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 碑사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나무·돌·쇠붙이 따위에 글을 새겨 세워놓는 건조물. 개설 비를 재질에 따라 분류하면 목비 · 석비 · 철비로 갈라지나, 우리 나라에는 목비로서 현전하는 것은 없고, 철비가 간혹 있을 뿐, 거의 전부 석비이다. 비는 처음 묘문(廟門)에 세워졌던 것인데, 그 뒤 무덤 가에 세워졌고, 후한(後...
- 시대 :
- 선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
-
-
비먼지나 쓰레기를 쓸어내는 데에 쓰이는 청소도구. 내용 비의 옛말은 ‘뷔’이며 지역에 따라 비짜락 · 비짜루 · 비짜리 · 비찌락 따위로 부른다. 비는 만드는 모양도 여러 가지이나 재료 또한 다양해서 짚 · 띠 · 싸리 · 수수 · 소나무 뿌리털 · 동물의 꼬리털 · 칡의 청올치 등으로 만들며 쓰임에 따라 방비...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주생활
-
비, 비율, 대칭의 원리는 건축에 어떻게 적용될까?비(ratio)는 같은 측정단위로 표현되는 두 양의 나눗셈으로 두 양을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어떤 건물의 폭이 200ft이고 높이가 100ft일 때, 폭과 높이의 비는 2 : 1(200 : 100)이고, 분수 1/2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도 이미 충분히 이해한 가운데 건물의 구조를 만들고, 아름다움을...
-
비 viUNIX의 행 에디터인 ex의 화면 에디터판. 이름의 vi는 visual에서 유래했다. ex는 ed(행 에디터 참고)의 확장이고, vi는 ex와 일체이다. ex에서는 vi라고 하는 명령에 따라서 vi에 들어간 화면 에디터로서 사용되고, 반대로 vi에서는 Q명령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입력 모드와 명령 모드가 분리되어 있고, 입력하는 데...
- 분야 :
- 소프트웨어 설계법
-
비비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기상현상이다. 빗방울의 크기는 지름 0.5∼5㎜로서 보통 1∼2㎜ 정도이고, 소나기의 경우에는 2∼7㎜ 정도가 된다. 흔히 접할 수 있는 비의 종류는 장맛비·호우·소나기·집중호우·뇌우 등을 들 수 있다. 비는 우리의 생활에서 꼭 필요한 물의 공급원이 된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후와 비, 빈 내명부와 외명부, 后와 妃, 嬪본 뜻 후(后) - 황제의 부인. 고려까지는 후라고 했는데, 고려 말기, 조선시대에는 쓰지 못했다. 비(妃) - 제후의 부인. 조선시대의 경우 왕비(王妃)라는 칭호를 썼다. 빈(嬪) - 제후의 첩. 조선시대의 경우 부인이 아닌 첩으로서 가장 높은 직급이었다. 왕실 여인이나 특수층 여인, 사대부 여인들의 지위에 관련된 것으...
-
비 bi컴퓨터 세계에서는 1K(킬로)를 1,000배가 아닌 1,024배, 즉 210배로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3.5인치(8.89cm) 플로피 디스크의 1.44MB는 1,440KB를 나타내며 보다 정확히는 1.40625MB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IEEE에서는 ISO와 IEC가 협력해서 정보량을 표시할 때의 접두어 안을 제시하였다. 기...
-
조지프 멀로드 윌리엄 터너, 〈비, 증기, 속도〉 외탔을 때 차창 밖으로 몸을 내밀어 기차의 어마어마한 힘과 속도를 직접 체험한 뒤 이에 대한 황홀과 감격을 표현한 작품이다. 템스 강의 수면 위에 떨어지는 비는 운무를 만들어내고, 하늘은 기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증기와 구름으로 뒤범벅되어 있다. 단순히 그림일 뿐이지만 시끄러운 기차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비가...
- 저작자 :
- 조지프 멀로드 윌리엄 터너(Joseph Mallord William Turner, 1775~1851)
- 제작시기 :
- 〈비, 증기, 속도(대서부철도)〉 1844년 제작〈전함 테메레르 호〉 1839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