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향사과 사도사과(四道四果), 四向四果
    개설 사향사과(四向四果)는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말한다. 예류(預流)〔수다원(須陀洹)〕, 일래(一來)〔사다함(斯陀含)〕, 불환(不還)〔아나함(阿那含)〕, 응공(應供)〔아라한(阿羅漢)〕의 네 성자가 각각 향(pratipannaka, paṭipannaka)과 과(phala)로 쌍을...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향사과 Fruits of the noble path, 四向四果
    불교 4향4과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預流)'·'일래(一來)'·'불환(不還)'·'아라한'의 4위가 있어서 그것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 예류는 수타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되는데 깨달음에의 도를 하천의 흐름...
    도서 위키백과
  • 아라한과
    불교 아라한과. Also called the 'fourth realization.' 第四果. See 阿羅漢, 四果 and 果 의 네 번째 경지. 참조어 아라한 즉, 유정지의 수혹 제9품을 끊음으로서 모든 번뇌를 끊게 된 상태에 이르고 그 과보로 '윤회가 끝났음을 아는 지혜'인 진지. 解釋[2]: 梵語阿羅漢,華言無學,即第四果也。謂此人斷色界、無色...
    도서 위키백과
  • 출세간 出世間
    열반을 출세간이라 한다. 곧 사성제(四聖諦)에서 고성제(苦聖諦)와 집성제(集聖諦)는 세간이고, 멸성제(滅聖諦)와 도성제(道聖諦)는 출세간이다. 남전 불교(南傳佛敎)에서도 이와 비슷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열반(涅槃)을 아홉 번째로 하는 성자의 사향사과(四向四果: 네 단계의 수행목표와 그 성과)를 가리킨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성문 聲聞
    나누어진다. 천태종의 이와 같은 분류는 소승의 길에서 대승보살의 길로 인도하려는 정신에 입각한 것이다. 그리고 성문으로서 해탈하는 길은 ‘성문사과(聲聞四果)’라고 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4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수다원은 역류(逆流)로 번역되며, 생사...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소적 (양나라) 蕭績, 蕭績
    인물 정보 소적(蕭績, 505년 ~ 529년 7월 30일)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황족이다. 자는 세근(世謹)이고 소자(小字)는 사과(四果)이다. 양 무제와 숙의(淑儀) 동씨(董氏)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이다. 시호는 남강간왕(南康簡王)이다. 508년에 무제로부터 남강군왕(南康郡王)에 봉해졌고 경거장군(輕車將軍)에...
    도서 위키백과
  • 예류과
    구사론》 제24권.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과위 【범】 srotāpanna 성문사과. Cf. 十八有學. 〔 成唯識論 T 1585.31.44b26〕 [Charles Muller; source. 〔倶舍...c9〕 [Charles Muller; source It is the first of the four realizations 四果 of the śrāvaka 聲聞 path,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level of...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