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정한조선어표준말모음 査定─朝鮮語標準─내용 조선어학회에서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를 두고 1935년부터 표준어를 사정하여 1936년 10월 간행하였다. 1책. 내용은 머리말 3면, 일러두기 2면, 목차 2면과 본문 및 부록 122면, 색인 117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사정 어휘수는 표준어 6,231, 약어 134, 비표준어 3,082, 한자어 100으로 총계 9,547이었다. 본문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조선어학회
- 창작/발표시기 :
- 1936년 10월
- 성격 :
- 어휘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한글학회
-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査定した朝鮮語標準語集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査定-朝鮮語標準---)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현 한글 학회)가 발표한 표준어 모음이다.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한 조선어 학회는 한국어의 표준어를 확립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조선어 표준어 사정 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정확한 발족 날짜는 명확하지 않으나 1934년 중...도서 위키백과
-
입학 사정관 入學査定官입시와 관련된 일종의 전문직. 입학사정관은 점수화된 자료에서 그치지 않고 학생의 집안 사정, 특별활동 내역 등 비수치적 자료까지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학교의 교육방침과 건학 이념 등에 따라 학생을 선발한다.
-
백두산정계비 白頭山定界碑인정하는 백두산을 청나라의 영역 안에 넣으려는 저의도 있었던 것이다. 청나라에서는 그 해 2월, 목극등을 장백산(長白山: 백두산)에 보내 변경을 사정(査定)하려 하니 협조해 달라는 공문을 조선 정부에 보냈다. 이어 4월에는 목극등 일행이 두도구(頭道溝)에서 압록강을 거슬러 올라와 후주(厚州)에 도착하였다. 청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한글학회 국어연구학회, 한글學會우리나라 사람의 공통어가 될 표준말 확립이 절실히 필요함을 느낀 학회는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를 두어 1935년 1월부터 1936년 8월까지 표준말 사정(査定)을 끝내고, 그 해 10월 28일 한글날에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공표하였다. 1941년 1월에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에 착수한 때부터 준비...
- 유형 :
- 단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임야조사사업 林野調査事業재법인을 통해 한국인의 소유권과 사유림을 약탈하려 했던 것이다. 이 사업은 1916년 시험적 준비조사를 거쳐 1917년부터 1924년까지 9년간 1차 사정사무(査定事務: 조사와 측량 포함)가 완료되었고, 이에 부수하는 2차 재결사무(裁決事務)는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의 주관으로 1919년 개시되어 1935년 비로소 완결...
- 시대 :
- 근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