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accessory bud 덧눈 부아, 副芽
    엽액(葉腋)에 여러 개의 액아(腋芽)가 생겼을 때 맨 처음 생긴 1개의 주아(主芽) 이외의 액아.
  • 부아
    부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부아: 허파의 다른 표현 부아(副芽): 덧눈을 뜻하는 식물학 용어 부아 주: 피지를 구성하는 14개 주 가운데 하나 빅투아르 뒤 부아: 프랑스의 배우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부아 어구낙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바다낚시 장소로 이용 - 가축(염소) 방목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면적 :
    44,727m 2
    좌표 :
    34° 22′ 29.0″ N, 127° 11′ 45.0″ E
    지번 :
    도양읍 시산리 산277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약 18.00km
    도서 무인도서
  • 콜로 데르부아 Jean-Marie Collot d'Herbois
    바렌과 더불어 자크 에베르가 이끄는 급진적 민주파의 일원이 되었다. 에베르파는 파리에서 일어난 대중 소요에 힘입어 국민공회에 압력을 넣어 콜로 데르부아와 비요 바렌을 공안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하게 했다. 1793년 10월 30일 그는 조제프 푸셰와 함께 반혁명 폭동이 분쇄된 지 얼마 안 되는 리옹의 질서회복을...
    출생 :
    1749. 6. 19, 파리
    사망 :
    1796. 1. 8, 프랑스령 기아나 시나마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블로뉴 숲 파리의 서쪽에 넓게 펼쳐져 있는 숲, 부아 드 블로뉴
    파리 서쪽의 블로뉴 숲은 846ha 크기의 숲이다. 숲 안에는 프랑스 국립 민족 민속 박물관, 어린이 유원지, 세익스피어 정원, 한국 정원 외에, 유명한 롱샹 경마장(Hippodrome de Longchamp)이나 로랑가로(Roland-Garros, 프랑스 오픈이 열리는 테니스장)도 있다. 그리고 호수가와 피크닉, 보트를 즐길 수 있는 장소도...
  • 부아 레몽 Emil Heinrich Du Bois-Reymond
    이 '음전기 변형' 현상이 가로무늬근에서도 발생, 근육수축의 1차적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다. 나중의 연구에서 신경과 근육의 자극과정은 뒤 부아 레몽의 모델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2권으로 된 〈동물 전기에 관한 연구 Untersuchungen über thierische Elektricität〉(1848~84...
    출생 :
    1818. 11. 7, 독일 베를린
    사망 :
    1896. 12. 26,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뱅센느 숲 파리 동쪽 외곽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숲, 부아 드 방센느
    뱅센느 숲은 파리 동쪽에 있는 995ha에 이르는 아주 큰 규모의 숲이다. 그 크기는 런던 하이드 파크의 4배, 뉴욕 센트럴 파크의 3배에 달하는 크기이다. 이 숲은 원래는 왕가의 사냥터였는데, 프랑스 혁명 후에는 군의 훈련장이 되었고, 그 후 1860년에는 나폴레옹 3세에 의해 시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바르베 마르부아 François, marquis de Barbé-Marbois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협상했다. 독일과 식민지 아메리카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한 뒤 산토도밍고 감독관으로 일했다(1785~89). 프랑스로 돌아와 원로원 의원이 되었으나(1795~97) 왕당파로 몰려 프랑스령 기아나로 추방당했다(1797~99). 1800년에 프랑스로 소환되어 재무장관이 되었고 루이지애나 매입문제로 미국과...
    출생 :
    1745. 1. 31, 프랑스 메스
    사망 :
    1837. 1. 14,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부아모르티에 Joseph Bodin de Boismortier
    칸타타와 발레 오페라를 비롯한 기악곡과 성악곡을 많이 남겼다. 1724년 파리에서 첫 작품을 선보인 뒤 1747년까지 성악과 기악을 다양하게 결합시켜 100곡 이상 발표했다. 그의 음악 중 특히 성악곡은 매우 인기가 있어서 따로 후원자에게 도움을 받지 않아도 될 만큼 부자가 되었다. 그는 프랑스 작곡가로는 최초로...
    출생 :
    1689. 12. 23, 프랑스 티옹빌
    사망 :
    1755. 10. 28, 루아시앙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부아가 나다 부아 나다
    ‘허파’의 옛말이 ‘부화’이다. 이것이 ‘부하’로 바뀌고 다시 ‘부아’로 바뀌어서 오늘에 이르렀다. ‘부아’에는 ‘폐(肺)’라는 뜻 외에 ‘분하거나 노여운 감정’이라는 뜻도 있다. 호흡과 분노는 밀접한 관련이 있어 분노가 일면 호흡이 거칠어진다. 호흡을 안정되게 조절함으로써 분노를 가라앉힐 수 있다...
  • 샤를부아 Pierre-François-Xavier de Charlevoix
    가장 먼저 북아메리카에 대한 보고서를 썼다. 과학적인 탐험 임무를 띠고 프랑스로부터 전에 머문 적이 있던 캐나다로 파송되었다. 1720년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여행하면서, 오대호를 건넜으며, 미시시피 강으로 연결되는 육로를 개척했다. 멕시코 만에서 난파당했으나 살아 남아 산토도밍고 섬을 방문하기도 했다...
    출생 :
    1682. 10. 29, 프랑스 생캉탱
    사망 :
    1761. 2. 1, 라플레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부아가 나다
    본 뜻 부아는 ‘폐’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화가 나면 숨이 가빠지고, 그렇게 되면 가슴이 부풀어오르는 것처럼 보인다. 바뀐 뜻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화나 분한 마음을 가리킨다. 흔히 쓰는 ‘부애’는 틀린 말이다. 보기글 ㆍ너는 올 필요 없다는 소리에 슬그머니 부아가 나서 한바탕 해댔다. ㆍ“당신은 도대체...
    유형 :
    관용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8건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부아도
샤또 부아 페르뛰
부아도 해도
부아도 해도
부아도 해도
부아도 해도
부아가 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