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찰 절, 寺刹
    불상을 모시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법을 설하기 위해 세운 건축물.|절을 한자로 사라 하고 가람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범어의 상가라마(Sangharama)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불교건축). 이는 중원 또는 정사라는 뜻으로 남자승려·여자승려·남자신도·여자신도와 같은 4중이 모여 사는 집이라는 뜻...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불교 , 사찰
  • 사원
    승려와 재가신도가 모여 수행과 의례 등을 통해 불교의 교법을 구현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사원·사찰·가람|개설 사원·사찰·가람(伽藍) 등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절이라고 한다. 절[寺]의 어원은 상가람마(Sa○-ghā-rā-ma)로서, 교단을 구성하는 출가한 남자[比丘]와 출가한 여자[比丘尼]가 모...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찰 寺刹
    전통 시대에 창건되어 현재까지 운영되어 오는 부산 지역의 전통 불교 사찰.|[개설] 2009년을 기준으로 부산 지역에 현존하는 사원 수는 총 1,362개소이다. 1~4명의 종사자가 활동하는 사원은 1,290개소, 5~9명의 경우가 63개소, 10~19명이 5개소, 20~49명이 4개소로 소형 사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현재의 대표적...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 사찰 寺刹
    본 뜻 사(寺) - 절. 대웅전 등 건물을 가리킨다. 찰(刹) - 사리를 담아두는 탑(塔). 바뀐 뜻 합쳐서 절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보기글 ㆍ사찰이란 말보다는 절이라고 하는 게 좋다.
  • 사찰 inspection
    원자력 품질 보증 용어. 특정한 요구를 제원이나 활동이 만족한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나 측정 〈참조어〉 코드 점검(code inspection)
  • 가람 승가람마, 伽藍
    산스크리트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승가람의 준말.|승원이라고도 한다. 본래 의미는 중원으로 여러 승려들이 모여 불도를 닦는 숲 등의 장소를 가리켰는데 나중에는 사원의 건축물을 일컫게 되었다. 절은 대개 7종의 건물을 갖추어야 하나의 가람으로 완성되는데 이것을 칠당가람이라 한다. 그러나 반드시 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사찰
    핵원료 물질이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해 핵물질의 수량을 확인하고 기록과 보고를 감사하는 등 안전보장조치 수단의 하나이다.
  • 사찰 Buddhist temple, 寺院
    다른 뜻 사찰(寺刹, 사찰, 사원, 가람, 도량, 정사 등의 여러 한자 단어로도 불린다. 한국, 중국, 일본처럼 대승불교가 주된 곳은 사찰 등의 용어를 주로 쓰지만, 소승불교가 주된 동남아시아 등지의 국가들은 사원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써서 보통 불교사원(佛敎寺院)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큰 사찰에 딸린 작은 절을 ...
    도서 위키백과
  • 사찰판본 寺刹版本
    내용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각 사찰에서는 불교 경전과 고승의 저술 및 불교신앙 의식에 필요한 책을 간행하여 왔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는 일반의 시문집이나 『천자문』 · 『유합(類合)』 등도 간행하였다. 삼국시대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불교 교리의 유포를 위하여 처음에는 필사(筆寫)의...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한국의 사찰
    삼국시대 우리나라에서 사찰이 최초로 지어진 것은 불교가 고구려에 전래된 372년(소수림왕 2) 이후이다. 375년에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佛蘭寺)를 건립하고 그후 평양에 9사를 짓는 등 많은 사찰이 조성되었으나 실제 남아 있는 건물들은 없고, 여러 사지(寺址)들이 조사·발굴됨으로써 당시의 사찰을 미루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호국사찰 흥국사 興國寺
    보조국사가 이곳 흥국사에서 순천 송광사로 옮긴 후 흥국사의 사세는 급격히 기울게 되어 100여 년 가까이 토굴과 같았다고 하며, 이후 원나라의 침공 때 사찰이 모두 소실되어 폐허가 되었다. 그 뒤 조선시대인 1560년(명종 15)에 법수대사가 중창했다. 흥국사는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이 관할하던 전라좌수영의...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17
    지역 :
    여수
  • 사찰연기설화 사원연기설화, 寺刹緣起說話
    내용 사찰이나 암자 등의 창시 유래나 절터를 잡게 된 유래, 절 이름의 명명(命名) 유래에 관한 불교설화이다. 주로 불보살(佛菩薩)의 영험 · 이적이나 불상경문(佛像經文) 및 고승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찰연기설화 · 불사창시설화라고도 한다. 대체로 문헌설화로 전해지고 있으나 구전설화도 많다...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사찰
불국사
사찰 안내도
사찰국수
태족의 맹경채사찰
사찰 표충사 대광전
사찰 표충사 사천왕문(사진 중앙)
깊어 가는 가을 속 사찰
중국선종 사찰 탐방 - 달마대사
타이완 가오슝 시의 천태종 사찰
가운루(사찰 입구 쪽에서 바라본 모습)
중국, 베이징의 유명한 사찰 시리즈 우표
중국, 베이징의 유명한 사찰 시리즈 우표
신륵사 삼국지연의도(문화재청 · 성보문화재단, 《한국의 사찰 벽화》, 2007)
충민사와 석천사 모형(왼쪽은 사찰 석천사, 오른쪽은 사당 충민사)
순천시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 우리 나라 3대 사찰의 하나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