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륜 五倫
    강조되기 시작한 것은 송대에 이르러 성리학이 발흥하면서부터이다. 주희(朱熹)는 〈소학〉에서 오륜의 내용을 자세히 설명했다. 부자간의 윤리는 '친'이다. 친은 부자자효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자애와 자식의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말한다. 부자유친은 쌍무적인 도덕규범이지만 그 중심 내용은 부모에 대한 자식의 효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효행록
    사회에서 부모자식 간의 관계도 아버지가 아들에게 명하고, 아들은 이에 복종하는 일방적인 구도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 근간이 되는 것은 부자자효(父慈子孝)라는 하향 상향이 조화를 이루는 쌍방 내지는 양방적인 관계다. 이는 사회가 수평적이건 수직적이건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의 사회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