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향사과 사도사과(四道四果), 四向四果개설 사향사과(四向四果)는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말한다. 예류(預流)〔수다원(須陀洹)〕, 일래(一來)〔사다함(斯陀含)〕, 불환(不還)〔아나함(阿那含)〕, 응공(應供)〔아라한(阿羅漢)〕의 네 성자가 각각 향(pratipannaka, paṭipannaka)과 과(phala)로 쌍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출세간 出世間열반을 출세간이라 한다. 곧 사성제(四聖諦)에서 고성제(苦聖諦)와 집성제(集聖諦)는 세간이고, 멸성제(滅聖諦)와 도성제(道聖諦)는 출세간이다. 남전 불교(南傳佛敎)에서도 이와 비슷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열반(涅槃)을 아홉 번째로 하는 성자의 사향사과(四向四果: 네 단계의 수행목표와 그 성과)를 가리킨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성문 聲聞나누어진다. 천태종의 이와 같은 분류는 소승의 길에서 대승보살의 길로 인도하려는 정신에 입각한 것이다. 그리고 성문으로서 해탈하는 길은 ‘성문사과(聲聞四果)’라고 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4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수다원은 역류(逆流)로 번역되며, 생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