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봉쇄 封鎖적의 주권이나 통제 하에 있는 특정 해역 ・ 해안에 대한 모든 선박 및 항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려는 일종의 작전. 이러한 구역에는 항구, 전 해안선 또는 해안선 일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
냉전의 출발, 베를린 봉쇄점령 지역에 발전소를 건설하였다. 서방연합군이 서독 지역과 서베를린에서 화폐개혁을 실시하자 소련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현하면서 본격적인 베를린 봉쇄를 시작했다. 1948년 6월 20일, 서독 지역과 서베를린에서 화폐개혁을 실시하여 국가 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다. 소련은 베를린 봉쇄령을...
- 시대 :
- 연합군 통치 시대
-
-
베를린 봉쇄와 공수 Berlin blockade and airlift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절박하리만큼 연료와 전력이 부족했지만 공수작전은 11개월 동안 서베를린을 살려주었으며 마침내 1949년 5월 12일 소련이 봉쇄를 풀었다. 공수작전은 9월 30일까지 계속되어 총비용 2억 2,400만 달러에 232만 3,738t의 식량과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 베를린 봉쇄를 중단시킬 수...
-
소련, 서베를린에 대한 봉쇄 시작소련이 서베를린에 대한 육상 봉쇄를 시작했다.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의 연합국에 분할 점령돼 있었다. 그런데 3월 들어 미국, 영국, 프랑스가 자신들의 관할 지역을 경제적으로 통합하려 하자 소련이 반발한 것이었다. 봉쇄는 1949년 5월 4일에 풀리지만, 이후 독일은 동독과...
- 시대 :
- 1948년 6월 24일
- 국가/대륙 :
- 유럽
-
대륙봉쇄1806년 나폴레옹 1세가 유럽 대륙의 경제를 지배하기 위해 영국의 경제를 봉쇄한 명령 베를린 칙령이라고도 하며 프랑스 제국의 지배자였던 나폴레옹 1세가 유럽의 경제를 지배하려는 의도로 당시 산업혁명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영국을 봉쇄하고 프랑스와 통상을 맺게 한 경제봉쇄 명령이다. 그러나 이는 프랑스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