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경제활동인구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제외한 사람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은 경우 혹은 아예 일할 능력이 없어 노동에 기여할 수 없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비경제활동인구를 조사하는 기간 중 만 15세 이상이지만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정주부, ...
-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가능한 사람을 말한다. 노동가능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 즉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일하고자하는 의사가 없는 사람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비경제활동인구에는 집안에서 가사와 육아를 도맡아 하는 가정주부, 학교에 다니는 학생, 일을 할 수 없는 연로자와 심신장애자, 구직단념자 등이 포함...
-
잠재경제활동인구취업자도 아니고 실업자도 아닌 상태로 인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었지만 취업가능성과 의사 등을 고려하여 잠재적인 측면에서 경제활동인구로 간주되는 잠재취업가능자와 잠재구직자를 합한 개념이다. 이러한 잠재경제활동인구는 기존 실업률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고용보조지표 Ⅱ와 Ⅲ을 계산함에 있어 분모인...
-
경제활동인구 經濟活動人口무업자로 구분한다. 노동력 접근법은 특정한 조사 기간 중 취업과 실업의 기준에 따라 노동력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경제활동의 유무에 따라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를 구분하고, 경제활동인구는 다시 취업의 유무에 따라 취업자와 실업자를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 노동력 접근법에 의한 직업조사는 1957년부터...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실업률따라 현재 각국에서 작성하는 고용통계는 일정 연령 이상의 노동가능인구를 대상으로 작성되고 있으며, 동 인구는 다시 노동을 통해 경제활동에 참가할 의사가 있는 경제활동인구와 경제활동의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진다. 경제활동인구는 다시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분, 조사되는데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