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단 주단, 緋緞
    비단은 조선시대에 수자직으로 제직된 단(緞)류를 총칭하였으나 현대에는 견직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16세기 최세진이 『노걸대(老乞大)』를 번역한 『번역노걸대』에서 다양한 단 종류를 ~비단이라 언해하였다. 그 후 비단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의 문헌에 없었으며, 1915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휘보(朝鮮彙...
    시대 :
    조선 , 근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나도비단
    둘러싸이며, 상부 주축 배측면에 나열하고 크기 37μmx45μm이며, 방추형으로 분열한다. 생태 생육시기: 조하대에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판단됨 해설 나도비단풀은 엽체가 8~12mm 높이로 왜소하고, 차상 분지하며, 정단부의 2~3세포를 제외하고는 눈에 띄게 가늘어지지 않으며, 정단부가 곧바르거나 안으로 약하게 휘어...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비단풀속
    서식지 :
    주로 다른 해조류에 착생한다.
    학명 :
    Ceramium affine Setchell et N. L. Gardner
    국내분포 :
    남해안(제주도), 동해안
    해외분포 :
    전 세계(Guiry and Guiry 2012의 AlgaeBase Website 참조)
  • 하관할 때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을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발인과 운구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현훈(玄纁)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상례가 많은 제사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과 망자가 장지(葬地)를 향해 떠나는 시점부터의 상례의 절차를 알아보는 일입니다. 우리가 발인(發靷)이라고 알고 있는 절차입니다. 전통 시대에는 상여에 관을...
  • 누은비단
    개요 엽체는 홍색 내지 어두운 홍색이며, 단열 사상체이고, 강하게 포복하며 야외 개체에서는 흔히 짧은 직립지를 가지며, 포복부는 2~3cm 펼쳐 기고, 직립부는 0.4~0.5cm 높이로 자라고, 다른 해조류에 부착 생육하며, 포복지의 마디에서 자라 나오는 가근사에 의해 기질에 부착한다. 생장은 정단세포의 횡분열과 그...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비단풀속
    서식지 :
    다른 해조류에 착생한다.
    학명 :
    Ceramium nakamurae E. Y. Dawson
    국내분포 :
    남해안(제주도)
    해외분포 :
    태평양 온대-아열대 해역(일본, 대만, 코스타리카)
  • 비단벌레 날개를 보호하라! 문화재 보존과학
    그 손길을 멈추고 말았다. 이 유물은 신라왕의 부장품인 말안장 가리개로 1,600년 만에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냈다. 영롱한 빛의 정체는 다름 아닌 비단벌레의 날개였다. 비단벌레 날개는 신라시대 왕릉급 무덤인 황남대총, 금관총과 같은 큰 무덤에서 출토된 말안장 가리개, 발걸이, 허리띠꾸미개 등의 유물에서도 발견...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곤충 , 문화재
  • 비단구렁이류 비단구렁이류 비단뱀, python
    개요 왕뱀과 비단구렁이아과에 속하는 뱀류. 학명은 Pythonidae이다. 비단구렁이는 독은 없지만 인간을 공격하여 잡아먹는 사고가 자주 발생할 정도로 사람에게 위협적이다. 특히 서식지로 잘 알려진 인도네시아에서 2013년과 2017년, 2018년에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2017년과 2018년에 희생된 사람들은 모두 농부...
    분류 :
    척추동물 > 파충강 > 뱀목 > 보아과
    원산지 :
    오세아니아 (호주)
    먹이 :
    사슴, 쥐
    크기 :
    약 1m ~ 10m
    무게 :
    약 180kg
    식성 :
    육식
  • 고운비단잘록이
    한국산 식물도 엽체의 형태 및 생식 구조적 특징(Kim and Lee 1987)에서 일본산 기재문 및 삽화와 일치한다(Yamada 1932; Itono 1977). 또한, 한국산 고운비단잘록이는 조하대에서만 채집되며 흔히 갈색대마디말에 부착하여 생육하는 특징에서도 일본산 원기재 식물과 일치한다(Yamada 1932). 이 종은 야마다비단잘록이...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비단잘록이속
    학명 :
    Griffithsia venusta Yamada, 1944
    국내분포 :
    남해안(특히 제주도).
    해외분포 :
    일본
  • 비단공작풀 Gymnothamnion elegans
    형성되며, 난형으로 폭 20~25μm 크기이고, 삼각추형으로 분열한다. 유성생식 구조는 한국산 식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생태 생육 시기: 여름철 해설 비단공작풀의 한국산 식물은 이전에 연구된 다른 나라 식물들의 기재문 및 삽화와 잘 일치한다(Itono 1977; Stegenga 1986). 본 연구에서 배양체를 이용하여 이 종의...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공작풀속
    학명 :
    Callithamnion elegans Schousboe ex C. Agardh
    국내분포 :
    울릉도를 포함한 남해안.
    해외분포 :
    전 세계 온대 및 아열대 연안
  • 대한독립군비단 군비단, 大韓獨立軍備團
    개설 장백현(長白縣) 17도구(道溝)의 이동백(李東白)의 집에서 이은향(李殷鄕)·이태걸(李泰杰)·윤덕보(尹德甫) 등이 국내의 상황을 탐사하고 군자금 모금과 무장 항일운동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연원 및 변천 장백현에 본단(本團)과 지단(支團)을 설치하고, 각 지방에 지단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1920년 1월 당시...
    시대 :
    근대
    설립 :
    1919년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동백, 이은향, 이태걸, 윤덕보
    분야 :
    역사/근대사
  • 야마다비단잘록이
    연구 보고가 없다. Boo and Cho(2001)는 한국에도 이 종이 생육함을 보고하면서 생식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기재한 바 있다. 이 종은 생식구조의 특징에서 고운비단잘록이(G. venusta)와 거의 유사하나, 고운비단잘록이가 1~2cm로 작은데 비하여 이 종은 엽체가 5~10cm로 크고, 흔히 3-차상으로 분지하며, 포가지를 형성...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비단잘록이속
    학명 :
    Griffithsia tomo-yamadae Okamura, 1936
    국내분포 :
    남해안.
    해외분포 :
    일본
  • 엇가지비단잘록이
    내지 난형으로, 크기 50~55μm×58~63μm이며, 삼각추형으로 분열한다. 배우체(정자낭, 낭과)는 알려진 바 없다. 생태 생육 시기: 여름~가을철 해설 엇가지비단잘록이는 동해안 중-북부 연안에 주로 지충이 노성체 등에 부착하여 서식하며, 9~11월에 걸쳐 흔히 채집되는 종이다. Hasegawa(1949)는 이 종을 신종으로 기재...
    분류 :
    홍조식물문 > 진정홍조강 > 비단풀목 > 비단풀과 > 비단잘록이속
    학명 :
    Griffithsia heteroclada Yamada & Hasegawa, 1949
    국내분포 :
    동해안.
    해외분포 :
    일본
  • 대한독립군비단 大韓獨立軍備團
    상해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의 지령에 따라 창바이 현 17도구(道溝)의 이동백(李東白) 집에서 이은경(李殷卿:李殷鄕)·이태걸(李泰傑)·윤덕보(尹德甫) 등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창바이 현에 본단(本團)과 지단(支團) 그리고 국내에 지단을 설치하여 국내 상황탐사와 군자금확보에 주력했다. 1920년 2월 당시 임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87건

비단족두리
비단족두리
비단노린재
비단노린재
비단 깔개
비단놀래기
비단족두리
비단노린재
비단족두리
비단노린재
비단노린재
비단족두리
비단족두리
비단족두리
비단족두리
비단망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