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하수오부자이중탕 白何首烏附子理中湯치료해주는 것이다. 처방의 내용은 백하수오(白何首烏)·백출[白朮炒]·백작약[白芍藥微炒]·계지(桂枝)·건강[乾薑炮] 각 25g, 진피(陳皮)·감초(甘草)·부자[附子炮] 각 3.75g이다. 적응증으로는 소음인의 태음증, 토회(吐蛔)·중한(中寒)·온역(溫疫)·냉체(冷滯)·해수(咳수)·충적(蟲積)·냉적(冷積)·회적(蛔積...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부자 附子, Ranunculaceae모근을 오두라 부르고, 측근인 토란 모양의 것을 부자라 부른다. 부자는 7~8월경에 충분히 성장했을 때 채취한다. 채취 즉시 석회로 탈수시켜 건조한 것을 생부자, 소금물에 담근 것을 염부자, 포제(싸서 불에 굽는 것)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부자라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포제한 것을 경포부자라고 한다. 성분으로...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만주)
- 학명 :
- Ranunculaceae
- 꽃말 :
- 부자
-
관계부자이중탕 官桂附子理中湯乾薑炮) · 관계 각 7.5g, 백작약 · 진피(陳皮) · 감초구(甘草灸) · 부자포(附子炮)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은 소음인의 중풍변폐(中風便閉) · 중부...오심(惡心) · 해수(咳嗽) 등이 있다. 이 처방은 이중탕(理中湯)에 관계 · 부자 · 진피 · 작약을 가미한 것이다. 이중탕은 비(脾)와 폐의 기운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의약학
-
부자 附子내용 오두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봄에 채취한 것은 오두, 자근(子根)이 형성된 9월에 채취하는 것은 부자라 한다. 또 오두에는 자근이 생기지 않고 형상이 긴 것은 천웅(天雄), 부자의 옆쪽에서 다시 작은 덩이뿌리가 나온 것은 측자(側子)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부자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성격 :
- 식물, 뿌리, 약재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
-
황기계지부자탕 黃芪桂枝附子湯황기 · 계지 각 11.5g, 백작약 7.5g, 당귀(當歸) · 감초 각 3.75g, 부자포(附子炮) 3.75∼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되어 있다. 이 처방은 장중경(張仲景)의...桂枝湯)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천(李梴)이 『의학입문(醫學入門)』에서 부자를 첨가하여 계지부자탕을 만들었고, 이제마가 여기에 황기 · 당귀 · 부자를...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의약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오수유부자이중탕 吳茱萸附子理中湯있다. 이 처방은 관계부자이중탕(官桂附子理中湯)에 오수유·소회향·파고지(破古紙)를 가미한 처방인데, 관계부자탕은 이중탕(理中湯)에 침한고랭(沈寒凅冷: 찬 기운이 속에 오래 머물러 있는 증)을 물리치는 육계(肉桂), 12경락(十二經絡)을 통행시키며 축사거랭(逐邪去冷)하는 부자(附子), 통체순기(通滯順氣)하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인삼계지부자탕 人蔘桂枝附子湯내용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傷寒論)』에 있는 계지탕(桂枝湯)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제마(李濟馬)의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는 부자에다 황기·당귀를 첨가하여 이 처방을 만들었다. 처방은 인삼 15g, 계지 11.25g, 백작약·황기 각 7.5g, 당귀·감초 각 3.75g, 부자포(附子炮) 3.75∼7.5g, 생강 세 쪽...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보익고기탕 補益固氣湯감초구(甘草灸)·당귀(當歸)·천궁(川芎)·백출(白朮)·진피(陳皮) 각각 4g으로 구성되었다. 땀이 심하면 이 처방에 관계(官桂)·건강(乾薑) 각각 4g, 부자(附子) 2g을 넣어서 사용한다. 근본적으로 소음인은 아무리 열성병이라도 발한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잘못하여 사용하게 되면 이와 같은 증세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승양익기탕 升陽益氣湯7.5g, 백하수오(白何首烏)·관계(官桂)·당귀(當歸)·감초(甘草) 각각 3.75g, 생강 3쪽, 대추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승양익기부자탕(升陽益氣附子湯)에서 부자(附子)를 빼낸 것으로 승양익기부자탕은 이미 망양증이 발생되어 땀이 나는 데 사용하는 처방이지만, 이 처방은 아직 망양증이 발생되지 않았거나 망양증...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백하수오이중탕 白何首烏理中湯목적으로 계지를, 통체순기(通滯順氣: 막힌 것을 통하게 하여 기를 순조롭게 함)할 목적으로 백작약·진피를 각각 첨가한 것이다. 또한, 백하수오부자이중탕에서 부자(附子) 한 가지 약물이 빠진 처방으로 백하수오부자이중탕보다는 한증(寒症)이 심하지 않은 상태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 처방에 대산(大蒜) 7.5g...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사약 賜藥대신에 사약을 내렸던 것이다. 극약의 재료는 주로 비상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명확한 문헌자료를 찾기 힘들다. 일설에는 생금(生金)·생청(生淸)·부자(附子)·게의 알[蟹卵] 등을 합하여 조제하였다고 하나, 이것에 즉사시킬만한 독성이 있는지는 의문시된다. 국내에는 부자 종류에 속하는 초오(草烏...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진무탕 현무탕(玄武湯), 眞武湯상한론(傷寒論)』에 첫 기록이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방약합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처방의 구성은 백복령(白茯苓)·백작약(白芍藥)·부자(附子) 각 11.5g, 백출(白朮) 7.5g, 생강 5편을 달여서 복용한다. 기침을 하면 오미자(五味子)·세신(細辛)·건강(乾薑)을 가하고, 소변이 순조로우면 복령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