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디지털 퍼스트 갈등그런 클릭 수 장사에 대한 우려 때문일까? 『뉴욕타임스』는 혁신 보고서에서 기술엔 적응하되 저널리즘의 원칙은 강화하겠다며 모든 플랫폼에서 불편부당의 원칙 지키기, 온라인과 신문 기사의 질적 차이 없애기 등을 구현하는데 노력하겠다고 했다. 영국 BBC도 2015년 펴낸 「뉴스의 미래」 보고서에서 뉴스 생산과...
-
민족 고대인은 드라마 하나 제대로 볼 수 없나온 한국 사회의 흑백논리를 탈피한 이른바 '탈이분법적 정서'로 무장한 드라마라는 평을 얻었다. 문화평론가 강영희는 "작가는 어느 일방으로도 치우침 없이 불편부당한 자세를 견지하는 것으로 보이나, 사실은 쌍방에 대해 공히 냉소를 보낸다. 그러나 이것은 작가가 이전의 작품에서 일방적 피해자인 주인공에 대한...
-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서술, 소홀한 자료수집, 균형 잃은 서술과 동서분당 이후 왜곡된 역사서술 등을 극복하고, 조직적인 체계, 편리한 열람, 정확하고 풍부한 사실의 수록, 불편부당한 서술을 추구함으로써 역사를 위한 역사를 찬술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내용은 조선 태조부터 현종까지 각 왕대의 중요한 사건을 고사본말(故事本末)의 형식...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긍익(李肯翊)
- 창작/발표시기 :
- 1776년(영조 52) 이전, 1934년(번역), 1966년(국역출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계유출판사(1934), 민족문화추진회(1966)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아사히신문 朝日新聞, The Asahi Shimbun1908), <그 후>(1909), <피안이 지날 때까지>(1912), <행인>(1912), <마음>(1914) 등의 작품이 지면에 연재된 바 있다. 좌익 성향의 언론지 1952년에는 ‘불편부당한 세상에서 언론의 자유를 관철하고, 불법과 폭력을 배제하고 부패와 맞서 진실을 공정하고 신속하게 보도하는’ 내용을 강령으로 삼았다. 대표적인 좌익...
- 설립 :
- 1879년 1월 25일
- 소재지 :
- 일본 도쿄 도 주오 구 츠키지 5-3-2
- 사이트 :
- http://www.asahi.com
-
경인일보 京仁日報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1982년 3월 1일 명칭을 다시 <경인일보>로 변경했다. 신문의 호수(號數)는 <경기매일신문>을 계승하고 있다. 특징 "오직 불편부당의 진정한 언론의 사명을 다할 것을 만천하 독자에게 공약한다"는 슬로건 아래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신문, 각계각층의 소통과 화합을 이끌어가는 신문, 지역...
- 설립 :
- 1945년 10월 7일
- 유형 :
- 신문사
- 소재지 :
- 수원본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90, 인천본사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남동대로 773
- 사이트 :
- http://www.kyeongin.com
-
세계일보 世界日報, The Segye Times세간의 화제가 된 이 신문의 창간을 두고 일부 기독교 개신교단측과 진보적인 재야 및 학생운동세력은 비판적인 시각을 보냈으나 신문이 발행되면서 보여준 불편부당한 편집으로 이 같은 우려는 불식되었다. 이 신문의 특징은 제호에서 나타나듯이 세계지향적인 보도자세로서 워싱턴·빈·동경·파리에 특파원을 둔 것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세계일보사
- 창작/발표시기 :
- 1989년 2월 1일(창간)
- 성격 :
- 신문, 일간신문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세계일보사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이긍익 장경(長卿), 李肯翊이긍익의 역사의식은 『연려실기술』을 통해 살필 수 있다. 이긍익은 고증을 역사에서 제일의 생명으로 여기고, 어디까지나 ‘술이부작(述而不作)’·‘불편부당(不偏不黨)’의 정신으로 남인·북인·노론·소론 및 유명·무명 인사를 가리지 않고 자료들을 섭렵, 인용했으며, 거의 국내 자료에 국한하였다. 이것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36년(영조 12)
- 사망 :
- 1806년(순조 6)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박정양 치중(致中), 朴定陽반대로 좌절되었다. 11월 황국협회(皇國協會)가 폭력으로 독립협회를 탄압한 사건이 일어나 내각이 경질되자 다시 내부대신이 되었다. 조선 말기의 불편부당한 온건중립파로서 진보적인 개화사상을 가지고 이상재(李商在) 등 개화파 인사들을 지원하였다. 저술활동 편저로는 『죽천고(竹泉稿)』 · 『해상일기초(海上...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문예공론 文藝公論문단의 권위를 총망라하여 현대 조선문예의 일대 조감도를 전개하고자 한다.”고 밝혔듯이, “문단의 총체적 발표기관으로서…… 문예상 모든 의견과 주장을 불편부당의 태도로써 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최남선(崔南善)·이광수(李光洙)·정인보(鄭寅普)·이은상(李殷相) 등의 시조와, 김억(金億)·박종화(朴鍾...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양주동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5월(창간), 1929년 7월(종간)
- 성격 :
- 잡지, 문예잡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