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난층운 亂層雲
    하층구름의 한 종류로 두터운 검은색으로 하늘 전체를 덮고 비를 뿌리는 구름.자주 어두운 색을 띠는 회색 구름층이다. 대체로 연속적으로 떨어지는 비나 눈에 의해 외관이 흩어진다. 비나 눈은 대부분의 경우 땅으로 떨어진다. 해를 가릴 만큼 두껍고, 층 아래에는 낮은 조각구름들이 자주 발생하여 붙어있거나 떨어져 ...
    유형 :
    하층운
    상징 :
    Ns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이 가문 날에 비구름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장시. 작품 이해 <이 가문 날에 비구름>은 시인 김지하의 장시로, 시집 <이 가문 날에 비구름>(1988)으로 발표되었다. 시인의 사회적 현실 인식과 비판 의식을 구비문학의 풍자 정신을 바탕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형식적으로는 자유시이며 산문시에 속하지만 시인 스스로는 '이야기 시...
  • 비구름 적란운, 積亂雲
    소나기구름 또는 번개구름이라고 한다. 아래쪽 구름에는 물방울이, 위쪽 구름에는 빙정이 있다. 여름철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에 우박이 섞이는 경우는 쌘비구름이 물방울과 함께 많은 양의 빙정을 갖고 있어서다. 위와 아래에 성질이 다른 공기 덩어리가 함께 있어 매우 불안정하며 이 구름이 나타나면 주변의 대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난층운 亂層雲, nimbostratus
    하층 구름으로 짙은 회색의 구름층을 형성하며 연속적인 비 또는 눈을 내리게 하며 이 비나 눈으로 인해서 흐려져 보인다. 보통 2,000∼7,000m 고도에 나타나지만 더 낮은 곳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수적과 빙정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형성되어 있다. 난층운은 해를 완전히 가려 버릴 만큼 두텁다. 낮은 조각구름이...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난층운 (관련어 비구름) Nimbostratus cloud, 乱層雲
    난층운(亂層雲)은 비층구름, 비구름이라고도 하며 하층운에 속하는 구름이다. 보통 2~7km의 고도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구름의 층이 매우 두껍기 때문에 이보다 낮은 고도에서 나타나거나 구름 꼭대기가 7km 이상의 높이에 이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구름의 밑은 고층운보다 더 진한 거의 어두운 회색으로 보이며, 대개 ...
    도서 위키백과
  • 적란운 쌘비구름, 積亂雲
    0∼2㎞ 고도에서 나타나는 하층운 가운데 하나. 약자는 'Cb'이며 '쌘비구름'이라고도 한다. 적란운 비교적 습한 공기가 상승할 때 형성된다. 높은 고도에서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 팽창한다. 상승기류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는 구름은 비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지기 위해서는 물방울의 크기가 상승...
    유형 :
    하층운, 수직운
    상징 :
    Cb
    형태 :
    무모운, 다모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무산의 비구름 Rain Clouds over Wushan, 巫山云雨
    영화 정보 《무산의 비구름》는 중국에서 제작된 장밍 감독의 1995년 영화이다. 장센밍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싼샤 댐 건조 기간 중 양쯔강둑에 위치한 무산에 거주하는 외로운 두 사람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이 영화는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장밍 감독에게 뉴 커런츠상이 수여되었다. 장센밍 중핑 왕원창 올...
    도서 위키백과
  • 국지성 호우 局地性 豪雨
    공기가 지표면의 열기를 만나면 온도차로 인해 뒤섞이며 순환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공기층이 북쪽에서 온 차가운 공기와 섞여 비구름을 형성한다. 순식간에 형성된 비구름은 좁은 지역에 국지성 호우를 발생시킨다. 지리산의 경우 험준한 산악지형으로 구름대가 막혀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 기우제 祈雨祭
    장관을 이루기도 하였다. 이렇게 하는 까닭으로는 기원을 천신께 알리기 위해서라든가, 천신이 오르내리는 길을 밝힌다든가, 양기(陽氣)인 불로 음기인 비구름을 부른다는 등의 이유가 전해져 오나, 대개 옛 관습을 따른 것이다. 기압의 변화가 적은 밤중 고기압에 덥혀진 저기압의 충격이 비구름을 형성시킬 수...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장밍 장명, 章明
    영화학교(북경전영학원)에서 연출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단편 TV 시리즈물을 제작하기도 했던 그의 데뷔작은 1996년 장편영화 <무산의 비구름>(巫山雲雨)이다. 작품세계 장밍은 영화 <무산의 비구름>(巫山雲雨, 1996)으로 데뷔했다. 이 작품은 양쯔강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된 산사댐 건설로...
    출생 :
    1961년 6월 4일, 중국 충칭(重庆)시
    수상 :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 뉴커런츠상(<무산의 비구름>)
    데뷔 :
    <무산의 비구름>(巫山雲雨, 1996)
  • 중기상 中氣象, mesometeorology
    현상이 생긴다. 한 지점에 대한 강수의 변화를 조사해 보면 그 강도가 몇 분 내지 수십 분의 주기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기변화는 개개의 비구름이나 눈구름이 통과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비구름이나 눈구름이 집단을 이루어 통과할 때는 더욱 긴 몇 시간의 주기로 강약이 반복된다. 한 지점에...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비행접시 모양의 구름도 있나요?
    권적운(털쌘구름), 권층운(털층구름), 고적운(높쌘구름), 고층운(높층구름), 난층운(비층구름), 층적운(층쌘구름), 층운(층구름), 적운(쌘구름), 적란운(쌘비구름)이에요. 비행기가 만드는 구름 구름은 대부분 상승하면서 만들어져요.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부피는 커지면서 기온은 떨어져요. 이때 공기 덩어리 속의...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3학년 1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비구름
비 구름
수렴성 비(태풍의 비구름 단면도)
대류성 비구름의 발달 초기 단계
존 컨스터블, 〈비구름이 있는 바다풍경 습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