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절 사원승려와 재가신도가 모여 수행과 의례 등을 통해 불교의 교법을 구현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사원·사찰·가람 개설 사원·사찰·가람(伽藍) 등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절이라고 한다. 절[寺]의 어원은 상가람마(Sa○-ghā-rā-ma)로서, 교단을 구성하는 출가한 남자[比丘]와 출가한 여자[比丘尼]가 모...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사찰 寺刹전통 시대에 창건되어 현재까지 운영되어 오는 부산 지역의 전통 불교 사찰. [개설] 2009년을 기준으로 부산 지역에 현존하는 사원 수는 총 1,362개소이다. 1~4명의 종사자가 활동하는 사원은 1,290개소, 5~9명의 경우가 63개소, 10~19명이 5개소, 20~49명이 4개소로 소형 사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현재의 대표적...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사찰 寺刹본 뜻 사(寺) - 절. 대웅전 등 건물을 가리킨다. 찰(刹) - 사리를 담아두는 탑(塔). 바뀐 뜻 합쳐서 절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보기글 ㆍ사찰이란 말보다는 절이라고 하는 게 좋다.
-
사찰핵원료 물질이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해 핵물질의 수량을 확인하고 기록과 보고를 감사하는 등 안전보장조치 수단의 하나이다.
-
사찰판본 寺刹版本내용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각 사찰에서는 불교 경전과 고승의 저술 및 불교신앙 의식에 필요한 책을 간행하여 왔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는 일반의 시문집이나 『천자문』 · 『유합(類合)』 등도 간행하였다. 삼국시대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불교 교리의 유포를 위하여 처음에는 필사(筆寫)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
-
사찰연기설화 사원연기설화, 寺刹緣起說話내용 사찰이나 암자 등의 창시 유래나 절터를 잡게 된 유래, 절 이름의 명명(命名) 유래에 관한 불교설화이다. 주로 불보살(佛菩薩)의 영험 · 이적이나 불상경문(佛像經文) 및 고승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찰연기설화 · 불사창시설화라고도 한다. 대체로 문헌설화로 전해지고 있으나 구전설화도 많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