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쟁기
    나온 기록(製犂耜反藏氷庫作車乘)이며,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증왕조에도 502년 쟁기를 가 끌도록 했다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쟁기나 부림의 시초를 알리는 것이라기보다 이의 장려 및 보급을 강조한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 한편, 우리 나라의 쟁기는 괭이와 함께 8세기경 일본으로...
    성격 :
    생활용품, 농기구
    유형 :
    물품
    용도 :
    논밭갈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분조관리제 分組管理制
    통상 협동농장에서 작업반 밑에 조직되어 있는 하부조직을 말한다. 분조관리제는 협동농장의 각 분조(10∼25명)들에게 일정한 면적의 부침땅과 농기구, 부림, 생산도구 등을 할당하고 이들에게 국가 생산계획에 준하여 수확고 계획과 노력일 투하계획을 설정해 준 다음 계획 수행 정도에 따라 노력일수를 평가해 주고...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광통보제선사비 廣通普濟禪寺碑
    100여 칸이나 되는 웅장하고 화려한 광통보제선사를 1372년부터 1377년 가을까지 축조하였다는 것과 거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동원되었으며, 공사장에서는 부림(일소)들이 힘에 겨워 수없이 죽어 넘어졌다는 등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광통보제선사와 공민왕무덤의 내력이 적혀 있으며, 공민왕과 왕비가 죽은 후...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부여군의 연혁
    의자왕 20)까지 6대 123년 동안 이곳은 백제의 왕도로서 백제문화의 꽃을 피웠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동명주도독부를 설치하고 웅진·노신·구지·부림 등의 영현을 두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신라가 이곳을 장악한 뒤 671년(문무왕 11)에 부리주(또는 사비주)를 두었으며, 686년(신문왕 6)에 군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사비성 泗沘城
    久遲)ㆍ부림(富林)의 4개 현을 예속시켰다. 신라가 이곳을 차지한 뒤 사비주(泗沘州, 또는 所夫里州)를 설치하였고(문무왕 11), 신문왕 때 군으로 바꾸었다. 경덕왕 때 부여군(扶餘郡)으로 바꾸어 웅주(熊州: 지금의 공주시) 관할하에 두었고, 석산(石山)ㆍ열성(悅城)의 두 현을 예속시켰다. 부여의 명칭은 성왕이 이곳...
    시대 :
    고대/삼국/백제
    건립시기 :
    백제시대
    성격 :
    성(城)
    유형 :
    유적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백정설화
    주제가 거의 통일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한 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000년 전 천국에 인마라는 힘센 소가 하느님의 시중을 들고 있었다. 그런데 이 는 늘 사람되기를 염원하였다. 이를 안 하느님이 30일 동안 쑥만 먹고 눈을 감지도 말고 앉지도 말고 서 있으면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했다. 인마는 그대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은 주로 경전에 대한 주석인 계환 해(解)를 통해 유포되었다. 청나라의 『지장(指掌疏)』에서 계환이 문을 걸어 잠그고 심오한 이치를 깨달아 지었다고 평가...다문제일(多聞第一) 아난(阿難)이 걸식 도중에 마등가(摩登伽)의 환술에 부림을 당하여 계체(戒體)가 훼손될 뻔한 상황에 빠지자, 석존이 문수보살을 보내어...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운암집 雲菴集
    狀)·(疏) 각 1편, 서(書) 352편, 권8에 문목(問目) 14편, 권9에 경해(經解), 권10에 설(說) 7편, 논(論) 1편, 상량문 2편, 주련문(柱聯文) 3편, 전(傳)·찬(贊) 각 1편, 혼표(昏表) 7편, 자축(字祝) 22편, 축문 23편, 제문 36편, 권11에 서(序) 48편, 기(記) 8편, 발(跋) 9편, 권12에 묘표 13편, 묘갈명 23편, 비문...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문일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2권 1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포랑족의 문학과 예술
    帕雅捧, 帕雅天造人)』, 『애부림갈과 의제림갈(艾布林嘎与依娣林嘎)』, 『나무를 깎아 사람을 만들다(削木成人)』, 『호로병이 사람을 낳다(葫芦生人...포랑족은 왜 산지에서 살고 있는가(布朗族为什幺住在山区)』, 『쌍간절의 유래(桑刊节, 堆沙节, 的由来)』, 『금마(金磨)』, 『는 왜 밭을 갈까요?(牛为什幺...
    분류 :
    맹고면어족 민족 > 포랑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