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간원 간원, 司諫院
    사헌부·홍문관과 함께 대간 또는 3사로 통칭되었다. 1401년(태종 1)에 의정부제의 정비에 따라 문하부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시키면서 성립되었다. 사간원의 법제적인 기능은 간쟁·봉박으로서 〈경국대전〉의 편찬과 함께 명문화되면서 후기까지 변동 없이 계승되었다. 간쟁은 왕의 언행과 시정에 잘못이 있을 때 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경희사간원(용담사간탕) Yongdamsagantang Ext. Granule
    형태 회갈색의 과립제이다 성분 Akebia Stem 목통 1.67g Alisma Rhizome 택사 1g Angelica Gigas Root 당귀 1.67g Gardenia Fruit 치자 0.5g Gentian Root 용담 0.5g Licorice 감초 0.5g Plantago Seed 차전자 1g Rehmannia Root 생지황 1.67g Scutellaria Root 황금 1g 성분 별 약효 Plantago Seed : 소화기계질환 > 하...
    식약처 분류 :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399)
    전문/일반 :
    일반 의약품
    제조/수입사 :
    엔비케이제약
    제형 :
    과립
    단일/복합 :
    복합 성분
    투여 경로 :
    경구(내용산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도서 의약품 사전 | 태그 의약품
  • 사간원 司諫院
    조선시대의 간쟁(諫諍)·논박(論駁)을 관장하던 관서.|내용 언론 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또는 미원(薇院)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은 간관(諫官)이라고 하며, 사헌부의 관원인 대관(臺官)과 병칭해 대간(臺諫)이라 한다. 연원은 중국 진나라와 한나라의 산기(散騎)·간의대부(諫議大夫)에서 찾을 수 있다. ...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간원 司諫院, 司諫院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당시 임금과 조정 신하들의 하루 일과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 등을 기록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기관으로, 지금의 감사원, 국가기록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일부 기능, 야당 성향 국회, 언론, 방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언론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
    도서 위키백과
  • 경희사간원 3g/포 Kyunghee Saganwon 3g/Pk
    성분/함량 3g 중 차전자 1 g (KP) 택사 1 g (KP) 지황 1.67 g (생규) 황금 1 g (KP) [바이칼린으로서 100mg] 치자 0.5 g (KP) 용담 0.5 g (KP) 목통 1.67 g (KP) 당귀 1.67 g (KP) 감초 0.5 g (KP) [글리실리진산으로서 10mg] 효능효과 비교적 체력이 있고, 하복부 근육이 긴장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의 다음 증상...
    식약처 분류 :
    [03990]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
    전문/일반 :
    일반의약품
    약효 분류 :
    비뇨생식기계 작용약 > 기타 이뇨제 > (한) 배뇨, 이뇨 > 용담사간탕
    제조/수입사 :
    엔비케이제약(주)
    성상 :
    회갈색의 과립제이다
    제형 :
    산제, 과립제, 세립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경희사간원 500g/병 Kyunghee Saganwon 500g/BT
    성분/함량 3g 중 차전자 1 g (KP) 택사 1 g (KP) 지황 1.67 g (생규) 황금 1 g (KP) [바이칼린으로서 100mg] 치자 0.5 g (KP) 용담 0.5 g (KP) 목통 1.67 g (KP) 당귀 1.67 g (KP) 감초 0.5 g (KP) [글리실리진산으로서 10mg] 효능효과 비교적 체력이 있고, 하복부 근육이 긴장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의 다음 증상...
    전문/일반 :
    일반의약품
    약효 분류 :
    비뇨생식기계 작용약 > 기타 이뇨제 > (한) 배뇨, 이뇨 > 용담사간탕
    제조/수입사 :
    엔비케이제약(주)
    성상 :
    회갈색의 과립제이다
    제형 :
    산제, 과립제, 세립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사헌부 상대, 司憲府
    상승책에 기인한 것이었다. 조선은 건국 후 고려의 사헌부 제도를 계승했다. 그후 일부 관직명이 개칭되면서 〈경국대전〉의 편찬과 함께 명문화되었다. 사간원의 관원이 계속 감소된 것과 달리 사헌부 관원은 고려 이래의 규모를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왕권강화를 위해 신권(臣權)을 계속 견제·제약하려는 국왕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사간 司諫
    헌납(左右獻納) 등으로 헌납의 전신이기도 하다. 그 뒤 이러한 기능의 일부가 1466년(세조 12)에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 정비 및 장·차관 명칭의 사간원 칭호화와 관련해 종3품의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를 사간으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후대로 계승되었다가 1894년(고종...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66년(세조 12)
    폐지일 :
    1894년(고종 3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아장 亞長
    아장은 외면적으로는 버금·다음의 뜻을 지닌 '아'(亞), 즉 버금벼슬에서 유래되었다. 사헌부대사헌과 사간원대사간은 그 직질이 종2품과 정3품 당상에 불과하지만 의정부·6조·한성부 등의 장관과 같이 대헌·도헌·간장이라는 별칭으로 불렸고, 사헌부의 장령·지평도 대장의 별칭으로 통용되었다. 이에 대간은 언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간쟁 諫諍
    걸고 간하는 함간 등이 있다. 이중에서 풍간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여겨졌다. 간관에 해당되는 관직은 고려조에는 중서문하성낭사이고 조선조에는 사간원의 관원이었다. 그리고 대관에 해당되는 관직은 고려에는 어사대 관원, 조선에는 사헌부 관원이었다. 이들은 원래 관료들의 부정과 실정을 규찰하는 것을 임무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사간원 사간 청주 한공 묘 司諫院 司諫 淸州 韓公 墓
    [위치] 사간원 사간 청주 한공 묘(司諫院司諫淸州韓公墓)는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월평 마을 북쪽에 있는 월평 고개 서쪽에 있다. 야산과 논이 이어지는 지점이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산10번지이다. [형태] 묘는 상석(床石)과 향로석을 갖춘 원형 봉토분이며, 봉분은 직경 410㎝ 정도이다...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간관 諫官
    문하부(門下府)의 낭사인 좌·우간의대부(左右諫議大夫)로부터 정언(正言)까지를 칭하였다. 조선시대에 좁은 의미로는 간쟁·논박의 임무를 맡은 사간원 또는 사간원의 대사간·사간·헌납·정언 등 관원을 간관이라 하였다. 그러나 넓게는 관료의 기강을 감찰하는 사헌부와 사간원을 합칭하여 대간(臺諫)·언관(言官...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사간원 사간 유지」, 유교문화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