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명륜가 明倫歌형성 유래를 중국의 고사를 통해 설명하고 오륜과 삼강(三綱)의 조목을 나열한 것이다. 「명륜가」는 다시 ‘오륜삼강(五倫三綱)’, ‘뎨일장(第一章) 부자유친(父子有親)’, ‘뎨이장 군신유의(君臣有義)’, ‘뎨삼장 부부유별(夫婦有別)’, ‘뎨사장 장유유셔(長幼有序)’, ‘뎨오장 붕우유신(朋友有信)’으로 구성...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서재극
- 창작/발표시기 :
- 1935년
- 성격 :
- 교훈서, 한글가사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51장)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
금계, 봉황도 나만은 못해제목을 「오륜도(五倫圖)」라 하고 학, 금계, 원앙, 공작, 제비 등 다섯 종류의 새를 그려놓았다. 어떻게 이 새들이 오륜을 상징하게 된 걸까?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다섯 가지 윤리다. 학은 『주역』 「중부괘(中孚卦)」에...
-
오륜가 五倫歌내용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25수의 장편 연시조로 ≪노계집 蘆溪集≫에 전한다. 부자유친(父子有親)을 주제로 한 5수, 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형제우애를 주제로 한 각 5수, 붕우유신(朋友有信)을 주제로 한 2수에다 작품의 끝에 총론 3수를 덧붙여 마무리한 구성으로 보아 박선장...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인로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시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삼강오륜 三綱五倫것이다. 흔히, 삼강오륜은 봉건시대의 덕목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오늘날에도 현대적인 해석을 통하여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소지가 있다. 부자유친·장유유서·붕우유신은 오늘날 더욱 요망되는 덕목이며, 군신유의는 왕이 아니라 국가에 대한 것으로 대치할 경우 타당한 것이다. 부부유별 역시 남녀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훈몽집요 訓蒙輯要내용 1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은 없다. 책의 구성 및 내용은 『동몽선습』에서 뽑아온 “천지지간 만물지중(天地之間萬物之衆)”에서 시작하여 부자유친·군신유의·부부유별·장유유서·붕우유신·총론의 순으로 되어 있다. 첫머리에서 인간이 만물 가운데 가장 귀한 것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리, 곧 인륜이 있기 때문...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규용(李圭瑢)
- 창작/발표시기 :
- 1914년
- 성격 :
- 교재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동몽선습 童蒙先習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은 크게 유학의 핵심 윤리인 오륜(五倫)에 관한 부분과 중국·한국의 역사에 대한 서술 양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에서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등 오륜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총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세무(朴世茂), 민제인(閔齊仁)
- 창작/발표시기 :
- 1543년(평안도 감영본), 1759년(重刊本)
- 성격 :
- 교재, 아동학습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민제인(1543년 평안도 감영본), 조선 조정(1759년 중간본)
- 분야 :
- 교육/교육
-
효경소학초해 孝經小學抄解신분의 위계질서에 관한 내용을 뽑아 싣고 있다. 『소학』에서는 일상생활의 행동거지와 태도에 관한 문장들, 남녀유별(男女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 등 도덕과 예에 관한 사실을 간추려 뽑고 있다. 또한, 『소학』 안에 있는 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시대 :
- 조선 후기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