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때와 관련된 우리말, 나무말미빨래말미
    뜻과 해설 기본 뜻 나무말미:장마 중에 날이 잠깐 개어서 풋나무를 말릴 만한 겨를. 빨래말미:장마 때 빨래를 말릴 만큼 잠깐 해가 드는 겨를. 우리나라는 초여름에 비가 많이 내립니다. 한 달 가까이 이어지기도 해요. 그럴 대는 햇볕 구경하기가 어렵습니다. 땔나무 말릴 틈도 없고, 빨래 말릴 겨를도 없지요. 하지...
  • 언사 諺詞
    있다. 말미에는 이희현의 외손인 홍정유의 발문(跋文)이 있다. 「착정가」에서 「임천별곡」까지는 ‘도정공가사’라 했고, 「정주가」는 ‘황주공가사’라 하여 작자를 명시했다. 작품의 분량은 「순창가」 218행, 「착정가」와 「임천별곡」은 202행, 「초혼사」 105행, 「수로조천행선곡」 65행, 「세장가」 36행...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해주도 병풍 海州圖 屛風
    기생 등이 무리를 이룬 채 따르고 황해 감사가 탄 것으로 생각되는 사인교가 말미를 장식하고 있다. 이는 관찰사가 봄 · 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한 순력을 마치고...탄 인물들, 괭이와 쟁기로 땅을 가는 농부들, 탁족을 즐기는 인물들, 빨래하는 여인들, 사미정(四美亭) 앞에 소를 매 놓은 채 미역을 감고 있는 목동들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나무말미 ・ 빨래말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