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백두대간 白頭大幹
    한반도의 중심이 되는 산줄기. 백두산에서 남으로 맥을 뻗어 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을 거쳐 태백산에 이른 뒤 다시 남서쪽으로 소백산·속리산·덕유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국 산의 큰 줄기를 망라한 산맥이다. 즉 한반도 산계의 중심이며, 국토를 상징하는 산줄기로서 함경도·평안도·강원도·경상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산맥 (관련어 산줄기) Mountain range, 山脈
    산맥(山脈)은 산지의 여러 산들이 연이어 있는 지형을 말한다. 붙어 있는 산들은 고개나 강을 경계로 나뉜다. 산줄기라고도 부른다. 해저산맥(海底山脈)이란 여러 개의 해저산이 직선 또는 아치 형태로 연속되어 있는 해저지형이다. 이동하는 판에 열점에 기인한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해저...
    도서 위키백과
  • 호남정맥 湖南正脈
    13정맥 중 하나로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금남호남정맥의 끝 지점인 주화산(珠華山, 565m)에서 시작하여, 광양 백운산(白雲山, 1,218m)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주화산은 금남호남정맥과 호남정맥, 금남정맥 등 3정맥 분기점으로서 만경강, 섬진강, 영산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주화산에서 백운산까지 정맥 마루금...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한남정맥 漢南正脈
    正脈)은 『산경표(山經表)』의 1대간 1정간 13정맥 중 하나로, 한북정맥(漢北正脈)과 함께 각각 한강(漢江)의 남쪽과 북쪽 유역의 분수계(分水界)를 이루는 산줄기이다.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 문수산까지 정맥 마루금의 길이는 180km에 이른다. 이 산줄기는 경기도의 한강 및 남한강(南漢江) 본류와 서울의 한강 본류...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금북정맥 錦北正脈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명칭 유래 이 산줄기는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므로 금북정맥이라 한 것이다. 이 산줄기를 분수령으로 하여 북사면으로는 안성천·삽교천이 흐르고, 남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
    성격 :
    고지명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낙동정맥 洛東正脈
    근골(筋骨)을 이룬 백두대간(白頭大幹)의 태백산 줄기인 구봉산(九峰山)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영천의 운주산(雲住山, 806m)까지 높이 1,000m에 달하는 산줄기를 형성하고, 월성군 서면 아화리의 낮은 구릉을 넘어 다시 경상남도의 가지산(加智山)을 거쳐 부산광역시 다대포의 몰운대(沒雲臺)에 이르며, 낙동강 동쪽 하구...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한북정맥 漢北正脈
    내용 조선 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를 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산줄기는...
    성격 :
    산줄기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낙남정맥 洛南正脈
    내용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로키산맥 Rocky Mountains, ロッキー山脈
    산맥 정보 로키산맥은 북아메리카 서부에 있는 산맥이다.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미국의 뉴멕시코주까지 남북으로 4,500km에 걸쳐 뻗어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콜로라도주의 엘버트산으로, 해발 4,401m이다. 롭슨봉(3,954m)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있는 봉우리으로 캐나다 로키산맥에서 가장 큰 봉우리이다...
    도서 위키백과
  • 캅카스산맥 Caucasus Mountains, コーカサス山脈
    아제르바이잔 바쿠에 이르기까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길게 이어지며, 소캅카스산맥은 대캅카스보다 약 100km 남쪽에서 대략 평행하게 이어진다. 양측의 산줄기는 중간쯤에서 리히산맥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리히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에는 콜키스평야, 동쪽에는 쿠르-아라즈 분지가 있다. 소캅카스산맥은 아라스강...
    도서 위키백과
  • 힌두쿠시산맥 Hindu Kush, ヒンドゥークシュ山脈
    출처 필요힌두쿠시산맥은 중앙아시아 남부에 있는 산맥이다. 아프가니스탄 북동쪽에서 남서쪽에 위치한 파키스탄까지 1200km에 달하는 산맥이다. 파미르고원에서 남서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힌두쿠시의 쿠시라는 이름은 산이나 산지를 의미한다. 최고 높이는 티리치미르산의 7,708m로 힌두쿠시산맥에는 7,000m 이상의 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