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호남정맥 湖南正脈13정맥 중 하나로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금남호남정맥의 끝 지점인 주화산(珠華山, 565m)에서 시작하여, 광양 백운산(白雲山, 1,218m)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주화산은 금남호남정맥과 호남정맥, 금남정맥 등 3정맥 분기점으로서 만경강, 섬진강, 영산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주화산에서 백운산까지 정맥 마루금...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남정맥 漢南正脈正脈)은 『산경표(山經表)』의 1대간 1정간 13정맥 중 하나로, 한북정맥(漢北正脈)과 함께 각각 한강(漢江)의 남쪽과 북쪽 유역의 분수계(分水界)를 이루는 산줄기이다.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 문수산까지 정맥 마루금의 길이는 180km에 이른다. 이 산줄기는 경기도의 한강 및 남한강(南漢江) 본류와 서울의 한강 본류...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금북정맥 錦北正脈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명칭 유래 이 산줄기는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므로 금북정맥이라 한 것이다. 이 산줄기를 분수령으로 하여 북사면으로는 안성천·삽교천이 흐르고, 남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낙동정맥 洛東正脈근골(筋骨)을 이룬 백두대간(白頭大幹)의 태백산 줄기인 구봉산(九峰山)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영천의 운주산(雲住山, 806m)까지 높이 1,000m에 달하는 산줄기를 형성하고, 월성군 서면 아화리의 낮은 구릉을 넘어 다시 경상남도의 가지산(加智山)을 거쳐 부산광역시 다대포의 몰운대(沒雲臺)에 이르며, 낙동강 동쪽 하구...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한북정맥 漢北正脈내용 조선 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를 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산줄기는...
- 성격 :
- 산줄기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낙남정맥 洛南正脈내용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