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정 射亭활 쏘는 사람들이 무예 수련을 위하여 활터에 세운 정자. 내용 사장(射場)이라고도 한다. 관설사정(官設射亭)과 민간사정(民間射亭)이 있다.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남랑(戶部南廊)에 사장이 설치되어 군졸과 일반 백성들이 습사(習射: 활쏘기를 익히는 것)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것이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립...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사정 적순부위, 司正조선시대 5위(五衛)의 정7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적순부위(迪順副尉)라 별칭되었다.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별장(別將, 정7품)이라 하였으나 1394년(태조 3) 2월 사정으로 바뀌고, 1466년(세조 12) 1월 정식으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당시는 5인이었으나 후기에 5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
- 시대 :
- 조선 전기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66년(세조 12) 1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여정 사정, 勵正조선시대 서반 정7품 토관직(土官職). 내용 원래는 사정(司正)이라 하였으나, 1462년(세조 8)에 여정으로 개칭된 것이다. 이는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3인,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鎭邊衛)에 2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2인, 의주목의 진강위(鎭江衛)에 1인,...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토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62년(세조 8)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사정 (사회복지학) Assessment, アセスメント사정이란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우선순위를 정하고, 종합화하는 과정이다. 원인, 클라이언트의 강점, 활용 가능한 사회적 자원 등을 평가하는 활동이다.서적 인용 클라이언트를 사정하는 개념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제적으로는 다음의 순서를 그대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