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름내리고 맑아지기 쉽다. 구름이 만약에 생선비늘과 같이 하늘에 퍼지면 비는 오지 않고 풍전(風顚)한다. 가을 하늘에 구름이 걸치거나 바람이 없으면 비는 내리지 않는다. 겨울 하늘에 비늘이 늘어선 것과 같은 구름(老鯉班雲)이 발생하여 점차 짙게 흐려지면 비는 오지 않는다. 이것을 호상천(護霜天)이라 부른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
구름국화 Erigeron thunbergii ssp. glabratus형태정보 뿌리: 목질이고 잔뿌리가 있다. 줄기: 높이 10~35cm이고 줄기에 긴 털이 있다. 기부에 마른 잎의 밑부분이 비늘처럼 남아 있다. 잎: 뿌리에서 돋은 잎과 무화경은 길이 5~10cm, 너비 10~18mm 정도의 주걱형이다.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다소 톱니가 있다. 꽃줄기의 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길이...
- 분류 :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 목련강(Magnoliopsida) > 국화목(Asterales) > 국화과(Asteraceae)
- 학명 :
- Erigeron thunbergii ssp. glabratus (A. Gray) H. Hara(1952)
- 국내분포 :
- 백두산 지역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동시베리아, 캄차카 반도, 사할린, 쿠릴 열도에 분포한다.
- 특징 :
- 자생식물
-
구름과 관련된 우리말, 꽃구름 ・ 매지구름같아서 제 색깔이 있는 게 아닙니다. 다만 두꺼운 구름은 시커멓게 보이고, 높이 떠 있는 엷은 구름은 솜털같이 하얗게 보이는 것이지요. 그래서 뭉게구름, 비늘구름, 새털구름, 실구름 같은 말이 생겨났답니다. 활용법 서술형 해거름에 옥상에 올라가서 하늘을 쳐다보았다. 노을빛이 번진 서쪽 하늘에는 색색의 꽃구름...
-
구름국화 동국, Korean alpine fleabane나비 1mm로서 자줏빛이 돈다. 열매 수과는 좁으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 지름 0.5mm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5mm이고 오황색(汚黃色)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10-35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털이 있고 기부에 마른 잎의 밑부분이 비늘처럼 돌려 싸고 있다. 생육환경 고산초지. 용도 관상용으로 이용...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개망초속
- 꽃색 :
- 자주색
- 학명 :
-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Gray) H. Hara
- 개화기 :
- 7월, 8월
-
구름골풀 Three-hull rush분포지역 관모봉 지역 등 북부 고산일대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는 10-15㎝ 잎 잎은 비늘모양으로 원줄기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1-6㎝, 나비 1mm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원통형이며 엽초 끝의 귀같은 돌기는 달걀모양이고 끝이 둔하다. 꽃 7-8월 개화. 원줄기 끝에 2-3개의 꽃으로 된 머리모양꽃차례가...
- 분류 :
- 골풀목 > 골풀과 > 골풀속
- 꽃색 :
- 갈색
- 학명 :
- Juncus triglumis L.
- 개화기 :
- 7월, 8월
-
구름잎밤나방특징 수컷의 더듬이는 섬모상이며, 뒷가슴과 배의 등쪽면에는 짧은 비늘털뭉치가 있음. 아랫입술수염은 가늘고 길며, 뒷다리의 종아리마디에는 긴 털이 밀생해 있음. 앞날개는 흑갈색 바탕인데 후각쪽으로는 긴 털이 나 있음. 아기선, 내횡선, 외횡선 등은 흑색을 띠는데, 각 선들은 복잡하게 굴곡되어 있음. 내횡선의...
- 분류 :
- 나비목 > 밤나방과
- 학명 :
- Erygia apicalis Guenée, 1852
-
구름잎밤나방 Erygia apicalis Guenée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 일원,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네팔 등지에 분포한다. 성충은 5~8월에 나타난다. 앞날개 외연은 물결모양을 이루고 뒤 끝부분에 비늘편이 발달하여 날개 일부가 돌출된 것처럼 보인다. 앞날개의 내횡선을 따르는 띠무늬와 날개끝 가까이에 있는 반달모양 검은색 무늬가 돋보인다.
- 분류 :
- 나비목>밤나방상과>밤나방과
- 크기 :
- 날개편길이 39mm 내외
- 학명 :
- Erygia apicalis Guenée
- 분포지역 :
- 남한 전역, 북한(원산, 금강산), 일본,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네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