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정 射亭
    활 쏘는 사람들이 무예 수련을 위하여 활터에 세운 정자.|내용 사장(射場)이라고도 한다. 관설사정(官設射亭)과 민간사정(民間射亭)이 있다.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남랑(戶部南廊)에 사장이 설치되어 군졸과 일반 백성들이 습사(習射: 활쏘기를 익히는 것)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것이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립...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체육
  • 사정 射精, ejaculation
    남성 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세포는 그들 주위를 둘러싼 체액의 산성도가 높아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정자가 내부 부속기관들로부터 정액장이라고 불리는 체액을 받으면 산성이 감소된다. 또한 신체를 벗어나면서 정자는 운동하는 데 꼭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는다. 정자는 스스로 체내에서 나올 수 없으므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사정 적순부위, 司正
    조선시대 5위(五衛)의 정7품 관직.|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적순부위(迪順副尉)라 별칭되었다.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별장(別將, 정7품)이라 하였으나 1394년(태조 3) 2월 사정으로 바뀌고, 1466년(세조 12) 1월 정식으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당시는 5인이었으나 후기에 5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
    시대 :
    조선 전기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66년(세조 12) 1월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정 司正
    조선시대 5위에 있던 정7품 무관직.|고려시대 2군6위에 있던 정7품 무관직인 별장이 조선 건국초까지 그대로 이어오다가, 1395년(태조 4)에 사정으로 이름이 바뀌어 〈경국대전〉에 실렸다. 정원은 모두 5명이며, 각문의 파수를 담당했다. 〈속대전〉에서 15명을 늘여 정원이 20명이 되었으며 모두 원록체아였다.→ 5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기자헌 (동의어 사정) 자정, 奇自獻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행주(幸州). 처음 이름은 자정(自靖). 자는 사정(士靖), 호는 만전(晩全). 증조부는 기묘사화 때 죽은 응교(應敎) 준(遵)이며,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대항이고, 아버지는 응세(應世)이다. 1582년(선조 15) 성균관에 입학했고, 1590년 증광문과에 급제했다. 이듬해 사가독서를 한 뒤 검열이 되...
    출생 :
    1562년(명종 17)
    사망 :
    1624년(인조 2)
    국적 :
    조선, 한국
  • 김려 (동의어 사정) 사정, 金鑢
    김려는 악부시의 대가였으며, 전이라고 빙자한 단편소설을 지어 불우한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기도 하였다.|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사정(士精), 호는 담정(潭庭). 노론계 명문인 재칠(載七)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강이천(姜彝天)의 비어사건에 연좌되어 부령으로 유배당했고, 1801년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
    출생 :
    1766(영조 42)
    사망 :
    1822(순조 2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정자 사정, 亭子
    정자의 구조는 장방형·육각형·팔각형이며, 개인적 공간이어서 누·대와 비교해 규모가 훨씬 작은 단층이다. 정자·누의 건축은 궁궐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의 정자는 모두 정원과의 관계 속에서 조영되었고, 연못과도 관련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도 삼국시대의 정자건축이 그대로 계승되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사정 射精, ejaculation
    정액의 사출. 포유류 수컷은 음경의 자극이 척수의 사정중추에 전달되고 이 자극이 일정 한계에 도달하면 흥분된 사정중추에 의해 반사적으로 사정관에서 요도에 이르는 관벽의 평활근이 수축하여 사정을 일으킨다.
  • 사정 (생리학) Ejaculation, 射精
    사정(射精, 임신의 필수 요소이다. 드문 경우지만 전립샘 질환으로 인해 사정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정은 몽중에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를 몽정이라고 한다. 사정 불능증(Anejaculation)이란 사정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정은 남성에게 행복감을 준다. 하지만 사정 장애...
    도서 위키백과
  • 여정 사정, 勵正
    조선시대 서반 정7품 토관직(土官職).|내용 원래는 사정(司正)이라 하였으나, 1462년(세조 8)에 여정으로 개칭된 것이다. 이는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3인,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鎭邊衛)에 2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2인, 의주목의 진강위(鎭江衛)에 1인,...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토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62년(세조 8)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정 絲井
    중구 저동1가에 있던 우물로서, 실우물이라고도 하였다.
    유형 :
    자연물
  • 사정 (사회복지학) Assessment, アセスメント
    사정이란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우선순위를 정하고, 종합화하는 과정이다. 원인, 클라이언트의 강점, 활용 가능한 사회적 자원 등을 평가하는 활동이다.서적 인용 클라이언트를 사정하는 개념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제적으로는 다음의 순서를 그대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9건

김홍도 풍속화첩 중 활터
괴산 일가정 정측면
황학정
황학정
사정 구조
아이빅사정
레모나일공일사정
아이모사정 형태
아이빅사정 형태
이레사정 형태
다모사정 형태
레피사정 포장
이레사정 포장
레피사정 형태
엡클루사정
한빅사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