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진술 Photography, 撮影
    사진술(寫眞術, llang)은 필름이나 고체 촬상 소자와 같은 빛에 민감한 매개체 위에 빛을 잡는 수단으로 상을 기록하는 과정이다. 영어인 "photography"란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다. "빛"이란 뜻의 단어인 'φώς'(phos) 에, "펜"이나 "붓"을 뜻하는 'γραφίς'(graphis) 또는 "선으로 이루어진 상(像)" 이나 "...
    도서 위키백과
  • Photography 사진술, 写真
    Photography is the science, art and practice of creating durable images by recording light or other electromagnetic radiation, either electronically by means of an image sensor, or chemically by means of a light-sensitive material such as photographic film.Typically, a lens is used to focus the l...
  • 영화 映畵, motion picture
    지금은 영상에 음향을 포함시킨 뜻으로도 이해되고 있다.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이 창출하는 현실의 신비와 영상 및 음성의 몽타주에 의해 독자적인 영화 예술이 탄생했는데, 즉 과학과 예술의 결합이다. 영화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유력한 수단인 동시에 가장 대중적인 오락의 주체가 되어 막대한 제작비와 흥행상의 요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사진 寫眞, photography
    사진은 19세기초 니세포르 니에프스와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 토머스 웨지우드와 윌리엄 헨리 폭스 톨벗의 예술적 영감에 의해 발명되었다. 다게르의 다게레오타이프 방식은 영국의 화학자 존 프레더릭 고더드에 의해 취급이 간편해지면서 대중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사업으로 번창하였다. 1890년대에는 정확한 복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사진술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사진술이라는 개념은 10세기경 이슬람의 과학자들이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라는 뜻)를 발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어두운 공간에서 벽면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반대쪽의 하얀 벽이나 막에 옥외의 실상을 거꾸로 찍어내는 장치였다. 16세기에 들어서는 이탈리아의 과학자 잠바티스타...
  • 프랑스 프랑스 공화국, France
    북동쪽으로 룩셈부르크·벨기에, 북서쪽으로 영국 해협, 서쪽으로 대서양과 비스케이 만, 남쪽으로 스페인·안도라·지중해, 동쪽으로 이탈리아·스위스·독일과 맞닿아 있고, 지중해의 코르시카 섬이 포함된다. 수도는 파리이다. 국민은 주로 프랑스계이다. 공식언어는 프랑스어이고, 종교는 그리스도교인에 로마...
    위치 :
    서부 유럽
    인구 :
    66,022,449명 (2024년 추계)
    수도 :
    파리
    면적 :
    543,965㎢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
    프랑스 공화국 (La République Française)
    기후 :
    대륙성기후 , 지중해성기후 , 해양성기후
    민족 구성 :
    골족
    언어 :
    프랑스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제 / 양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대통령 / 총리
    종교 :
    로마가톨릭(83%), 개신교(2%), 이슬람교
    화폐 :
    유로 (€) 환율계산기
    국화 :
    아이리스
    대륙 :
    유럽
    국가번호 :
    33
    GDP :
    USD 2,925,096,000,000
    인구밀도 :
    119명/㎢
    전압 :
    220~230V / 50Hz
    도메인 :
    .f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프랑스
  • 형광사진술 螢光寫眞術, fluorescence photography
    자외선만을 조사하기 위해 광원에 필터를 부착하고 카메라의 렌즈 위에 있는 또다른 필터는 반사하는 자외선을 흡수해 물체로부터의 가시광선(형광)만을 기록하게 한다. 보통 렌즈의 흑백 또는 컬러 필름이 사용된다. 형광사진술은 염료, 얼룩, 표식, 특정한 화학물질, 현미경 시료의 형광성분을 알아내는 데 쓰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사진의 선구자들
    대해 완벽하고 상세하게 설명했다. 이것은 프랑스 정부가 다게레오타이프의 제작방법을 공표하기 6개월 전의 일이었다. 이와 유사한 기술을 가지고 우선권을 주장한 다른 많은 사람들이 있었으나, 가장 손쉽고 믿을 만한 방법으로 화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사진술을 확립한 2가지 기본방식은 톨벗과 다게르에 의한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비둘기 사진술 Pigeon photography, 鳩カメラ
    비둘기 사진술은 1907년 독일의 약제상인 율리우스 노이브러너가 개발한 항공사진 기법이다. 노이브러너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타이머 기능이 내장된 소형 사진기가 달린 알루미늄 기구를 전서구에 부착하였다. 처음에는 특허 등록을 하는데 실패하지만, 1908년 12월 비둘기를 이용하여 실제로 사진을 찍었음을 입증...
    도서 위키백과
  • 윌리엄 허긴스 천문학에서 사진술을 이용한 선구자는 누구인가?, William Huggins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긴스(William Huggins, 1824~1910)는 천문학에 사진을 이용한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다. 그는 사진 건판을 오랜 시간(몇 분 혹은 몇 시간) 노출시켜 이미지를 기록했다. 또 사진 유제를 어떻게 조합하면 적외선이나 자외선에 대한 감도를 높일 수 있는지도 보여주었다.
    출생 :
    1824년
    사망 :
    1910년
    국적 :
    영국
  • 화각 (사진술) Angle of view (photography), 画角
    사진술에서 화각은 렌즈를 통해서 사진기가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각을 말한다. 공간 왜곡이 없는 직선 렌즈(rectilinear lens)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화각(A)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2 \theta = 2 \tan^{-1} \left( \frac{K}{2f} \right) 여기에서 f는 초점거리, K는 촬상면(필름 또는 센서)의 길이이다...
    도서 위키백과
  • 현상 (사진술) Photographic processing, 現像
    출처 필요 현상(現像, 인화지를 노광하더라도 바로 상이 눈에 보이지 않고 잠상이라는 형태로 필름, 인화지의 유제면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을 현상액이라는 약품에 담그면 잠상이 실제로 눈에 보이게 되는 형태인 실상으로 변하게 된다. 현상 작업은 전반적인 화학적 감광물질에 모두 적용되며, 그 감도가 상대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호주, 사진술 150주년 기념우표
호주, 사진술 150주년 기념우표
호주, 사진술 150주년 기념우표
중국, 사진술 발명 150주년 기념우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