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쇄 Blockade, 封鎖
    전쟁의 역사 봉쇄(封鎖)는 적국 해안의 교통을 차단하기 위하여 교전국이 해군력을 동원하여 적국의 해안에 봉쇄선을 그어서, 이 선을 넘어 적지와 교통하는 선박이나 화물을 포획하여 처분하는 행위이다. 해상이나 적대국가의 출입구를 막거나 하여 보급을 끊는 것으로, 평시봉쇄와 전시봉쇄의 두 가지가 있다. 중립국...
    도서 위키백과
  • 봉쇄 封鎖, blockade
    적국 해안의 일정 부분을 가로막음으로써 어떤 선박도 그 해안에 접근하거나 그곳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는 전투행위.|봉쇄는 국제 관습법과 국제 조약법에 규정되어 있다. 봉쇄를 실행하려는 나라는 사전에 모든 중립국에 그 사실을 알려야 하고, 봉쇄는 모든 나라의 선박에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단순한 봉쇄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투
  • 봉쇄 封鎖
    적의 주권이나 통제 하에 있는 특정 해역 ・ 해안에 대한 모든 선박 및 항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려는 일종의 작전. 이러한 구역에는 항구, 전 해안선 또는 해안선 일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 냉전의 출발, 베를린 봉쇄
    점령 지역에 발전소를 건설하였다. 서방연합군이 서독 지역과 서베를린에서 화폐개혁을 실시하자 소련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현하면서 본격적인 베를린 봉쇄를 시작했다. 1948년 6월 20일, 서독 지역과 서베를린에서 화폐개혁을 실시하여 국가 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다. 소련은 베를린 봉쇄령을...
    시대 :
    연합군 통치 시대
  • 나폴레옹 1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Napoleon I
    프랑스와 서유럽 여러 나라 제도에 오래도록 영향을 끼친 많은 개혁을 이루어냈고 프랑스의 군사적 팽창에 가장 큰 열정을 쏟았다. 그가 몰락했을 때 프랑스 영토는 1789년 혁명 때보다 줄어들었지만 그가 살아 있는 동안, 그리고 조카인 나폴레옹 3세가 다스린 제2제정이 막을 내릴 때까지 그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출생 :
    1769. 8. 15, 코르시카 아작시오
    사망 :
    1821. 5. 5, 세인트헬레나 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베를린 봉쇄와 공수 Berlin blockade and airlift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절박하리만큼 연료와 전력이 부족했지만 공수작전은 11개월 동안 서베를린을 살려주었으며 마침내 1949년 5월 12일 소련이 봉쇄를 풀었다. 공수작전은 9월 30일까지 계속되어 총비용 2억 2,400만 달러에 232만 3,738t의 식량과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 베를린 봉쇄를 중단시킬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륙봉쇄체제 大陸封鎖體制, Continental System
    중립국이나 프랑스 동맹국들이 영국과 무역을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베를린 칙령(1806. 11. 21)과 밀라노 칙령(1807. 12. 17)을 포고했다. 영국은 이 대륙봉쇄체제에 맞서 추밀원칙령(Oders in Council)을 통해 프랑스의 지배를 받거나 나폴레옹과 동맹을 맺은 모든 국가를 거꾸로 봉쇄했다. 봉쇄작전은 교전국들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봉쇄정책 封鎖政策, containment
    논문에서 "러시아의 팽창주의적 경향을 장기적으로 끈기 있게, 그러나 항상 경계를 늦추지 않고 확고하게 억제"함으로써 소련 정권이 좀더 온건해지거나 붕괴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와 터키에 즉각적인 경제·군사 원조를 보장한 1947년의 트루먼 독트린은 이 봉쇄정책이 최초로 적용된 본보기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소련, 서베를린에 대한 봉쇄 시작
    소련이 서베를린에 대한 육상 봉쇄를 시작했다.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의 연합국에 분할 점령돼 있었다. 그런데 3월 들어 미국, 영국, 프랑스가 자신들의 관할 지역을 경제적으로 통합하려 하자 소련이 반발한 것이었다. 봉쇄는 1949년 5월 4일에 풀리지만, 이후 독일은 동독과...
    시대 :
    1948년 6월 24일
    국가/대륙 :
    유럽
  • 봉쇄 (바둑용어) 封鎖
    바둑에서, 주로 상대방의 말이 변이나 귀에서 중앙으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둘러막는 행마. 봉쇄 과정에서 중앙을 둘러싼 강력한 세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방의 반발이 강력하여 수싸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봉쇄에 치중하다가 근거를 만들지 못할 수도 있다.
  • 대륙봉쇄
    1806년 나폴레옹 1세가 유럽 대륙의 경제를 지배하기 위해 영국의 경제를 봉쇄한 명령 베를린 칙령이라고도 하며 프랑스 제국의 지배자였던 나폴레옹 1세가 유럽의 경제를 지배하려는 의도로 당시 산업혁명이 한창 진행되고 있던 영국을 봉쇄하고 프랑스와 통상을 맺게 한 경제봉쇄 명령이다. 그러나 이는 프랑스와...
  • 나폴레옹 시대
    루이즈와 결혼함으로써 오스트리아마저 그의 세력하에 놓이는 듯했다. 나폴레옹은 영국의 경제와 상업에 타격을 가하기 위해 '대륙 봉쇄령'을 내렸다(대륙봉쇄체제). 1806년 11월 베를린 칙령으로 프랑스의 세력하에 있는 모든 국가의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했다. 대륙 봉쇄는 영국 경제에 타격을 가했으나 허점이 많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봉쇄(blockade)
진입로 봉쇄사례
베를린 봉쇄(Berlin Blockade)
베를린 봉쇄(Berlin Blockade)
더보기